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버다거북 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년 04월 29일 01시 43분  조회:5957  추천:0  작성자: 죽림

[살아남아고마워]
대북 삐라는
멸종위기 붉은바다거북의 사인일까?

김기범 기자  2018.04.28. 
 
 

[경향신문] 김기범 기자의 살아남아줘서 고마워(26) - 대북 삐라는 멸종위기 붉은바다거북을 죽음으로 몰고갔을까.

지난 17일 오전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 부검실에서 폐사한 바다거북의 소화기관을 확인하던 연구진은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다거북에 소장에서 나온 이물질 때문이었습니다. 뻣뻣한 비닐 재질의 물체로 추정됐던 이물질을 물에 씻자 작은 글씨가 깨알같이 빼곡하게 적혀 있었습니다. 이 이물질에 적힌 글자들을 살펴보니 비닐의 정체는 한국의 극우단체들이 북한으로 날려보내던 ‘대북 삐라’였습니다.

내장에서 발견된 ‘비닐 전단지’ 지난 17일 오전 바다거북 폐사체에서 나온 비닐 재질의 전단에 글자가 깨알같이 적혀 있다. 바다거북의 주요 사인도 이 같은 플라스틱 종류의 쓰레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김기범 기자

바다거북의 체내를 확인하던 수의사들은 “장이 심하게 꼬여있는 것이 직접적인 사인”인데 “이물질들도 영향을 미친 것만은 분명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대북 삐라가 바다거북을 죽게한 직접적인 사인이 됐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바다거북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을 것이라는 사실만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려워 보였습니다. 바다거북의 체내에서는 대북 삐라 외에도 낚싯줄, 그물, 비닐조각 등 다양한 이물질이 확인됐습니다. 소화기 밖으로 배출되지도 않는 커다란 이물질들을 섭취한 바다거북은 무척 괴로웠을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푸른바다거북.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이날 국립생태원에는 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생태원, 충북대, 전남대, 세계자연기금(WWF), 여수 한화아쿠아플라넷 등의 해양생물 연구자, 수의사, 사육사 등 10여명이 모여 바다거북 폐사체 4구의 부검을 실시했습니다. 2016년과 2017년 국내 연안에서 발견된 거북의 폐사체 중 4구를 부검하고, 조직을 확보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바다거북은 국내에 서식하는 대형 해양생물 가운데 보호대상 생물로 지정된 종이지만 아직까지 바다거북의 생태는 베일에 가려있는 상태입니다. 이렇게 많은 기관들이 모여 협업하면서 바다거북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첫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큰 의미를 지니는 이유입니다. 구체적으로 해양생물자원관은 앞으로 실시될 바다거북 부검의 총괄 관리와 먹이원 분석, 미생물 확인, 부검 이후 남는 거북 폐사체와 골격 등의 활용을 맡기로 했고, 생태원은 부검실 제공과 사인 규명을, 전남대는 중금속 중독 여부 확인, 충북대는 기생충 감염 여부 조사 등을 맡아 연구하는 방향이 결정됐습니다. WWF에서는 바다거북 보호의 필요성과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한 캠페인도 벌이기로 했습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진이 폐사한 바다거북을 부검하기 전 신체 치수를 측정하고 있다. 김기범기자

국내에서는 주로 제주도와 동해안과 남해의 여수 등 지역에서 바다거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대북 삐라가 확인된 바다거북 역시 강원 속초 조양동에서 발견된 수컷였습니다. 이날 부검 대상이 된 바다거북 폐사체들은 2016~2017년 강원 속초, 부산 기장, 포항 송도, 강원 고성 등에서 발견된 개체들이었습다. 해양생물자원관이 중심이 된 공동연구진은 지난해부터 바다거북 폐사체가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지역에서 주민 홍보를 시작했는데 현재까지 20여건이 접수된 상태입니다.

바다거북 폐사체를 뭍으로 끌어올리는 모습.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연구진에 따르면 바닷가 주민들이 바다거북 폐사체를 발견할 경우 기존에는 바닷가에 묻어주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용왕의 신하라는 이미지를 가진 탓에 잘못 대했다가는 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 인식이 주민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그래서 다른 대형생물들, 특히 돌고래나 상괭이(토종돌고래) 등이 그물에 혼획되었을 때에 비해서는 풀어주는 비율도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진이 폐사한 바다거북을 부검하기 위해 배딱지를 절개하고 있다. 김기범기자

연구진이 발견한 폐사체들에서는 앞서의 붉은바다거북에서처럼 비닐 등 인간이 버린 폐기물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상황입니다. 현재까지 실시한 9건의 부검에서도 대부분 폐사체에서 플라스틱, 비닐, 철망, 코르크 등의 이물질이 확인됐다.

