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참새는 참새...
2018년 09월 10일 22시 40분  조회:5344  추천:0  작성자: 죽림

집참새는
어떻게 사람 곁에서 살게 됐나

 2018.09.10. 
 
 
 
[애니멀피플] 
1만1천년 전 농경 시작과 함께 야생참새와 분리
돌연변이로 부리 커지고 곡물 소화하도록 진화

[한겨레]

쌀을 먹는 집참새. 풀씨를 주로 먹는 야생 친척에 견줘 부리가 크고 노농도의 녹말을 분해하는 효소가 있다. 농경과 함께 재빠른 적응을 이룩해 세계에서 가장 흔한 새가 됐다. 카르티크 이스부르,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수렵채집에서 농경사회로 전환한 신석기 시대 농업혁명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자연에서 먹이를 찾는 것을 포기하고 사람 곁에서 살아가게 된 동물이 잇따라 출현했다. 사람 사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있는 참새는 그런 대표적 예이다. 그러나 참새가 언제 어떻게 인간과 함께 살게 됐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마크 라비네트 노르웨이대 진화생물학자 등 국제 연구진이 유럽 집참새의 게놈(유전체)을 분석해 그 수수께끼를 일부 풀었다.

집참새는 서유럽부터 유라시아 중부에 분포하고, 이후 인위적으로 퍼뜨려 남극을 뺀 모든 대륙에 사는 세계에서 가장 흔한 새다(우리나라의 참새와는 종이 다르다). 사람이 몰락한 거주지에서는 절멸할 정도로 사람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은 동물이다. 숲과 덤불을 피하고 인가 근처에서 살며 곡식과 곤충을 주로 먹는다.

집참새의 분포지역. 진한 초록은 원래 자생지, 연한 초록은 인위적으로 옮긴 곳을 가리킨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은 집참새 가운데 예외적으로 사람 곁에서 살지 않는 아종인 박트리아참새와 다른 유럽 집참새의 유전체를 비교했다. 박트리아참새는 중동과 중앙아시아에 서식하는 철새로 곡식이 아니라 풀씨 등을 주로 먹는다. 박트리아참새가 인간 환경에 적응하기 전 참새의 형질을 갖췄다면, 현재의 집참새와 비교해 언제 어떤 유전적 변화가 일어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박트리아참새는 현재의 집참새와 약 1만1000년 전 갈라져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대 초 처음 밀 농사가 시작됐을 때 중동의 일부 참새는 박트리아참새와 다른 진화경로를 밟기 시작했다. 인간 거주지를 삶터로 삼은 이 새로운 집참새는 약 6000년 전 농업 확산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유전자 분석에서 밝혀졌다.

박트리아참새가 참새와 집참새와 함께 쌀을 먹고 있다. 야생 형질을 간직한 박트리아참새도 곡물을 먹을 수는 있지만 먹는 속도와 소화능력은 떨어진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집참새가 이렇게 확산할 수 있었던 비결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두개골·안면 발달과 관련 있는 유전자(COL11A)가 돌연변이를 일으켰다. 사람에 이런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두개골이 두꺼워지고 안면구조 기형이 나타난다. 이런 변화가 없는 박트리아참새는 집참새보다 머리와 부리가 작다. 농사를 하면서 야생 작물의 알곡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이를 잘 먹을 수 있도록 집참새가 적응한 결과라고 연구자들은 해석했다.

두 번째 변화는 녹말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유전자(AMY2A)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녹말이 다량 포함된 먹이를 잘 소화하게 됐다. 사람과 개는 대표적으로 이런 적응을 한 동물이다.

연구자들은 “이번에 밝혀진 것 말고도 집참새가 인간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이룩한 유전적 변화는 더 있을 것”이라고 논문에서 밝혔다.

참새(왼쪽)와 집참새 수컷은 다른 종으로 형태와 색깔이 다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한편, 중동에서 밀 농사와 함께 집참새의 진화가 시작된 것처럼 동아시아에서는 황하 일대의 쌀농사와 함께 참새가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련 연구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는 세계 온대지역 가운데 집참새가 없는 유일한 곳이다. 애초 이 지역에 집참새가 진출하지 못했는지 아니면 참새에 의해 대체됐는지는 확실치 않다. 참새는 동아시아를 비롯해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지만, 유럽에서는 도시와 인가를 집참새에 내준 채 주로 숲과 덤불에서 산다(참새의 영어 이름은 ‘나무참새’이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왕립학회보 생물학’ 최근호에 실렸다.

