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쉼터] - 중국 회화 력사상 가장 유명한 작품 중 1급 국보
2018년 03월 05일 23시 53분  조회:3077  추천:0  작성자: 죽림

북송(北宋).

장택단(張擇端)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 )>

 

 

 
북송(北宋) 시대 장택단(張擇端)의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 )>
사진출처: 베이징 고궁 박물관 소장품

[인민망 한국어판 7월 17일] 베이징 고궁 박물관 소장품이다. 견본(絹本), 채색, 폭 24.8cm, 길이 528.7cm로 극히 보기 힘든 북송 화가 장택단(張擇端)의 진귀한 작품이다.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는 중국 회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1급 국보이기도 하다.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는 정교한 궁비(工筆, 세밀화 화법)로 북송(北宋) 말엽, 휘종(徽宗) 시대 수도 변경(汴京, 허난 성의 도시 카이펑의 옛 이름)교외와 성 안 벤허(汴河) 양안의 건축과 민생을 기록했다. 북송 수도 벤량(汴梁) 및 벤허 양안의 청명절의 번화한 풍경과 자연 풍광을 묘사한 이 그림은 변경(汴京)의 번영을 입증해 주는 그림이자 북송 도시 경제 상황을 사실처럼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그림이다. 긴 두루마리 형식의 이 작품은 원근법(散點透視)을 채택해 번잡한 정경을 표현했다. 입은 옷도 모두 다르고 표정도 각양각색인 그림 속 인물 500여명은 각자 다른 일을 하고 있다. 그림은 드라마틱한 부분에 중점을 두었고 적당한 구도의 밀도로 인해 정취가 있으며 리드미컬하게 운율의 변화에 치중한 필묵 장법(筆墨章法)이 절묘하다. 그림 전체는 3개 단락으로 나뉘어 있다.

 

도입부: 변경 교외의 풍경

옅은 안개가 끼어 있고 초가집, 차오챠오(草橋, 다리), 흐르는 물, 고목, 조각배가 희미하게 보인다. 지게꾼 두 명이 짐 실은 나귀 다섯 마리를 몰고 도시를 향해 걸어가고 있다. 길에 있는 가마에는 한 여인이 타고 있다. 가마 지붕은 버드나무와 꽃으로 장식되어 있고 가마 뒤로 말 탄 사람, 짐을 진 사람들이 교외에서 답청 성묘를 하고 돌아오고 있다. 청명절이라는 특정한 시기와 풍속을 선택해 전체 그림의 서막을 열었다.

 

중간 부분: 바쁜 벤허(汴河) 부두

벤허(汴河)는 북송(北宋) 운송의 중추이자 상업교통의 요충지였다. 그림에 많은 사람들과 운집해 있는 배가 보인다. 사람들은 다관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관상을 보거나 식당에서 음식을 먹고 있다. 강의 배들이 오가는 모습, 선착장에서 일하는 인부들 모습, 사공이 노를 젓는 모습, 만선해서 거슬러 올라가는 배, 해안에 정박해 있는 배에서 짐을 하역하고 있는 모습 등이 보인다. 이 곳은 명성이 자자한 훙챠오(虹橋) 부두로 오가는 사람들과 배가 많아 늘 시끌벅적하다.

 

높다란 성루를 중심으로 양 쪽에 집들이 즐비하고 찻집, 술집, 발 안마소, 푸줏간, 사당, 궁세(公廨, 옛날 관원이 사무를 보던 장소) 등이 보인다. 능라주단(綾羅綢緞), 보석과 향료, 향불과 즈마(紙馬, 제사 때 태우는 종이로 만든 말)를 전문으로 파는 상점, 진료소, 대형 짐차 수리소, 관상 보는 곳, 면도해 주는 곳 등 각양각색의 상점이 늘어서 있다. 교통수단으로는 가마, 낙타, 우마차, 인력거, 태평거(太平車), 평두거(平頭車)가 다양하게 묘사되어 있다.

