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한자 상형문자 알아보기...
2018년 04월 16일 23시 25분  조회:4107  추천:0  작성자: 죽림

疒, 虍, 彳...

위와 같은 한자들은 그 생김새가 절반밖에 없다.

우리는 몇 개나 알고 있을까?

 

zhì / zhài

고양이, 호랑이 등의 야수를 가리킨다.

고대에는 야수의 이름을 구성하는 한자에 모두 ‘치(豸)’라는 편방(偏旁)이 들어갔다.

獬豸(xiè zhì)는 중국 전설에 등장하는 야수로 외관은 양과 사슴을 닮았다. 머리 가운데 긴 뿔이 하나 있고 발은 양의 발을 닮았으며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주로 물가에 살고 충성스러운 성격을 가졌으며 시비•선악을 판단할 줄 알아 예로부터 법수(法獸)라고도 불렸다.

 

한자 본래의 의미는 ‘기대다’, ‘의지하다’, ‘질병’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각종 질병에 관한 한자에는 모두 ‘疒(병질엄)’이 부수로 사용된다.

 

위를 향한 발걸음, 등져서 벌리며 걷는 발걸음의 모양

 

호랑이 가죽에 새겨진 무늬

[사진 출처: 신화사/ 촬영: 왕자오보(王昭博)]

 

mián

주택, 뒤덮다

꼭대기가 있는 물건을 표현하는 한자의 부수로 많이 사용된다.

예: ‘집 가(家)’, ‘집 궁(宮)’, ‘우리 뢰(牢)’

[촬영: 중국신문사 두양(杜洋) 기자]

 

chì

천천히 걷다. 걷다가 쉬다가 하다.

‘다닐 행(行)’은 ‘조금 걸을 척(彳)’과 ‘자축거릴 촉(亍)’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척척촉촉(彳彳亍亍)’이란 단어가 있는데 이는 ‘천천히 걷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촬영: 인리친(殷立勤)]

 

guàn / kuàng

[guàn]:

대표적인 상형문자로 어린아이가 머리를 양갈래로 올려 묶은 모습을 뜻한다.

[kuàng]:

고대에는 ‘쇳돌 광(礦)’과 동자(同字)로 씌였다.

 

뱃속의 공기가 입을 통해 나오면서 소리내는 것, 즉 트림을 하는 것을 뜻한다.

 

piě

‘삐침 별(丿)’은 고대 ‘닦을 별(撇)’과 동자였다.

한자의 주요한 한 획으로 오른쪽 위에서부터 왼쪽 아래로 비스듬히 작성한다.

‘아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한자에 사용된다. 예: ‘창 모(戊)’의 뜻은 움직이지 않은 창(槍)이다.

 

jié

한자의 중요한 부수 가운데 하나이며‘사람 인(人)’의 변체자(變體字)이다.

금문(金文)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을 옆에서 본 모양으로

이러한 좌법(坐法)은 고대 사람들이 예의를 차리며 앉는 좌법,

양쪽 무릎을 꿇고 엉덩이를 다리 위에 올려 앉고

양손을 양쪽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은 모습을 뜻한다.

일본에서는 아직도 이러한 좌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shān / xiǎn

털을 이용한 장식,

그림을 그려 장식을 하는 것을 뜻함

[촬영: 중국신문사 탄다밍(譚達明) 기자]

중국에는 두 가지의 발음이 있는데 ‘xiǎn’으로 발음될 때는

고대 강족(羌族)의 복성[두 글자로 된 성(姓)]을 가리킨다. (예: ‘彡姐’)

 

huǒ / biāo

‘불’, ‘열기’ 등을 뜻한다.

중국어 발음으로 ‘huǒ’로 읽을 때는 ‘불 화(火)’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biāo’로 읽을 때는 사나운 불길이란 뜻을 가진다.

확대된 의미로는 ‘놈’ 등이 있다. 예를 들어: “二灬”는 멍청한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촬영: 우런화(烏仁花)]

 

chuān

1. ‘내 천(川)’과 생김새는 다르나 뜻은 같다. 2. 한자의 부수 가운데 하나

‘shùn’이라고 읽기도 하며 ‘헝클어진 머리 순(鬊)’과 같은 뜻이기도 하다.

‘내 천(巛)’은 상형문자이다. 갑골문에서는 큰 강이 흘러가는 모습을 뜻한다.

금문(金文)과 전문(篆文)에서는 획이 간소화되면서 가운데 선이 이어졌다.

