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년 01월 22일 01시 05분  조회:3941  추천:0  작성자: 죽림

핵심 정리

[이 작품은] 적절한 상징과 시각적 심상을 활용하여 일제 강점기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도덕적 순결성에 대한 고뇌와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성찰적, 고백적, 의지적, 상징적
*제재 : 별
*주제 : 순수한 삶에 대한 간절한 소망과 의지
*특징
① 시간의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② 이미지를 대립시켜 시적 상황을 제시함.
*출전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작품의 구성

[1 ~ 4행] 부끄러움 없는 삶에 대한 소망(과거)
[5 ~ 8행] 미래의 삶에 대한 결의(미래)
[9행] 어두운 현실에 대한 자각(현재)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윤동주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두에 붙여진 작품으로, ‘서시(序詩)’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집 전체의 내용을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2연 9행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시간의 이동(과거 - 미래 - 현재)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부분(1~4행)은 순결한 도덕적 삶을 살고자 했던 화자의 의지와 고뇌를 과거의 시점에서 말하고 있다. 화자는 지금까지 윤리적 판단의 절대적 기준이 되는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죽는 날까지’ 세속적 삶과의 타협을 거부하고 어떤 ‘부끄럼’도 없는 삶을 살기를 기원했다. 그래서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의 아주 작은 흔들림에도 괴로워하면서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며 결백한 삶을 살고자 노력했다고 고백하고 있다.
두 번째 부분(5 ~ 8행)에서는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한없는 연민과 사랑을 나타내면서 미래의 삶에 대한 화자의 결의를 다짐하고 있다. 화자는 밤하늘에 빛나는 맑고 밝은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삶의 고통에 부대끼는 모든 생명들을 사랑하면서, 자신에게 ‘주어진 길’, 즉 부끄러움이 없는 삶을 향해 꿋꿋하게 걸어가야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마지막 부분(9행)은 어두운 밤하늘과 별, 그리고 바람 간의 관계를 통해서 화자가 처한 상황을 보여 주면서 도덕적 순결성에 대한 화자의 의지를 시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시는 현실의 어둠과 괴로움 속에서 자기의 양심을 외롭게 지키며 맑고 아름다운 삶을 살고자 했던 한 젊은 지식인의 모습을 간결한 언어와 상징어들을 통해 보여 준 작품이다.

ⓒ (주)천재교육 | BY-NC-ND

작품 연구실

‘별, 바람, 밤’의 의미 관계는?

이 시에 나오는 시어 ‘별’, ‘바람’, ‘밤’은 각각의 상징적인 의미를 통해 작품의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다. 즉, 어둔 ‘밤’ 하늘에서도 빛을 잃지 않으며, 시련의 ‘바람’ 앞에서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별’을 통해, 어떤 시련과 어둠의 현실에서도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는’ 양심의 결백함을 지켜 내려는 화자의 의지를 시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시어의 상징적 의미

*하늘 : 윤리적 판단의 절대적 기준
* : 화자가 추구하는 희망, 이상적 삶의 세계. ‘바람’과 대립되는 이미지
*바람 : 3행의 ‘바람’ - 화자의 내면적 갈등 또는 양심의 가책/9행의 ‘바람’ - 화자가 처한 어두운 현실, 일제 강점하의 시대 상황
* : 화자가 걸어가야 할 숙명, 운명
* : 화자가 처한 어두운 현실. 일제 강점하의 시대 상황

이 시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

화자는 암울한 시대 상황에서도 양심을 지키며 현실에 타협하지 않는 삶, 즉 부끄러움이 없는 순결한 삶을 추구하고 있다. 즉, 나라를 일제에 빼앗긴 현실에 괴로워하면서도 ‘별’과 같이 이상적인 삶, 도덕적으로 순결한 삶을 살기를 소망하며 민족을 위해 고난과 시련의 삶을 피하지 않고 꿋꿋하게 헤쳐 나갈 것을 다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화자는 일제 강점기의 어두운 시대에 도덕적 순결성과 양심을 지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화자의 태도

ⓒ (주)천재교육 | BY-NC-ND

작가 소개 - 윤동주(尹東柱, 1917 ~ 1945)

시인. 북간도 출생. 일본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재학 중 사상범으로 체포되어, 이듬해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했다. 1941년 연희전문을 졸업하고 19편의 시를 묶은 자선 시집(自選詩集)을 발간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가 자필로 3부를 남긴 것이 사후에 햇빛을 보게 되어, 1948년에 유고 30편이 실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간행되었다. 주로 1938~1941년에 쓰인 그의 시에는 불안과 고독과 절망을 극복하고 희망과 용기로 현실을 돌파하려는 강인한 정신이 표출되어 있다. 작품으로 ‘자화상’(1939), ‘또 다른 고향’(1948) 등이 있다.

