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의 귀속을 량심에게 묻다...
2019년 07월 17일 01시 42분  조회:3474  추천:0  작성자: 죽림
패소 소유자 “1000억 가치 못 뺏겨”…
문화재청 “반환 계속 설득할 것”
2017년 7월 소장자 배익기 씨(56)가 공개한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일부가 불에 그을려 훼손돼 있다. 뉴시스
 
“1000억 원을 줘도 내놓고 싶지 않다.”

한글 발음 설명서인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 상주본의 현 소장자인 배익기 씨(56)는 지난해 10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렇게 말했다. 국가에 되돌려줄 뜻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주본은 내 것”이라는 배 씨 생각과 달리 대법원은 상주본의 소유권이 국가에 있다고 확정 판결했다.

사건은 11년 전으로 거슬러 간다. 경북 상주의 고서적 수집가 배 씨는 2008년 7월 “집수리를 위해 짐을 정리하던 중 발견했다”며 상주본을 처음 세상에 공개했다. 문화재청 전문가가 현장을 방문해 확인했더니 진품이었다. 일제의 한글 말살 정책으로 대부분 소실됐던 해례본의 등장은 한글 연구에서 중요한 발견이었다.

그러나 상주지역 골동품 판매상인 조용훈 씨가 “배 씨가 상주본을 내 가게에서 훔쳤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2011년 5월 대법원은 민사소송에서 “조 씨에게 소유권이 있다”며 조 씨 승소 확정 판결을 내렸다. 배 씨는 상주본을 내놓지 않았고, 조 씨는 수중에 없는 상주본을 국가에 기증하겠다고 밝힌 뒤 숨졌다.


  •  

이후 대법원은 2014년 5월 상주본을 훔친 혐의로 기소된 배 씨의 형사 사건에서 “뚜렷한 증거가 없다”며 무죄 확정 판결을 내렸다. 배 씨는 2017년 4월 “형사 사건에서 무죄를 확정받았는데도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잘못됐다”며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대법원 3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최근 상주본 소장자 배 씨가 “상주본 회수를 위한 강제 집행을 막아 달라”며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15일 확정했다. 재판부는 “형사 판결에서 무죄가 확정됐다는 사정만으로 고서의 소유권이 배 씨에게 있어 (강제 집행이) 배제되어야 한다고 볼 수 없다”는 2심 판결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다만 상주본의 국가 환수가 바로 이뤄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현재 배 씨는 상주본이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 2015년 배 씨 집에 난 불로 책 아랫부분이 일부 훼손되는 등 보존 상태도 의문이다. 문화재청은 상주본 회수를 위한 강제 집행에 당장 나서지는 않고 배 씨를 설득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배 씨는 15일 한 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 “(상주본의 가치가) 1조 원이고 10분의 1 정도 되면 한 1000억 원 된다. (보상해주지 않으면) 그건 완전히 저는 억울하게 뺏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호재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 세계 각 나라 國歌들 2015-02-13 0 7228
36 세계 각 나라 국기들 2015-02-13 0 6449
35 특수문자 쓰는 방법 2015-02-13 0 6128
34 세계 아름다운 화페 2015-02-13 0 6614
33 한국 문학상들 모음 2015-02-12 0 6090
32 수수께끼 유머 100선 2015-02-11 0 5607
31 하늘이 주는 세번의 기회... 2015-02-11 0 5573
30 하루에 한가지씩... 2015-02-08 0 5021
29 연변방언 모음 2015-02-08 2 8396
28 방언, 그 재미... 2015-02-08 2 6836
27 방언詩 모음 2015-02-08 0 8690
26 영상시 제작 방법 2015-02-07 0 6952
25 시어록편 ㅡ 최룡관 정리 2015-02-04 3 5424
24 <<동방문학>>에 실린 하이퍼시 한수 2015-02-04 0 4492
23 이육사문학제 유치를 위해 뛰다 2015-02-03 0 7396
22 한국 교보문고 시집 광고 2015-02-03 0 5837
21 두만강여울소리 시탐구상 2015-02-03 0 6200
20 시;- 나의 새 일기장 2015-02-03 0 5939
19 가사와 시;- 다시 만납시다... 2015-02-03 0 6369
18 시;- 새벽(건), 새벽(곤). 2015-02-03 0 5961
17 가사;ㅡ <<하늘, 그리고 죽림동 아버님>>, 자웅편;- <<새벽, 그리고 죽림동 어머님>> 2015-02-03 0 5747
16 가사;ㅡ 두만강아가씨 2015-02-03 0 6318
15 흑룡강신문 윤운걸 보도 2015-02-03 0 6498
14 연변일보 해란강문학상 2015-02-03 0 5049
13 시;- 빛의 하루 2015-02-03 0 5953
12 시;- 나는 두만강 하얀 물새 2015-02-03 0 4649
11 가야하문학상 2015-02-02 0 5260
10 조글로 보도 2015-02-02 0 4840
9 길림신문 김태국 보도 2015-02-02 0 5866
8 한국 경북매일 기사 2015-02-02 0 5092
7 <<연변모이자>>기사 2015-02-02 0 6051
6 대구시인학교에서 2015-02-02 0 5753
5 흥천사에서 2015-02-02 0 4603
4 삼합 두만강역에서 2015-02-02 0 5571
3 시;- 8월의 그 어느날 2015-02-02 0 4899
2 시;- 새해를 위하여 2015-02-02 0 4737
1 그때 그시절... 2015-02-02 0 6457
‹처음  이전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