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년 01월 24일 01시 05분  조회:3731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윤동주 열풍이다. 영화 <동주>가 관객 110만 명을 돌파하였고, 윤동주 시집은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3위에 올랐다.

 

 

1948년 1월30일에 정음사는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를 간행하였다. 여기에는 윤동주의 연희전문학교 후배 정병욱이 가지고 있던 윤동주 자선시집의 시 19편과 연희전문학교 문과 동기 강처중이 보관한 시 12편 도합 31편이 실렸다.

 

 

유고시집 출간에 앞서 경향신문 기자 강처중은 윤동주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1947년 2월13일자 경향신문에 윤동주의 시 ‘쉽게 씌여진 시’가 주간(主幹) 정지용의 윤동주 소개 글과 함께 실렸다. 이 시는 일본 유학중에 윤동주가 강처중에게 보낸 편지에 동봉한 시 5편중 하나이다.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시인이란 슬픈 천명인줄 알면서도

 

한 줄 시를 적어 볼까

 

 

(중략)

 

 

육첩방은 남의 나라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곰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나는 나에게 적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

 

 

1942.6.3.

 

 

이 시 뒤에 윤동주의 연전 졸업앨범에 있는 사각모를 쓴 사진이 실렸고, 정지용은 윤동주의 생애를 소개하면서 “그의 비통한 시 10여 편은 내게 있다. 지면이 있는 대로 연달아 발표하기에 윤군보다도 내가 자랑스럽다”라고 적었다.

 

 

경향신문은 1947년 3월13일에 윤동주의 시 ‘또 다른 고향’을 소개했다.

 

1947년 7월27일에는 세 번째로 시 ‘소년’을 소개했다. 그런데 경향신문의 윤동주 시 소개는 이것으로 끝나고 말았다. 정지용도 1947년 7월9일에 경향신문 주간을 사직하고 이화여대 교수로 복직하였다.

 

 

한편 윤동주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한 2주기인 1947년 2월16일에 강처중 · 정병욱 · 윤일주 · 유영 등 30여명이 서울 소공동 ‘플라워 회관’에 모여 윤동주와 송몽규를 기리는 추도회를 가졌다. 이 추도회에 정지용도 특별히 참석했다. 이들은 윤동주 3주기 이전에 유고시집을 발간키로 하였다.

 

 

시집 출간을 주도한 이는 강처중이었다. 당시에 정병욱은 서울대 국문학과 4학년이었다. (송우혜, 윤동주 평전, 2016, p 487)

 

 

강처중은 정지용에게 시집의 서문을 부탁하였다. 강처중은 윤동주의 동생 윤일주를 정지용에게 데리고 가서 윤동주의 집안에 대한 이야기를 직접 듣게 했다.

 

 

그러면 정지용의 서문을 읽어보자.

 

 

서(序) – 랄 것이 아니라

 

 

(전략) 아직 무릎을 꿇을 만한 기력이 남었기에 나는 이 붓을 들어

 

시인 윤동주의 유고에 분향하노라. (중략)

 

내가 시인 윤동주를 몰랐기로소니 윤동주의 시가 바로 “시 詩”고 보면 그만 아니냐? (중략)

 

 

청년 윤동주는 의지가 약하였을 것이다. 그렇기에 서정시에 우수한 것이겠고, 그러나 뼈가 강하였던 것이리라, 그렇기에 일적(日賊)에게 살을 내던지고 뼈를 차지한 것이 아니었던가?

 

 

무시무시한 고독에서 죽었고나! 29세가 되도록 시도 발표하여 본 적도 없이!

 

 

일제시대에 날뛰던 부일문사(附日文士)놈들의 글이 다시 보아 침을 배앝을 것 뿐이나, 무명(無名) 윤동주가 부끄럽지 않고 슬프고 아름답기 한(限)이 없는 시(詩)를 남기지 않았나?

 

 

시와 시인은 원래 이러한 것이다.

 

 

(후략)

 

 

1947년 12월28일

 

지용

 

 

 

한편 강처중은 유고시집의 발문을 지었는데, 그는 시인 윤동주의 사람됨을 말하면서 “동주의 시가 한 책이 되어 길이 세상에 전하여지려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강처중은 윤동주를 일약 민족 시인으로 발돋움시켰지만, 1950년 6.25 전쟁 이후 정지용과 함께 금기인물이 되었다. ‘남로당의 실세’로 활약한 강처중은 간첩혐의로 사형선고를 받았고, 정지용은 월북했다.

 

 

그리하여 1955년 2월 윤동주 10주기 기념 증보판 시집이 정병욱과 윤일주의 손에 의해 출간될 때 정지용의 서문과 강처중의 발문은 아예 삭제되기까지 했다.

 

 

다행히도 ‘향수’의 시인 정지용은 1988년에 해금되었고, 강처중은 영화 <동주>로 인하여 재평가를 받았다.

 

 

윤동주는 참 행복한 사람이다. 그의 시를 지켜준 이들이 여럿 있었으니.

///대한민국을 생각하는 호남미래포럼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376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460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756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468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125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811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641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906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552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953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377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662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688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5039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345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668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360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706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153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551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4004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591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64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212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279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62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317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314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776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594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984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3058
1338 ... 2018-12-23 0 2830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898
1336 ... 2018-12-21 0 3662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167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885
1333 ... 2018-12-20 0 3174
1332 ... 2018-12-20 0 2880
1331 ... 2018-12-20 0 301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