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시인의 길"을 조성했으면...
2018년 05월 15일 01시 09분  조회:5463  추천:0  작성자: 죽림

어느 봄날,
김용택 시인과 거닌 섬진강 길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2018.05.13. 
 
 
 
마음이 치유되는 섬진강 문학마을길
섬진강 길을 걷고 있는 김용택 시인© News1 윤슬빈 기자

(전북=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봄날, 섬진강 길은 연둣빛으로 그득하다.

매화와 벚꽃이 지고 난 자리엔 싱그러운 녹색잎이 무성해지고 온갖 야생화들이 길섶을 수놓고 있다. 녹음 사이로 흐르는 물줄기는 햇볕에 반짝반짝 은빛을 낸다.

그 풍경 속 걷기만 해도 마음이 치유되는 구간이 있다. 전북 임실의 '섬진강 문학마을길'이다. 섬진강 500리 중 약 8km 길이의 '진뫼마을~구담마을'까지 이어지는 길로 이곳의 소박한 자연 속엔 순박한 김용택 시인이 살고 있다.

마을 주민과 여행자들이 잠시 쉬어가는 김용택 시인의 옛 집© News1
옛집에 부착된 김용택 시인의 이름표© News1

시인의 마을은 섬진강 길을 걷다가, 잠시 땀을 식히기 좋은 길목에 자리해 있다. 이름은 진메 마을. '진메'는 마을 앞에 긴 산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진뫼', '장산마을'로도 불린다.

시인의 옛집은 진메 마을 내에서 전망으로는 으뜸이다. 돌담에 작은 마당이 있는 옛집에 툇마루에 앉아 있으면 섬진강과 산을 바로 마주하게 된다.

이러한 풍경을 김용택 시인은 70평생을 보면서 살고 있다. 그는 1978년 덕치초등학교 교사를 시작해 지난 2008년까지 38년간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재직 중 1982년 창작과비평사가 펴낸 '21인신작시집'에 연작시 섬진강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진메마을에서 천담마을까지 걷는 중간에 만나게 되는 봄 풍경© News1

또 그는 하루도 빠짐없이 보는 것만으로 부족해 섬진강 주변을 부지런히 오고 간다.

새벽 6시에 천담마을까지 약 40분을 걷는데, 바로 이 구간이 시인이 '서럽도록 아름답다'고 했던 바로 그곳이다.

"남들은 좋은 풍경도 하루 이틀이지 섬진강에서 사는 것이 지루하지 않냐고 하는데, 매일 똑같이 흐르는 강물이 어딨겠냐. 새들의 지저귐도 유심히 들으면 그렇게 재미있을 수가 없다."

그가 걷는 이 구간은 봄에 걷기에 그지없이 좋다. 햇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이 일렁이는 섬진강은 보기만 해도 마음속까지 맑아지는 기분이다.

야생초를 뜯어서 맛을 보는 김용택 시인© News1
섬진강 풍경© News1

시인처럼 강변을 따라 걸으면 어느새 자연이 길동무가 되어 준다.

"어린 산이 따라올 때가 있다. 그럴 때 '이리 오거라'라고 어린 산을 불러두고. 같이 바위에 앉아 섬진강을 바라보며 땀을 식힌다"

그가 말하는 어린 산은 정확한 실체는 없지만, 아마 섬진강 주변 자연의 하나일 것이다. 그만큼 주변엔 때 묻지 않은 자연만이 펼쳐진다. 걷다 보면, 자연이 주는 선물도 받게 된다. 봄이면 맛과 향이 일품인 두릅이 올라오면 하나둘 따고, 여름이면 입가심용으로 산딸기를 따서 먹으며, 길을 거닌다.

천담마을에 다다른 김용택 시인© News1

그가 매일 천담마을을 목적지로 둔 이유는 또 하나가 있다. 섬진강변에 귀농·귀촌인들의 제자를 두고 있어서다.

최근 농촌으로 정착하려는 도시민들이 느는 추세이지만, 대부분 원주민과의 갈등으로 대개 1년을 못 버티고 떠나는 경우가 많다. 섬진강의 '강변사리'의 경우 그런 면에서 성공적인 귀농·귀촌인 모임이다.

이들은 섬진강 마을의 분위기를 흐리지 않고 가꾸어 나가고 있다. 주기적으로 모여 영화 이야기, 기타 모임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그중 하나가 김용택 시인과 함께하는 문학 캠프다.

