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영국 시인 - 월리엄 블레이크
2018년 03월 22일 23시 28분  조회:4027  추천:0  작성자: 죽림

 

순수의 예감

              월리엄 블레이크

 

한알의 모래알 속에서 세계를 보고

한송이 들꽃 속에서 천국을 본다.

그대 손바닥 안에 무한을 쥐고

순간 속에서 영원을 보라

 

   월리엄 블레이크(1757~1827)는 영국 시인이며양말공장 직공의 아들로 태어나 독학으로 시를 쓰고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성경은 매우 열심히 읽었지만 교회에는 전혀 나가지 않았고오히려거꾸로 종교와 교회를 비판했다고 한다
그의 [순수의 예감]은 매우 아름답고 신비로운 시이며그만큼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시라고 할 수가 있다. “한알의 모래알 속에서 세계를” 본다는 것은 이 세상의 근본물질이 모래알(원자)이라는 것을 뜻하고, “한송이 들꽃 속에서 천국을 본다는 것은 한송이 들꽃이 천국의 아름다움과도 똑같다는 것을 말한다모래알과 모래알의 결합에 의해서 이 세계가 태어나고모래알과 모래알의 분리에 의해서 이 세계가 해체된다한송이 들꽃은 천국의 아름다움이며이 아름다운 들꽃 속에서모든 시간은 무한으로 확대된다.모래알과 모래알의 결합도 순간이고들꽃과 들꽃의 피고 짐도 순간이다.

   하지만그러나 이 순간의 아름다움이 자아를 망각한 황홀함의 시간이 되고이 황홀함의 시간 속에서 영원불멸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순수는 때묻지 않은 시간이고더없이 아름다운 시간이며영원불멸의 시간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 [순수의 예감]은 스티브 잡스가 가장 사랑했던 시이며스티브 잡스는 그가 어렵고 힘들 때마다 이 시를 암송하며마침내드디어 스마트폰으로 여는 세상을 창출해내게 되었던 것이다. 21세기는 스마트폰의 세상이며, IT업계의 거장인 스티브 잡스의 세상이라고 할 수가 있다스티브 잡스의 스승은 상징주의 시인인 월리엄 블레이크이며상징이란 새로운 세상의 표지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천둥과 벼락의 화신인 제우스 신전아테네의 수호신인 팔라스 아테네의 신전빛과 진리와 예언의 신인 아폴로 신전브라만비쉬누시바의 신전 등----, 모든 신전과 성상들은 순수의 상징이며그 때묻지 않은 아름다움으로 영원불멸의 삶을 살아간다.

   한알의 모래알 속에서 세계를 보는 자한송이 들꽃 속에서 천국을 보는 자자기 자신의 손바닥으로 무한을 움켜쥘 수 있는 자만이 순간 속에서 영원을 보고새로운 세계를 창출해낼 수가 있는 것이다.

   오오순수여!

   오오영원한 순수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시인의 문학관 2015-02-19 0 4486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847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5158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618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4601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751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4498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4688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4474
74 조향 시론 2015-02-19 0 4658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4718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4612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4525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4394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4592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980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4725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4823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948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4769
63 3.0 2015-02-19 0 4086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4814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4386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833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5049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4682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4444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4762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5138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4570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859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4813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4566
50 ...계속 6 2015-02-18 0 4242
49 ...계속 5 2015-02-18 0 4617
48 ...계속 4 2015-02-18 0 4578
47 ...계속 3 2015-02-18 0 4406
46 ...계속 2 2015-02-18 0 4388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4797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4450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