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의 전당
2018년 09월 15일 00시 49분  조회:3814  추천:0  작성자: 죽림

 

순(順)아 너는 내 전(殿)에 언제 들어왔든 것이냐?"

내사 언제 네 전(殿)에 들어갔든 것이냐?

 

우리들의 전당(殿堂)

고풍(古風) 한 풍습이 어린 사랑의 전당(殿堂)

 

(順)아 암사슴처럼 수정눈을 나려감어라.

난 사자처럼 엉크린 머리를 고루련다.

 

우리들의 사랑은 한낱 벙어리였다.

 

청춘!

성스런 촛대에 열(熱)한 불이 꺼지기 전

순아 너는 앞문으로 내달려라.

 

어둠과 바람이 우리 창에 부닥치기 전

나는 영원한 사랑를 안은 

뒷문으로 멀리 사라지련다.

 

이제

네게는 삼림 속의 아늑한 호수가 있고,

내게는 험준한 산맥이 있다.

               1938.6.19.


================

 

이 시에서도 순이(順伊)라는 이름이 나오는군요.

윤동주 시인한테는 여자친구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1941년에 쓴 시 「바람이 불어」에는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라는 구절도 나옵니다.

윤동주 님의 시적화자의 고백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정말

윤동주님의 진짜 삶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윤동주 님의 시 세 편에는 순이(順伊)라는 이름이 등장합니다.

「소년」, 「눈 오는 지도」, 그리고 「사랑의 전당」입니다.

 

 

사랑의 전당이란 순이와 함께 하기 때문에 행복한 공간이고,

순이와의 교감을 꿈꾸며 희망을 되새기는 공간이겠지요.

 

 

가을이 떠나고 겨울이 찾아오면 왠지 모르게 외롭다고 느껴지고

누군가를 가슴 아리도록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삶이 고달프고 어려운 난관에 좌절하고 힘들어할 때

이때 윤동주 님의 시 한 편을 읽으면 마음의 여유가 생기고,

삶이 고달픈 것만도 아니라고 생각되고 마음의 위안이 되지요..

 

 

=====================///
사랑의 전당이라는 시에서는 '순이'라는 이름이 자주 언급되지만, 윤동주 시인은 <바람이 불어>에서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라는 글을 썼습니다.
'순이'가 언급된 윤동주의 다른 시 그리고 시대상 배경을 고려해 본다면 이 시에서의 '순이'를 '조국'에 빗대어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랑의 전당'이라는 공간은 순이와 시인만의 행복한 공간을 의미하는 것 같고요.
'고풍한 풍습이 어린 사랑의 전당'은 마치 강점기 이전의 조국과 시인의 행복했던 시절을 추억하는 느낌이네요.
'삼림 속의 아늑한 호수'는 광복 후의 조국의 모습을 그린 것 같습니다.

조국을 위해 일생을 몸 바치고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윤동주 시인을 다시 마음으로 기릴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371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457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714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457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120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776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638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895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549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945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352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657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686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5034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329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635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347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698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136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535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3981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588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61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185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268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50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294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307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739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587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982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3053
1338 ... 2018-12-23 0 2827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890
1336 ... 2018-12-21 0 3643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146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878
1333 ... 2018-12-20 0 3172
1332 ... 2018-12-20 0 2877
1331 ... 2018-12-20 0 300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