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년 01월 17일 22시 54분  조회:4489  추천:0  작성자: 죽림

해바라기

해바래기sunflower
해바라기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Helianthus annuus L.
본초명 규화(葵花, Kui-Hua), 향일규(向日葵, Xiang-Ri-Kui), 향일화(向日花, Xiang-Ri-Hua)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재배식물이다. 원줄기는 높이 1.5~2.5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적으로 굳은 털이 있다. 어긋나는 잎은 길이가 10~30cm 정도인 심장상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8~9월에 개화하며 지름 8~50cm 정도의 두상꽃차례의 통상화는 갈색이고 가장자리의 설상화는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8~15mm 정도의 도란형 또는 아원형으로 백색이나 회색이며 흑색 줄이 있다. ‘뚱딴지’와 달리 꽃이 옆을 향하며 덩이줄기가 없다. 여러 가지 품종이 있어 그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이용하고 관상용, 공업용으로 심기도 한다. 씨를 간식으로 먹기도 하고 꽃잎을 말린 뒤 우려내서 차로 마신다.

특성

쌍자엽식물(dicotyledon), 합판화(sympetalous flower), 1년생초본(annu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사료식물(forag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강장보호, 고혈압, 골다공증, 구충, 구풍, 금창, 류머티즘, 보익, 사태, 식견육체, 요도염, 월경이상, 일사상, 지혈, 진통, 치통, 통리수도, 해수, 해열

종자

해바라기의 종자
해바라기의 종자

2001년 10월 9일 채종

ⓒ 한국학술정보㈜ 

생육과정

해바라기
해바라기

1987년 8월 22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1989년 4월 25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1991년 7월 5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1993년 7월 15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2000년 8월 16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2003년 7월 17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2011년 8월 1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2012년 5월 2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2012년 5월 2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겹꽃해바라기
겹꽃해바라기

2012년 8월 1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겹꽃해바라기
겹꽃해바라기

2012년 8월 1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해바라기
해바라기

2012년 8월 1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분류 국화과
꽃색 노란색
학명 Helianthus annuus L.
개화기 8월∼9월

태양처럼 뜨거운 감정을 대변하는 영혼의 꽃

아메리카산 한해살이로서 각지에서 심고 있으며 높이가 2m에 달하고 전체적으로 굳센 털이 났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심장상 난형 또는 타원상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해바라기
해바라기

ⓒ 국립중앙과학관 

꽃, 씨앗, 열매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8~60cm 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가장자리의 설상화(꽃잎이 혀모양의 꽃)는 밝은 황색이며 중성화(암술과 수술이 없는 꽃)이고, 통상화(꽃잎이 서로 달라붙어 통 모양으로 생기고 끝만 조금 갈라진 꽃)는 갈색 또는 황색이며 양성화(암술 수술이 모두 있는 꽃)이고, 총포(꽃대의 끝에서 꽃의 아래 부분을 싸고 있는 비늘모양의 조각)는 반구형이며 포편은 뾰족한 달걀모양으로서 끝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씨는 달걀을 거꾸로 놓은 모양이고 흰색 또는 회색이며 흑색 줄이 있고 길이 9mm, 너비 4~8mm로서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매끈하다. 해바라기는 옆으로 향한 꽃이 햇빛이 오는 쪽을 향하고 있다.

해바라기
해바라기

ⓒ 국립중앙과학관 .

구별하기

비슷한 식물로서 하늘바라기는 꽃이 하늘을 바라보고 있고 해바라기에 비해 꽃이 작다.

뚱딴지는 꽃의 크기가 중간 크기이며, 잎은 밑에서는 마주나기, 위에서는 어긋나기이며, 꽃은 하늘을 향하고 지하에 덩이줄기가 있다.

해바라기
해바라기

ⓒ 국립중앙과학관 

전해지는 이야기

그리스 어느 연못에 바다의 신의 딸 두 자매가 살았다. 그들에게는 해진 후부터 동틀 때까지만 연못 위에서 놀 수 있다는 규율이 있었다. 그러나 그 규율을 지키지 못하고 동이 트고 태양의 신 아폴로가 빛을 발하면서 그 황홀한 빛에 두 자매는 넋을 잃었다. 두 자매는 아폴로의 사랑을 차지하려고 싸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언니는 동생이 규율을 어겼다고 말해 동생이 죄수로 갇혔다. 언니는 아폴로의 사랑을 독차지하려 하였으나 아폴로는 그녀의 마음을 알아챘다. 그녀는 며칠간 아폴로의 사랑을 애원했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한 채 발이 땅에 뿌리박혀 한포기 꽃으로 변했는데 그 꽃이 바로 해바라기라고 한다.

해바라기
해바라기

ⓒ 국립중앙과학관 

이용방법

해바라기 씨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고급 불포화 지방산 많이 들어 있다. 옛 소련에서 기름용으로 특별히 개발한 품종들은 작은 씨가 검은색을 띠고 기름을 50% 정도 함유한다. 해바라기 기름은 세계에서 콩기름과 야자유 다음으로 중요한 식물성 기름이다.

해바라기의 씨와 줄기는 한약재로 쓰인다.

해바라기 씨
해바라기 씨

ⓒ 국립중앙과학관

=====================///
 

중앙 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한국 전역에 널리 심고 있다. 키는 2~3m에 달하며 전체에 가늘고 억센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큰 난형의 잎은 길이가 10~30㎝로서 어긋나는데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각각의 포편(苞片)은 달걀 모양의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억센 털이 많이 있다.

꽃은 8~9월경 한 방향을 향해 두상꽃차례를 이루는데 지름이 25㎝에 이른다. 꽃은 황색의 꽃잎이 길게 밖을 향해 뻗은 설상화와, 암술과 수술이 있으며 중앙 부위에 밀집되어 있는 암자색 또는 갈색의 통상화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는 2개의 능선이 있는 둥근 난형으로 길이가 1㎝ 내외이고 검은 줄무늬가 있다.

해바라기의 어원은 '꽃이 해를 향해 핀다'라는 뜻의 중국어 향일규(向日葵)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이름 'sunflower'는 'helios'(태양)와 'anthos'(꽃)의 합성어인 속명 헬리안투스(Helianthus)를 번역한 것이다. 이 꽃은 현재 페루의 국화[國花]이자 미국 캔자스 주의 주화(州花)이다. 해바라기는 씨에 20~30%의 종자유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식용·비누원료·도료원료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한방에서 구풍제·해열제로도 쓰인다.

해바라기의 품종은 관상용과 종자용으로 개발되어 있다. 특히 씨를 얻고자 러시아에서 많이 심고 있으며 유럽의 중부와 동부, 인도, 페루, 중국 북부에서도 많이 심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69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731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315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4032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91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845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329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43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37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73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3061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604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70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331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414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135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324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89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259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925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710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657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248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45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600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992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798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3000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249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627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680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89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434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39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3008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909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65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47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640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826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