바다거북 폐사체에서 확인된 이물질.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바다거북 폐사체에서 확인된 이물질.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은 모두 7종인데 6종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돼 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장수거북,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등 4종이 확인된 바 있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바닷물이 점점 따뜻해짐에 따라 더 많은 종이 한반도 쪽으로 북상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구조한 바다거북들을 방류하는 모습.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해양생물자원관은 부검 연구 외에도 바다거북 구조 및 방류하고, 방류한 개체에 위성추적장치를 부착해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연구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연구결과가 축적되면 바다거북이 한반도의 바다에서 어떤 먹이를 먹고, 어떻게 이동해 번식하며, 어떤 이유로 죽어가는지 등 거북의 전 생애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공동연구진은 앞으로 1~2개월에 한 번씩 모여 바다거북 부검을 실시하고, 부검 결과를 국가데이터베이스에 남겨 체계적인 연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이들의 노력이 바다거북의 폐사체에서 비닐이 확인되지 않는 날을 앞당길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김기범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멧돼지병 전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27 0 5308
21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호의 사절" = 중국 "판다" 2018-03-25 0 5632
2115 [이런저런] - 세계에서 가장 몸값 비싼 동물 10 2018-03-25 0 4631
21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코뿔소야, 네 "코"가 무슨 죄가 있기에... 2018-03-25 0 4362
2113 [문단+교정] = 룡정의 자랑, "중국의 피카소" 한락연 알아보기 2018-03-25 0 5691
2112 [별의별] - "괴짜 운전사" 하늘 날다... 2018-03-25 0 4969
2111 [그것이 알고싶다] - 모나리자 그림속의 숨은 "수수께끼"?... 2018-03-24 0 7683
2110 [서민지구촌] - 사람냄새나는 "뒷골목" 가보기... 2018-03-24 0 3782
210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전등끄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24 0 5127
210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래 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24 0 4844
21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인간과 새와의 전쟁,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24 0 5533
2106 "무형문화재", 그 언제나 그 어느 때나 특급보호를 받아야... 2018-03-23 0 3305
210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군인과 고양이 2018-03-23 0 5020
2104 "평범함"의 낡은 건축이 "탁월함"의 새로운 건축으로 탄생하기 2018-03-23 0 3654
2103 [쉼터] - 치솔질은 어떻게?... 2018-03-23 0 3625
2102 [타산지석]-우리 연변에도 "전통조선민족칼전승인" 있었으면... 2018-03-23 0 4938
2101 [쉼터] - 호구(壺口)폭포 = 도화(桃花)수 2018-03-23 0 5218
2100 [고향자랑] - 연변사과배의 대변신... 2018-03-22 0 4593
20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아기 곰들아, 맘껏 뛰여 놀거라... 2018-03-22 0 5581
20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상 최후",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22 0 5470
2097 [그것이 알고싶다] - "축구"의 기원?...4 2018-03-21 0 3216
2096 [그것이 알고싶다] - "축구"의 기원?...3 2018-03-21 0 4163
2095 [그것이 알고싶다] - "축구"의 기원?...2 2018-03-21 0 3603
2094 [그것이 알고싶다] - "축구"의 기원?...1 2018-03-21 0 3704
209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5도, 6도",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20 0 4970
2092 [그것이 알고싶다] - "축구"의 유래?... 2018-03-20 0 5755
2091 [축구와 연변] - 조선민족 축구명장 = 안원생 2018-03-20 0 5518
2090 [고향자랑] - 우리 연변에서 "랭면문화축제"가 있었으면... 2018-03-20 0 3410
2089 [축구와 연변] - 조선민족 축구명장 = 리주철 2018-03-20 0 5740
2088 [쉼터] - 중국 현대축구 발원지... 2018-03-20 0 4765
2087 [축구와 연변] - 조선민족 축구명장 = 장경천 2018-03-20 0 5054
2086 [축구와 연변] - 조선민족 축구명장 = 박익환 2018-03-20 0 5600
2085 [축구와 연변] - 조선민족 축구명장들 2018-03-20 0 4861
2084 [그것이 알고싶다] - "엉뚱한 과학"과 "엉뚱한 진실" 2018-03-19 0 4923
2083 [그것이 알고싶다] - 령하 70'c에서도 사용 가능한 배터리... 2018-03-19 0 3541
208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원 동물 관람, 조용조용... 2018-03-19 0 3703
208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생태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3-19 0 5250
2080 [그것이 알고싶다] - 비행기 탑승 전에 피해야 할 음식... 2018-03-19 0 3771
2079 [동네방네] - *2018 중국 100개 대학 순위 2018-03-19 0 3565
2078 [별의별] - "고양이 화산" 2018-03-19 0 5445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