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와 시 세편속의 "순이"
2018년 09월 15일 21시 52분  조회:2812  추천:0  작성자: 죽림

사랑의 전당 / 윤동주


순(順)아 너는 내 전(殿)에 언제 들어왔든 것이냐?"

내사 언제 네 전(殿)에 들어갔든 것이냐?

 

우리들의 전당(殿堂)

고풍(古風) 한 풍습이 어린 사랑의 전당(殿堂)

 

(順)아 암사슴처럼 수정눈을 나려감어라.

난 사자처럼 엉크린 머리를 고루련다.

 

우리들의 사랑은 한낱 벙어리였다.

 

청춘!

성스런 촛대에 열(熱)한 불이 꺼지기 전

순아 너는 앞문으로 내달려라.

 

어둠과 바람이 우리 창에 부닥치기 전

나는 영원한 사랑를 안은 

뒷문으로 멀리 사라지련다.

 

이제

네게는 삼림 속의 아늑한 호수가 있고,

내게는 험준한 산맥이 있다.

               1938.6.19





소년  / 윤동주

 

여기저기서 단풍잎 같은 슬픈 가을이 뚝뚝 떨어진다. 

단풍잎 떨어져 나온 자리마다 봄을 마련해 놓고 나뭇가지 위에 하늘이 펼쳐 있다.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보려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 

두 손으로 따뜻한 볼을 씃어 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난다. 

다시 손바닥을 들여다본다. 

손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랑처럼 슬픈 얼굴──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이 어린다. 

소년은 황홀히 눈을 감아 본다. 

그래도 맑은 강물은 흘러 사랑처럼 슬픈 얼굴──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은 어린다. 

1939.




눈 오는 지도  / 윤동주

 

순이가 떠난다는 아침에 말 못할 마음으로 함박눈이 나려, 슬픈 것처럼 창 밖에 아득히 깔린 지도 위에 덮인다. 방 안을 돌아다보아야 아무도 없다. 벽과 천정이 하얗다. 방 안에까지 눈이 나리는 것일까. 정말 너는 잃어버린 역사처럼 홀홀이 가는 것이냐. 떠나기 전에 일러둘 말이 있던 것을 편지를 써서도 네가 가는 곳을 몰라 어느 거리, 어느 마을, 어느 지붕 밑, 너는 내 마음속에만 남아 있는 것이냐. 네 쪼그만 발자욱을 눈이 자꾸 나려 덮여 따라갈 수도 없다. 눈이 녹으면 남은 발자욱 자리마다 꽃이 피리니 꽃 사이로 발자욱을 찾아 나서면 일 년 열두 달 하냥 내 마음에도 눈이 나리리라. 

1941.3.12.

=================///덤으로 더...


바람이 불어 / 윤동주





바람이 어디로부터 불어 와
어디로 불려 가는 것일까

바람이 부는데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다.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을까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
시대를 슬퍼한 일도 없다.

바람이 자꾸 부는데
내 발이 반석 위에 섰다.

강물이 자꾸 흐르는데
내 발이 언덕 위에 섰다.

1941.6.2.

 


 
=======
당신의 "순이"는 잘 있나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9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1) 2018-11-12 0 2973
1289 윤동주 11편 동시묶음 2018-10-31 0 3006
128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2) 2018-10-31 0 3731
1287 "지금도 윤동주와 정지용의 시를 읊고 있었다"... 2018-10-31 0 3235
12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1) 2018-10-30 0 3450
1285 윤동주와 백석과 릴케 2018-10-26 0 3839
1284 윤동주 동시 읽기 모음 2018-10-26 0 3475
12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1) 2018-10-26 0 3129
12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비(햇비) 2018-10-25 0 3585
1281 "두만강여울소리"는 어제도 오늘도 도도히 흐르고지고 2018-10-24 0 3328
128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곡간 2018-10-18 0 4119
1279 평화의 상징 = 베토벤 최후의 최고의 걸작 교향곡 9번 2018-10-16 0 7845
127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비둘기" 2018-10-15 0 5391
127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둘기 2018-10-15 0 4451
127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조개껍질 2018-10-14 0 4365
1275 "민족에 눈길을 돌리고 민족을 포옹해라" 2018-10-13 0 2756
1274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남영전 2018-10-13 0 2903
1273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조룡남 2018-10-13 0 2948
1272 "막걸리는 하나님의 은총이다"... 2018-10-13 0 3312
1271 윤동주와 최현배, 박창해 2018-10-13 0 2724
1270 윤동주와 키에르케고르 2018-10-13 0 4289
1269 일본시의 해설을 공부하기 2018-10-13 0 3390
1268 일본 시인 - 미요시 다쓰지 2018-10-13 0 3037
1267 윤동주와 당숙 윤영선 2018-10-13 0 2553
1266 청년문사 송몽규 다시 알아보기 2018-10-12 0 3697
1265 윤동주가 떠난지 한세기가 지났음에도... 2018-10-12 0 2741
1264 청년문사 송몽규 알아보기 2018-10-12 0 3634
1263 학생 윤동주와 유명 시인 정지용 2018-10-12 0 2974
12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스런 추억 2018-10-11 0 4656
1261 윤동주와 정병욱의 老母 2018-10-10 0 3757
1260 윤동주 더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3712
1259 윤동주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4414
1258 윤동주와 시집 제목 2018-10-10 0 3370
125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람이 불어 2018-10-09 0 4120
125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오는 지도 2018-10-07 0 2950
1255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금잔화(金盞花) 2018-10-06 0 3512
12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원 2018-10-06 0 4297
12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년 2018-09-21 0 5019
125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골물 2018-09-19 0 4228
1251 윤동주와 "사랑시" 2018-09-17 0 3606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