해서(楷書)에서는 ‘川’과 ‘巛’을 구분해서 사용했으며 ‘巛’은 편방으로만 사용됐다.

이 외에도 ‘巛’을 ‘파광린린(波光粼粼: 잔잔한 물결이 맑고 깨끗하게 반짝거리는 모양)’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촬영: 왕레이(王磊)]

 

(번역: 은진호)

///시사세계(詩詞世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5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불쌍한 코끼리, 남의 일이 아니다... 2018-12-17 0 4978
255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쓰레기처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12-17 0 5256
2555 [그것이 알고싶다] - 세상에서 가장 비싼 책?... 2018-12-12 4 6370
2554 [고향수석] - 수석아, 수석아, 나와 놀쟈... 2018-12-12 0 4650
2553 [고향문단] - 이제도 늦지 않다... 시조 향기 모락모락... 2018-12-12 0 4192
2552 [동네방네] - 고추먹기대회 2018-12-12 0 4008
2551 [그것이 알고싶다] - 인류는 워낙 어디에서부터?... 2018-11-30 0 4803
255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래 떼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11-30 0 4833
2549 [그것이 알고싶다] - 털을 버렸다?... 털을 잃었다?... 2018-11-27 0 4730
2548 [세상만사] - 11층 아파트에서 추락된 두살배기 아기 살다... 2018-11-27 0 4184
2547 윤동주와 "비로봉" 2018-11-26 0 5407
2546 [타산지석] - 나무잎으로 돈 번다... 2018-11-26 0 4251
2545 [세상만사] - 분실된 지갑 찾았고 그속에 본래있던 돈보다 더... 2018-11-26 0 4051
2544 [그것이 알고싶다] - 철새 = 찌르레기 2018-11-26 0 6261
25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철새가 문제냐? 인간이 문제냐!!! 2018-11-25 0 4622
2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풍산개야, "통일개"야, 무럭무럭... 2018-11-25 0 3930
254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빛공해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11-24 0 4699
2540 [그것이 알고싶다] - 달(월)과 요일의 유래?... 2018-11-24 0 5464
2539 [작문써클선생님께] - 달력의 월(달)별 영어로 어떻게 쓸가ㅠ... 2018-11-24 0 5913
2538 [고향사람] - 김경도 축구선수, 그는 누구냐... 2018-11-23 0 4416
2537 [고향자랑] - 길림 서란 금성촌으로 놀러 오시라우... 2018-11-23 0 3981
25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8-11-23 0 4406
2535 [그것이 알고싶다] - 라침반 없이 오지에서 방향찾기... 2018-11-22 0 4213
2534 [그것이 알고싶다] - 도시에서 방향 찾기... 2018-11-22 0 4295
2533 [그것이 알고싶다] - 년륜으로 방향을 알수 있다?... 없다! 2018-11-22 0 4103
253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황새야, 맘껏 날아예거라... 2018-11-22 0 4531
2531 [동네방네] - "피사의 사탑" 은 "젊음"을 찾아가는가... 2018-11-22 0 4608
2530 [고향문단] - 연변일보 "해란강문학상" 3년만에 해빛 보다... 2018-11-22 0 4371
2529 [고향자랑] - 장백산 아래 연변 놀러 오이소(3) 2018-11-22 0 3537
2528 [고향자랑] - 장백산 아래 연변 놀러 오이소(2) 2018-11-22 0 3726
2527 [민속유산] - 룡정에서도 장훈아~, 멍훈아~... 2018-11-22 0 3696
2526 [겨레자랑] - 8천여명속에 울러퍼진 아리랑... 2018-11-20 0 4010
2525 [고향자랑] - 장백산 아래 연변 놀러 오이소(1) 2018-11-20 0 4008
2524 [그것이 알고싶다] - 백두산 2018-11-18 0 7132
25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농부, 농민, 농촌, 귀농... 2018-11-17 0 4919
2522 [쉼터] - 약, 약, 약... 2018-11-17 0 4951
2521 [타산지석] - 바람으로 부자 되라... 2018-11-17 0 4244
2520 [쉼터] - 책, 책, 책... 2018-11-17 0 4518
2519 [콕콕] -남들은 "김장쓰레기" 처리 이렇게 하는데 우리 이곳은? 2018-11-16 0 4738
2518 [그것이 알고싶다] - 킬로그램과 130여년... 2018-11-16 0 4732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