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악수"의 유래?...
2018년 02월 06일 22시 39분  조회:5458  추천:0  작성자: 죽림

[火요일에 읽는 전쟁사]악수를 할 때,
          왜 반드시 오른손을 내밀어야 할까?

이현우 2018.02.06. 
 
 
2차 세계대전 6개월 전, 나치 독일을 이끌던 히틀러는 영국 총리인 네빌 체임벌린과 뮌헨 협정을 통해 평화선언을 이끌었다. 당시 영국정부는 히틀러의 의도를 오판하고 그의 팽창의욕을 꺾었다 생각했다. 당시 두 사람의 악수는 '거짓된 악수'로 두고두고 역사에서 회자됐다.(사진=위키피디아)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인사방식이 제각각인 국제 외교장에서, 단 한가지 인사만은 통용되는데 그것이 바로 '악수'다. 당사자 두 사람이 오른손을 꺼내 맞잡고 손을 위아래로 흔든 뒤, 손을 놓는 이 인사방식은 문화와 종교를 초월해 거의 모든 문명권에서 익숙한 인사방식이다. 그런데 여기엔 중요한 원칙이 있다. 바로 왼손은 절대 내밀면 안된다는 점이다.

사실 왼손잡이인 사람의 입장에서는 조금 난감할 수도 있지만, 전통적으로 악수는 반드시 오른손끼리 맞잡게 돼있다. 이것은 전쟁터에서 확립된 악수의 기원과 관련이 있다. 왜 하필 오른손을 써야하는지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악수가 외교적 인사법으로 처음 정착된 중세 유럽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야한다.

중세 유럽의 봉건사회는 겉보기엔 신분제와 교회의 계서제로 철저한 신분제 사회였던 것으로 비춰지지만, 실제로는 그야말로 사방이 적이고, 하극상은 일상인 시대였다. 법보다 주먹이 가까운 시대였고, 사람들은 일상 생활에서도 무장을 했으며 전투용으로 쓰던 작은 나이프를 그대로 식기로 사용하던 시대다. 유럽의 고성(古城)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긴 테이블 역시 나이프로 식사 도중 암살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정도로 일상 자체가 위험하고 험악한 시기였다.

주요 양식기인 포크와 나이프는 원래 모두 살상도구에서 출발했으며, 중세시대에는 너무 가까운 거리에서 식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었다. 그래서 좌석 간 거리가 긴 테이블이 유행했다.(사진=옥션)

이런 시대에 양자가 악수할 정도의 거리는 곧 목숨을 담보해야할 정도로 가까운 거리였다. 갑자기 분위기가 급변해 나이프를 빼서 상대를 찌르면 그만인 시대인만큼, 이런 암살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예절이 필요했다. 그렇게 태어난 것이 바로 악수다. 상대방과 싸울 의사도 없고, 암살할 의지도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서로 오른손을 맞잡고 인사를 하는 방식이 굳어진 것.

좀더 시간이 지나면서, 소형 화기인 권총이 유행하자 악수법이 살짝 바뀌었다. 두 손을 맞잡을 뿐만 아니라 손을 크게 위아래로 흔들기 시작했다. 이는 옷 안에 암살 용도의 권총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행동이었다. 상호간에 목숨을 유지하기 위해 철저히 계산된 인사법이었던 셈이다.

물론 악수의 기원이 이보다 앞섰다는 설도 있다.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통치자가 신성한 힘을 내려주는 의미로 손을 잡았다거나 고대 로마에서 독재자인 카이사르가 오른손으로 악수하는 인사법을 동방에서 배워와 병사들에게 가르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서구사회에서 악수법이 뿌리깊게 박히게 된 것은 모두 중세시대 이후부터였고, 이는 무기도 없고 살상 의지도 없음을 분명히 하는 인사법이자 외교적 수사로 자리잡았다.

중세시대 서양에서는 주로 비전투원이었던 여성에게는 악수를 청하기보다는 손에 입맞춤을 하는 인사가 보편적이었다. 이것은 보통 그 집의 주인이나 영주에게 바치는 존경의 의미였다.(사진=영화 '타이타닉' 장면 캡쳐)

그래서 원래 무장하지 않은 비전투원에게 악수를 청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었다. 이런 의미에서 중세시대에는 여성에게는 악수를 청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악수와 관련된 여러 예절들이 신설되면서 여러 부가적인 에티켓들이 생겨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의 전 근대시대 계급사회의 예절과 맞물리면서 꽤 복잡해졌다. 상급자가 악수를 청할 때까지 기다려야하거나, 손을 먼저 움켜줘도 안되고, 손을 오래잡고 있어서도 안되는 등 부가적인 사항들이 추가됐다.

