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와 시 세편속의 "순이"
2018년 09월 15일 21시 52분  조회:2784  추천:0  작성자: 죽림

사랑의 전당 / 윤동주


순(順)아 너는 내 전(殿)에 언제 들어왔든 것이냐?"

내사 언제 네 전(殿)에 들어갔든 것이냐?

 

우리들의 전당(殿堂)

고풍(古風) 한 풍습이 어린 사랑의 전당(殿堂)

 

(順)아 암사슴처럼 수정눈을 나려감어라.

난 사자처럼 엉크린 머리를 고루련다.

 

우리들의 사랑은 한낱 벙어리였다.

 

청춘!

성스런 촛대에 열(熱)한 불이 꺼지기 전

순아 너는 앞문으로 내달려라.

 

어둠과 바람이 우리 창에 부닥치기 전

나는 영원한 사랑를 안은 

뒷문으로 멀리 사라지련다.

 

이제

네게는 삼림 속의 아늑한 호수가 있고,

내게는 험준한 산맥이 있다.

               1938.6.19





소년  / 윤동주

 

여기저기서 단풍잎 같은 슬픈 가을이 뚝뚝 떨어진다. 

단풍잎 떨어져 나온 자리마다 봄을 마련해 놓고 나뭇가지 위에 하늘이 펼쳐 있다.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보려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 

두 손으로 따뜻한 볼을 씃어 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난다. 

다시 손바닥을 들여다본다. 

손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랑처럼 슬픈 얼굴──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이 어린다. 

소년은 황홀히 눈을 감아 본다. 

그래도 맑은 강물은 흘러 사랑처럼 슬픈 얼굴──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은 어린다. 

1939.




눈 오는 지도  / 윤동주

 

순이가 떠난다는 아침에 말 못할 마음으로 함박눈이 나려, 슬픈 것처럼 창 밖에 아득히 깔린 지도 위에 덮인다. 방 안을 돌아다보아야 아무도 없다. 벽과 천정이 하얗다. 방 안에까지 눈이 나리는 것일까. 정말 너는 잃어버린 역사처럼 홀홀이 가는 것이냐. 떠나기 전에 일러둘 말이 있던 것을 편지를 써서도 네가 가는 곳을 몰라 어느 거리, 어느 마을, 어느 지붕 밑, 너는 내 마음속에만 남아 있는 것이냐. 네 쪼그만 발자욱을 눈이 자꾸 나려 덮여 따라갈 수도 없다. 눈이 녹으면 남은 발자욱 자리마다 꽃이 피리니 꽃 사이로 발자욱을 찾아 나서면 일 년 열두 달 하냥 내 마음에도 눈이 나리리라. 

1941.3.12.

=================///덤으로 더...


바람이 불어 / 윤동주





바람이 어디로부터 불어 와
어디로 불려 가는 것일까

바람이 부는데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다.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을까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
시대를 슬퍼한 일도 없다.

바람이 자꾸 부는데
내 발이 반석 위에 섰다.

강물이 자꾸 흐르는데
내 발이 언덕 위에 섰다.

1941.6.2.

 


 
=======
당신의 "순이"는 잘 있나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553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194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162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545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523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508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332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386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334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355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437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194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446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429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372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429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456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287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219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395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291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345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406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422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451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331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103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570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581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383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455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571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331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704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629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718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2914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244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078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3004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