참새의 분포 지역. 노란색은 여름 번식지, 초록은 텃새, 남색은 겨울 월동지.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Ravinet M, Elgvin TO, Trier C, Aliabadian M, Gavrilov A, Sætre G-P. 2018 Signatures of human-commensalism in the house sparrow genome. Proc. R. Soc. B 285: 20181246. http://dx.doi.org/10.1098/rspb.2018.1246

/조홍섭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97 [록색평화주의자]- 곤충식용 시대가 오다... 우리는 언제?... 2016-04-05 0 6858
396 [록색평화주의자]- 한반도에서 소나무가 사라진다면?... 2016-04-05 0 5448
395 가난한 詩人들이여 술로 詩를 쓰라... 2016-04-04 0 6116
394 땡!~ 꽃말 모음 2016-04-04 0 7681
393 잠시 쉬염쉬염ㅡ 꿈얘기... 2016-04-03 0 6637
392 [록색평화주의 者]- 땡!~달,화성에서 농사짓는다면... 2016-03-25 0 5640
391 [록색평화주의 者] 땡!~논이 사라지면 매가 멸종한다 2016-03-25 0 6561
390 땡!~ 인공지능이 쓴 단편소설 문학상 예심까지 가다... 2016-03-24 0 6353
389 땡!~ 버렸다, 비웠다 그리고 삶이 밟아졌다... 2016-03-24 0 6007
388 땡!~ 우리는 언제면 이렇게 될는지???... 2016-03-23 0 5931
387 땡!~ 무거운 엉덩이를 훔쳐라... 2016-03-23 0 5096
386 [록색평화이야기]- 자그마한 새, 천리 날아가다... 2016-03-23 0 5067
385 [록색평화이야기]- 바닷물를 담수로... 2016-03-23 0 5610
384 {쉼터}- 우표에서 공부하기 2016-03-22 0 7574
383 땡!~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아주 적절히... 2016-03-22 0 6305
382 문학과 의학 2016-03-19 0 4917
381 시쓰는 "알파고", 소설쓰는 "알파고" 등장할수도 있다?... 2016-03-19 0 4909
380 땡!~ 셰익스피어 원작자가 따로 있다?... 2016-03-19 0 5694
379 [록색평화이야기]- 명소관광지 락서 력사의 일부가 되다 2016-03-18 0 5370
378 [록색평화이야기]- 흥미로운 독수리 려행 2016-03-18 0 5909
377 일본인 학자 - 오무라 마스오 교수 윤동주 묘 찾기까지... 2016-03-17 0 6165
376 땡!~ 한글 + 한자 = 고유 漢子 2016-03-17 0 5644
375 땡!~ 포기란 있다? 없다!... 2016-03-17 0 6392
374 땡!~ 커피를 알아보기 2016-03-17 0 5753
373 땡!~ 세상에서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사라진다?!... 2016-03-17 0 6803
372 땡!~ 재미가 쏠라당- 언제면 수수께끼 풀리나... 2016-03-17 0 6733
371 땡!~ 재미가 쏠쏠... 불이냐? 석기이냐? 2016-03-17 0 6241
370 [록색평화한마디]- 물고기들도 길을 찾아야 하는데... 2016-03-15 0 5252
369 땡!~우리 모두 다 함께 살아봅시다ㅠ... 2016-03-15 0 5067
368 땡!~ 나는 누구일까ㅠ?... 2016-03-15 0 5003
367 소설 "시인 동주" 로 청년 윤동주의 삶과 문학 재조명 2016-03-14 0 6847
366 이름을 소중히 여기는 삶의 자세가 바르다 2016-03-12 0 5562
365 "20세기의 신화"는 신화에 신화를 낳다... 2016-03-12 0 5589
364 땡!!- "다나까체"...?와 "해요체"...? 2016-03-11 0 5841
363 땡!- 모두가 피할 때 아빠는 막아줬다... 2016-03-11 0 6687
362 <<@이메일>> 고안한 톰린슨 별세 2016-03-08 0 5087
361 [록색평화를 말하다]- 지구를 아낀다면 절전하라... 2016-03-08 0 5875
360 침묵할 때는 침묵하라... 2016-03-07 0 5123
359 땡!!!,- 이건 정말 아니다... 야생동물 "고막" 터질라... 2016-03-04 0 5752
358 영화 "귀향"에서 나오는 노래 2016-02-27 0 7804
‹처음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