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한자 상형문자 알아보기...
2018년 04월 16일 23시 25분  조회:4092  추천:0  작성자: 죽림

疒, 虍, 彳...

위와 같은 한자들은 그 생김새가 절반밖에 없다.

우리는 몇 개나 알고 있을까?

 

zhì / zhài

고양이, 호랑이 등의 야수를 가리킨다.

고대에는 야수의 이름을 구성하는 한자에 모두 ‘치(豸)’라는 편방(偏旁)이 들어갔다.

獬豸(xiè zhì)는 중국 전설에 등장하는 야수로 외관은 양과 사슴을 닮았다. 머리 가운데 긴 뿔이 하나 있고 발은 양의 발을 닮았으며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주로 물가에 살고 충성스러운 성격을 가졌으며 시비•선악을 판단할 줄 알아 예로부터 법수(法獸)라고도 불렸다.

 

한자 본래의 의미는 ‘기대다’, ‘의지하다’, ‘질병’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각종 질병에 관한 한자에는 모두 ‘疒(병질엄)’이 부수로 사용된다.

 

위를 향한 발걸음, 등져서 벌리며 걷는 발걸음의 모양

 

호랑이 가죽에 새겨진 무늬

[사진 출처: 신화사/ 촬영: 왕자오보(王昭博)]

 

mián

주택, 뒤덮다

꼭대기가 있는 물건을 표현하는 한자의 부수로 많이 사용된다.

예: ‘집 가(家)’, ‘집 궁(宮)’, ‘우리 뢰(牢)’

[촬영: 중국신문사 두양(杜洋) 기자]

 

chì

천천히 걷다. 걷다가 쉬다가 하다.

‘다닐 행(行)’은 ‘조금 걸을 척(彳)’과 ‘자축거릴 촉(亍)’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척척촉촉(彳彳亍亍)’이란 단어가 있는데 이는 ‘천천히 걷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촬영: 인리친(殷立勤)]

 

guàn / kuàng

[guàn]:

대표적인 상형문자로 어린아이가 머리를 양갈래로 올려 묶은 모습을 뜻한다.

[kuàng]:

고대에는 ‘쇳돌 광(礦)’과 동자(同字)로 씌였다.

 

뱃속의 공기가 입을 통해 나오면서 소리내는 것, 즉 트림을 하는 것을 뜻한다.

 

piě

‘삐침 별(丿)’은 고대 ‘닦을 별(撇)’과 동자였다.

한자의 주요한 한 획으로 오른쪽 위에서부터 왼쪽 아래로 비스듬히 작성한다.

‘아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한자에 사용된다. 예: ‘창 모(戊)’의 뜻은 움직이지 않은 창(槍)이다.

 

jié

한자의 중요한 부수 가운데 하나이며‘사람 인(人)’의 변체자(變體字)이다.

금문(金文)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을 옆에서 본 모양으로

이러한 좌법(坐法)은 고대 사람들이 예의를 차리며 앉는 좌법,

양쪽 무릎을 꿇고 엉덩이를 다리 위에 올려 앉고

양손을 양쪽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은 모습을 뜻한다.

일본에서는 아직도 이러한 좌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shān / xiǎn

털을 이용한 장식,

그림을 그려 장식을 하는 것을 뜻함

[촬영: 중국신문사 탄다밍(譚達明) 기자]

중국에는 두 가지의 발음이 있는데 ‘xiǎn’으로 발음될 때는

고대 강족(羌族)의 복성[두 글자로 된 성(姓)]을 가리킨다. (예: ‘彡姐’)

 

huǒ / biāo

‘불’, ‘열기’ 등을 뜻한다.

중국어 발음으로 ‘huǒ’로 읽을 때는 ‘불 화(火)’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biāo’로 읽을 때는 사나운 불길이란 뜻을 가진다.

확대된 의미로는 ‘놈’ 등이 있다. 예를 들어: “二灬”는 멍청한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촬영: 우런화(烏仁花)]

 

chuān

1. ‘내 천(川)’과 생김새는 다르나 뜻은 같다. 2. 한자의 부수 가운데 하나

‘shùn’이라고 읽기도 하며 ‘헝클어진 머리 순(鬊)’과 같은 뜻이기도 하다.

‘내 천(巛)’은 상형문자이다. 갑골문에서는 큰 강이 흘러가는 모습을 뜻한다.

금문(金文)과 전문(篆文)에서는 획이 간소화되면서 가운데 선이 이어졌다.

해서(楷書)에서는 ‘川’과 ‘巛’을 구분해서 사용했으며 ‘巛’은 편방으로만 사용됐다.

이 외에도 ‘巛’을 ‘파광린린(波光粼粼: 잔잔한 물결이 맑고 깨끗하게 반짝거리는 모양)’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촬영: 왕레이(王磊)]

 

(번역: 은진호)

///시사세계(詩詞世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57 ... 2020-06-15 0 2508
2956 ... 2020-06-15 0 2712
295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850
295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743
2953 [세상만사] - 연주는 계속 되고지고... 2020-06-01 0 4897
295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농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31 0 4362
29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28 0 4515
2950 [그것이 알고싶다] - "미술계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28 0 4648
294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대기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17 0 4182
294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는 력사로 존중해야... 2020-05-14 0 4220
294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후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9 0 4410
29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돼지병",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9 0 4760
29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3 0 4709
29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음료수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3 0 4923
29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황새야, 별탈없이 잘 자라거라... 2020-04-26 0 4216
29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인간들 문제", 애매한 꽃들만 탈... 2020-04-24 0 4547
294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22 0 4599
2940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2020-04-22 0 4291
293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벌레문제", 심중하게 처리해야... 2020-04-22 0 4747
2938 [잊혀진 민속] - 담뱃대 2020-04-21 0 5014
2937 [그것이 알고싶다] - 지구의 날 2020-04-21 0 4526
29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매연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20 0 4389
2935 [우리의 것] - 활쏘기 2020-04-20 0 4523
293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먼지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20 0 4164
293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방사능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8 0 4497
2932 [민속] - 인절미(찰떡) 2020-04-15 1 6750
2931 [잊혀진 민속] - 뻥튀기 2020-04-13 0 4672
2930 [잊혀진 민속] - 짚신 2020-04-13 0 5190
2929 [잊혀진 민속] - 미투리 2020-04-13 0 5332
292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대기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3 0 4343
292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1 0 4020
29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뚜기 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0 0 4300
2925 [민속] - 담배쌈지 2020-04-10 0 5493
29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히말라야, 계속 같이 놀쟈..." 2020-04-10 0 4414
2923 [세계속에서] - 원주민들과 비상사태... 2020-04-10 0 4074
2922 [별의별] - "거리두기" 2020-04-10 0 4224
2921 [세계속에서] - 봉쇄령길에 피여난 "모성애꽃" 2020-04-10 0 3547
2920 [세계속에서] - 인간들 때문에 욕보는 꽃들... 2020-04-10 0 3932
2919 [민속] - 통발 2020-04-07 0 4568
2918 [민속] - 뚝배기 2020-04-07 0 401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