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계평화생태공원 만들자"...
2018년 06월 05일 23시 38분  조회:5352  추천:0  작성자: 죽림

역설의 땅 DMZ..
야생 동식물에는 '천국'

이동경  2018.06.05. 
 
 
 

[뉴스데스크] ◀ 앵커 ▶

뉴스데스크는 남북관계를 대결에서 평화로 전환시키는 첫 시험대가 될 DMZ를 보도합니다.

 

분단 65년은 비무장지대를 희귀 야생동식물의 천국으로 만들었습니다.

인간의 왕래를 막은 대결의 공간에서 동식물은 평화의 삶을 고스란히 지켜온 겁니다.

그 '역설의 땅'에 깃든 자연 생태를 이동경 기자가 소개합니다.

◀ 리포트 ▶

깎아지른 암벽을 거침없이 뛰노는 토종 산양.

서식지 파괴로 그 수가 600여 마리로 줄면서 1급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는데 DMZ에선 심심찮게 포착됩니다.

국제 멸종위기종인 두루미, 많을 땐 1천 마리가 DMZ에서 겨울을 납니다.

한겨울에도 얼지 않는 DMZ의 청정수가 두루미에게 최고의 보금자리를 제공합니다.

정전 이후 65년 동안 사람의 발길이 엄격하게 제한된 이곳 철책 너머에는 이제 그 어느 곳보다도 풍부하고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가고 있습니다.

1960년대 이후 자취를 감춘 사향노루, 역시 멸종위기에 내몰린 저어새와 독수리, 수달과 삵 등 한반도 멸종위기종의 41%가 국토 면적의 2%도 되지 않는 DMZ에 몰려 살고 있습니다.

[이우신/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 "'멸종위기종의 최종 피난처'라고 이야기할 수 있죠. 인간의 간섭이 배제되고 특히 군사보호지역이기 때문에 보호되는 부분이다."

구불구불한 물줄기가 뱀꼬리를 닮은 사미천 주변으로 습지가 형성됐습니다.

한국전쟁 전만 해도 농사를 짓던 평야였지만 반세기 넘게 방치되면서 원시 형태의 습지로 돌아간 건데 이런 습지가 DMZ에 서른 곳이 넘습니다.

또 폭격으로 사라진 마을 터는 울창한 숲으로 변해 한반도에선 보기 힘든, 너른 평지의 숲 '평원림'을 이뤘습니다.

[김귀곤 명예교수/서울대학교 조경학] "제가 만난 학자는 '아마존이라든가 인도네시아의 열대우림의 다음 가는 생태계가 DMZ 생태계다.'라고 해요. 그 규모뿐 아니라 그 구조나 기능면에서도."

이런 DMZ의 생태가 과거 남북화해 국면에서 오히려 위협받았던 사실은 향후 DMZ 보존을 위해 시사하는 게 많습니다.

2004년 생태에 대한 고민 없이 남북 경협사업의 하나로 북측 DMZ 모래 채취 사업이 진행됐고 개성공단의 성장 뒤에 숨어 공업 폐수가 DMZ로 무단 방류됐다는 의혹도 있습니다.

[서재철 전문위원/녹색연합] "생활오수만 잡아줄 수 있는 폐수처리장을 가동함으로써 공업폐수가 비무장지대 안 사천강 일대로 유입돼서 지금도 (오염돼 있습니다. 당시) 개성공단을 빨리 조성해서 가동시키는 것이 지상 과제였기 때문에."

남과 북의 총부리 사이에서 생태 천국으로 자리매김한 역설의 땅 DMZ.

총부리가 걷힌 미래엔 어떤 모습일지, 평화만큼 어려운 과제로 놓여있습니다.

MBC뉴스 이동경입니다.

이동경 기자

======================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10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6·12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축하하며 열린 '평화맞이 예술마당'에서 서화가 여태명씨와 캘리그라퍼 강병인씨가 대형 캘리그라피를 그리고 있다. 2018.6.10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37 [고향의 자랑] - 연변, 진달래, 민속향연... 2018-05-03 0 3926
22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는 우리 친구... 2018-05-03 0 5115
223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음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02 0 3898
2234 [동네방네] - 연변 "된장축제"에 놀러 오이소... 2018-05-02 0 3815
223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미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02 0 3892
2232 [영화계 자랑]-조선족 영화감독 박준희 영화 촬영에 몰두하다 2018-05-02 0 3904
2231 [그것이 알고싶다] - 한반도에서 "시간통일"부터... 2018-05-01 0 6106
2230 [고향문단소식] - 언론인 박문희가 시인 박문희로... 2018-05-01 0 6078
222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엄마 범과 새끼 범 2018-05-01 0 4413
222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엄마 곰과 새끼 곰 2018-05-01 0 6018
222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버다거북 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9 0 5954
2226 [동네방네] - "철마"는 달리자고 울고 있다... 2018-04-29 0 5412
2225 [그것이 알고싶다] - "민체" = "통일" 2018-04-27 0 5737
2224 [그것이 알고싶다] - 남극 황제펭귄... 2018-04-26 0 5358
2223 [그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동물보호법"은?... 2018-04-26 0 5866
2222 [동네방네] - 페품팔이 할아버지= "기부왕" 2018-04-26 0 5287
2221 [그것이 알고싶다] - 유통 중지되는 "인민페" 알아보기... 2018-04-26 0 4258
2220 [이런저런] - "개영웅" = "경찰견" 2018-04-26 0 3433
2219 "별 볼일 없는 걸림돌 아니라 좋은 리정표 되는 징검돌 되기" 2018-04-26 0 5795
221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곡초처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6 0 4364
22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후변화대응책",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5 0 5189
2216 [별의별] - 불행을 세번이나 버텨낸 사나이 2018-04-25 0 5823
2215 [록색문학평화주의者]-"농약 범벅 봄나물",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5 0 5697
22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통일잔치",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5 0 6311
221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원 동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5 0 5227
2212 [그것이 알고싶다] - 새들의 떼죽음과 포도주 찌꺼기?... 2018-04-25 0 5119
2211 [그것이 알고싶다] - 강아지 혀 내밀고 "헥헥" 할때는 왜?... 2018-04-25 0 5230
2210 [쉼터] - 봄비는 뭇생명들을 부른다... 2018-04-25 0 5480
2209 [별의별] - 원숭이가 사진기를 빼앗아 사진 찍다... 2018-04-25 0 5484
220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폐사 "바다거북",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5 0 5448
22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돌고래 "폼폼"아, 잘자라거라... 2018-04-25 0 5960
2206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도 "판소리 막걸리축제"가 있었으면... 2018-04-24 0 6033
220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대곰아, 무럭무럭 자라거라... 2018-04-23 0 4820
22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눈표범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3 0 5137
220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아이구... 흑조 내 새끼야, 함함해라... 2018-04-23 0 5801
2202 [고향축구력사] - 길림축구팀 창립 멤버 중 한사람 - 박광순 2018-04-23 0 3052
2201 [고향소식] - 너도나도 "씨름장수" ~황소는 내것이다~... 2018-04-23 0 3791
2200 [고향소식] - 벗님네들, 진달래민속촌으로 놀러 오이소... 2018-04-23 0 4025
2199 [동네방네] - 기네스 도전 = 태권도 "평화의 함성" 2018-04-22 0 5605
21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등에너지절약,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4-22 0 5993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