 

총 5미터남짓한 길이의 그림 속에 총 550여 명의 인물, 소, 말, 노새, 당나귀 등 5,60여 필, 수레, 가마 20여 대, 크고 작은 배 20여 척이 묘사되어 있다. 이 그림은 집, 교량, 성루 등 송대 건축의 특징을 잘 묘사하고 있다. (번역: 김명희)

명(明)나라 구영(仇英)의 모본(摹本)
사진출처: 타이완 국립고궁박물원 소장품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13 상상을 초월하는 "콜라주" 작품들... 만들고싶어지다...(2) 2017-10-22 0 8350
412 매력적으로 미쳐라... 그리고 상상속에서 살아보쟈... 2017-10-22 0 2072
411 새들에게는 두번 다시 반복되는 하루가 있을가... 2017-10-22 0 1820
410 [이런저런] - 소금으로 조각품 만들다... 2017-10-21 0 1725
409 시작도 극적인 성격과 조각적인 성격을 융합해야... 2017-10-21 0 2157
40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자연아, 이야기하라... 2017-10-21 0 3410
407 상상을 초월하는 "콜라주" 작품들... 만들고싶어지다... 2017-10-21 0 2050
406 상상을 초월하는 "콜라주" 건축물들... 살고싶어지다... 2017-10-21 0 2887
405 지도를 오려 붙혀 그림 작품 탄생시키다... 2017-10-21 0 3080
404 그림과 그림 밖에서 봐야 할 그림과 그림 밖... 2017-10-21 0 4762
403 독일 녀성 화가 파울라 최초로 누드 자화상 낳다... 2017-10-21 0 3814
402 시작에서도 이미지의 무게가 손에 잡히는 느낌을 주어야... 2017-10-20 0 2726
401 [쉼터]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요지경... 2017-10-19 0 2326
400 조형언어가 추상적으로 표현된 형태시의 력작 그림... 2017-10-19 0 2565
399 전생애에 오직 4점의 풍경화만 그린 "인물화가" 2017-10-19 0 2298
398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도 "3D 벽화 마을"이 있었으면... 2017-10-16 0 2254
397 시작에서 자아(自我)의 결산을 발달된 색채의 극치로 보여주기 2017-10-16 0 1916
396 거대한 마음의 상징물들을 그림화한 "귀를 잘라 버린" 화가 2017-10-14 0 2550
395 사군자화(四君子畵) =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 2017-10-13 0 3153
3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나무 구멍 사이에 그려진 그림들... 2017-10-13 0 2450
393 시작을 토속적인 방언으로 영원한 시의 지평을 열어야... 2017-10-13 0 1865
392 시작도 형(形)과 색(色)의 교향(交響)의 조합을 실현해야... 2017-10-12 0 1974
391 시인들도 시작에 자아도취하지말고 평생 만족할줄 몰라야... 2017-10-12 0 2079
390 시작도 실제 경험과 모순되는것의 합리적 느낌으로 쓰기... 2017-10-11 0 3049
389 시와 그림은 사촌지간이다... 2017-10-11 0 2207
388 2차원의 평편 위에 3차원 공간을 만든 화면의 연금술사- 에셔 2017-10-11 0 1867
387 네덜란드 판화가, 초현실주의 화가 - 에셔 2017-10-11 0 2375
386 [이런저런] + "그림의 마술사" =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가짜 2017-10-11 0 2709
385 詩도 세로가로 이등분법(二等分)적 그늘과 양지로 표현해야... 2017-10-10 0 2516
384 한글, 우리 민족 이어주는 위대한 공동 유산 2017-10-09 0 1598
383 그림의 여백부분이 훌륭한 웅변적 표현력을 과시, 암시효과 2017-10-09 0 2283
382 과거와 현재를 한꺼번에 그리기... 2017-10-08 0 2156
381 [쉼터] - 같은 사진을 찍어도 좀 남다르게... 2017-10-05 0 2340
380 [쉼터] - 위인 초상화 2017-09-29 0 1799
379 [이런저런] - 마광수님, "문인화" 범주에서 "외도"해보기... 2017-09-26 0 1618
378 [중국 이모저모] - 중국 하르빈 "건축예술광장"에서- 2017-09-25 0 2652
377 [고향자랑] - 중국 연변 황금가을 구경 오이소... 2017-09-25 0 1559
376 [그림한점] - "인생아리랑" 2017-09-23 0 1637
375 [미술시장] - 청록색 전면점화 "무제" 새 주인 찾았다... 2017-09-19 0 1541
374 마광수님은 화가의 꿈도 꿨었다... 2017-09-14 0 250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