김용택 시인에 따르면 글 쓰고 시를 짓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니다.

"자연을 관찰만 해도 너무 재미있다. 봄이 되면 꽃을 피워주니 얼마나 재밌나. 자연이 하는 말은 받아쓰기만 해도 곧 시가 된다. 나무만큼 시를 잘 쓰는 사람도 없을 것"

섬진강 길을 따라가다 보면 돌에 새겨진 김용택 시인의 시들을 볼 수 있다. © News1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97 [그것이 알고싶다] - 초(秒)?... 2018-02-22 0 3636
1996 [동네방네] - 동계올림픽과 20년만에 공동 금메달 2018-02-22 0 5737
1995 [이런저런] - 올림픽과 "찰나"와 시간의 의미 2018-02-22 0 3765
1994 [그것이 알고싶다] - 올림픽과 "1000분의 1초"와 금메달 2018-02-22 0 4324
1993 [이모저모] - 올림픽과 "0.01초"와 "짧은 다리" 2018-02-22 0 3769
1992 [그것이 알고싶다] - 문화재보호, 남의 일 아니다... 2018-02-22 0 5079
1991 [그것이 알고싶다] - 지진, 남의 일 아니다... 2018-02-22 0 5873
1990 [이모저모] - 력사는 력사다...2 2018-02-21 0 3812
1989 [이모저모] - 력사는 력사다... 2018-02-21 0 5379
1988 [그때 그사람] - 중국 축구계에서 최은택감독을 잊을수 없다... 2018-02-21 0 3646
1987 [그것이 알고싶다] - "바위지도"?... 2018-02-21 0 5630
1986 [그것이 알고싶다] - 얼굴그림그리기와 아이들 심리... 2018-02-21 0 3864
1985 [쉼터] - 손 잃고 손을 그리는 사람, 발로 손을 그리는 사람... 2018-02-20 0 6164
1984 [동네방네] - 요지경이들 기상천외한 화장법 2018-02-20 0 5604
1983 중국 청나라 문인 - 원매(袁枚) 2018-02-20 0 5741
1982 [이런저런] - "가족려행용차" 한대 살가말가... 2018-02-20 0 4822
198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리 연변지역에 늑대가 있는감?... 2018-02-20 0 4673
1980 [쉼터] - 30년 고민해 쓴 두 글자... 2018-02-20 0 5232
1979 [그것이 알고싶다] - "떡국"?... 2018-02-20 0 4004
1978 [그것이 알고싶다] - 올림픽과 이상기후와의 "전쟁"은 진행형... 2018-02-20 0 5039
1977 [그것이 알고싶다] - 록색...? 갈색...? 2018-02-20 0 5389
1976 [그것이 알고싶다] - 약, 약, 약...또... 2018-02-20 0 6082
1975 [그것이 알고싶다] - 약, 약, 약... 2018-02-20 0 5351
1974 [그것이 알고싶다] - 거미야, 나와 놀쟈... 2018-02-20 0 5691
1973 [쉼터] - 도마배암아, 나와 놀쟈... 2018-02-20 0 5203
1972 [그것이 알고싶다] - "신정"? 양력설, "구정"? 음력설, 춘절... 2018-02-20 0 5355
1971 [그것이 알고싶다] - 윤년?, 윤달?... 2018-02-20 0 5493
1970 [그것이 알고싶다] - 신화, 전설속에서 등장하는 동물들?... 2018-02-19 0 4770
19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독수리 서식,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19 0 5429
1968 [쉼터] - 오너라 봄아... 봄아 오너라... 2018-02-19 0 5060
196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자연서식환경,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19 0 5211
1966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도 "옥수수대들불축제"가 있었으면... 2018-02-19 0 5117
196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대곰 때문에 웃고 우는 사람들 2018-02-19 0 5070
1964 [쉼터] - 어디 한번 "고래사냥" 떠나볼가... 2018-02-18 0 5539
19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멸종위기동물,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18 0 5851
1962 [토깨비방망이] - "똑" 잘라갔다... "뚝" 붙잡히다... 2018-02-18 0 3782
1961 [쉼터] - 최대한 "0"으로 살아가자... 2018-02-18 0 3608
1960 "아직 다섯수레의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은 이 방에 들지 말라"... 2018-02-18 0 5258
1959 [이런저런] - 맹장 수술 받고도 썰매 타다니... 2018-02-18 0 5786
195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까치야, 까치야, 네가 "유해조"라고? 2018-02-15 0 4956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