이런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오해가 생기기도 했는데, 지난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게이츠 회장의 만남이 대표적이다. 당시 빌게이츠 회장은 박 전 대통령과 악수를 할때, 왼손을 주머니에 넣고서 했는데 이것이 한국에서는 큰 결례에 해당하는 행동이었지만, 서양에서는 그다지 큰 결례가 아니기 때문에 화제가 됐었다.

원래 악수는 다른 예의를 따지기 이전에 상호 해칠 의사가 없음을 확인하는 인사였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목례도 하지 않고 상대 눈을 바라보면서 허리를 꼿꼿이 편채, 오른손만 서로 맞잡고 흔드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길게 이야기하지도 않고 악수가 끝나고 나서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시대가 지나면서 국가마다 악수에 가미된 예절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방문 전에 그 지역 악수법에 대해 배워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현우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07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영화 황제 김염과 제주도 2021-05-08 0 2679
3076 [별의별] - 국경과 농부 2021-05-07 0 2939
307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구마혁명",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2838
30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유산모으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3111
3073 [그것이 알고싶다] - 오스카상... 2021-04-27 0 2983
3072 [그것이 알고싶다] - 윤여정과 "선물가방" 2021-04-27 0 4796
3071 [그것이 알고싶다] - "팔도 김치" 2021-04-16 0 3245
3070 [고향소식] - 화룡 길지 "돌"로 뜨다... 2021-04-01 0 3672
30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바다환경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3-30 0 3070
3068 [그것이 알고싶다] - 수에즈 운하 2021-03-30 0 3724
306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치마 시위" 2021-03-30 0 3333
306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다 잘 될거야"... 2021-03-30 0 3367
306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차라리 날 쏴라"... 2021-03-30 0 2957
3064 [세상만사] - 눈사람과 환경미화원 2021-01-30 0 2896
3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폐의약품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1-28 0 2937
306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철조망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1-28 0 3297
3061 "시는 그림자도 춤추게 하는 메아리" 2021-01-26 0 3160
3060 [세상만사] - 하면 된다... 2021-01-26 0 2960
3059 [그것이 알고싶다] - 색... 2021-01-21 0 3030
3058 [그것이 알고싶다] - 22... 계관시인... 2021-01-21 0 3311
3057 [그것이 알고싶다] - 그림자... 2021-01-21 0 3246
3056 [그것이 알고싶다] - 4... 8... 2021-01-19 0 3083
3055 [타산지석] - 본받을만한 훌륭한 아버지... 2021-01-17 0 2847
3054 [회초리] - 표절, 도용, 저작권, 량심... 2021-01-17 0 3433
3053 [그것이 알고싶다] - "김"씨냐, "금"씨냐... 2021-01-15 0 3116
3052 가장 진실되고 독창적인 목소리를 내야... 2021-01-15 0 2866
3051 [그것이 알고싶다] - 돌잔치와 돌잡이 2021-01-14 0 4499
3050 [세상만사] - "아리랑과 외국인" 2021-01-14 0 3131
3049 [그것이 알고싶다] - 지방 쓰는 법, 명정 쓰는 법 2021-01-11 0 4675
3048 [세상만사] - "꽁꽁" 2021-01-11 0 2797
3047 [세상만사] - "영화와 경계선" 2021-01-09 0 3211
3046 [세상만사] - "기부자와 기부금" 2021-01-08 0 2995
3045 [그것이 알고싶다] - "민주와 민주" 2021-01-07 0 3194
30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 "두만"이... 2020-12-29 0 3620
30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범"아, 어서 어서 돌아오라... 2020-12-26 0 4041
3042 [세상만사] - "지문" 있다?... 없다!... 2020-12-26 0 3716
3041 [록색문학평화주의者]-백두산 호랑이 = "두만"아, 잘 가거라... 2020-12-20 0 3244
304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2-20 0 3299
3039 [세상만사] - "유산 싸움과 월드컵 축구경기..." 2020-12-18 0 3010
3038 [세상만사] - "연등 = 인류무형유산" 2020-12-16 0 3314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