윤동주의 시 세계

윤동주는 일제 강점기 지식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정신적 고통을 섬세한 서정과 투명한 시심으로 노래한 시인이다. 그의 시의 특성은 고요한 내면세계에 대한 응시를 순결한 정신성과 준열한 삶의 결의로 발전시킨 데 있다. 그의 시가 추구한 핵심적 문제는 현실적 존재의 슬픔이 어디에서 나온 것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비록 소극적이고 자책적이며, 어떤 경우 자기 분열의 상태까지 이르기도 하지만, 윤동주의 시는 여기서 끝나지 않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 그가 생애를 마감할 무렵인 일본 유학 시절의 시는 비로소 윤동주의 저항 시인으로서의 평가를 가능하게 해 준다. 그의 시는 근본적으로 그의 생애의 흐름과 일치하며 발전한다. 즉, 개인적 자아 성찰에서 역사와 민족의 현실에 대한 성찰로 인식이 확대되는 것이다. 민족의 해방을 기다리며 자신의 부끄러움 없는 삶을 위해 죽을 때까지 시대적 양심을 잃지 않은 시인으로서, 그의 시는 일제 강점기의 종말에 대한 희생적 예언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9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1) 2018-11-12 0 2993
1289 윤동주 11편 동시묶음 2018-10-31 0 3065
128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2) 2018-10-31 0 3744
1287 "지금도 윤동주와 정지용의 시를 읊고 있었다"... 2018-10-31 0 3284
12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1) 2018-10-30 0 3454
1285 윤동주와 백석과 릴케 2018-10-26 0 3845
1284 윤동주 동시 읽기 모음 2018-10-26 0 3487
12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1) 2018-10-26 0 3134
12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비(햇비) 2018-10-25 0 3588
1281 "두만강여울소리"는 어제도 오늘도 도도히 흐르고지고 2018-10-24 0 3361
128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곡간 2018-10-18 0 4127
1279 평화의 상징 = 베토벤 최후의 최고의 걸작 교향곡 9번 2018-10-16 0 7851
127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비둘기" 2018-10-15 0 5396
127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둘기 2018-10-15 0 4461
127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조개껍질 2018-10-14 0 4387
1275 "민족에 눈길을 돌리고 민족을 포옹해라" 2018-10-13 0 2846
1274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남영전 2018-10-13 0 2910
1273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조룡남 2018-10-13 0 2950
1272 "막걸리는 하나님의 은총이다"... 2018-10-13 0 3316
1271 윤동주와 최현배, 박창해 2018-10-13 0 2727
1270 윤동주와 키에르케고르 2018-10-13 0 4329
1269 일본시의 해설을 공부하기 2018-10-13 0 3394
1268 일본 시인 - 미요시 다쓰지 2018-10-13 0 3063
1267 윤동주와 당숙 윤영선 2018-10-13 0 2554
1266 청년문사 송몽규 다시 알아보기 2018-10-12 0 3748
1265 윤동주가 떠난지 한세기가 지났음에도... 2018-10-12 0 2742
1264 청년문사 송몽규 알아보기 2018-10-12 0 3645
1263 학생 윤동주와 유명 시인 정지용 2018-10-12 0 2979
12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스런 추억 2018-10-11 0 4718
1261 윤동주와 정병욱의 老母 2018-10-10 0 3759
1260 윤동주 더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3717
1259 윤동주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4426
1258 윤동주와 시집 제목 2018-10-10 0 3395
125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람이 불어 2018-10-09 0 4201
125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오는 지도 2018-10-07 0 2979
1255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금잔화(金盞花) 2018-10-06 0 3543
12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원 2018-10-06 0 4328
12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년 2018-09-21 0 5038
125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골물 2018-09-19 0 4246
1251 윤동주와 "사랑시" 2018-09-17 0 3628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