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마음의 휴식이 필요한 요즘, 시를 감상하기..
2018년 02월 02일 02시 08분  조회:2483  추천:0  작성자: 죽림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아름다움이다 .

 

-버리고 떠나기 중에서 -

-----------------------------------------

 

 

기형도의 삶과 문학ㆍ그로테스크

 

|딱딱한 태양

시인으로서의 기형도의 힘은 그가 가난과 이별을 체험을 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체험에서 의미 있는 하나의 미학을 이끌어냈다는 데 있다

그 의미 있는 미학에 나는 크로테스크grotesque 리얼리즘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싶다

이것은 그로테스크한 의미지들로 시를 만드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물론 그것은 일상 생활에서 보기 힘든 괴이한, 부정적 이미지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것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가령, 기형도의 시에 나오는,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

비유하는 이미지나,

 

"청년들은 톱밥같이 쓸쓸해 보인다"

서로 엉키지 못하는 젊은이들의 비연대성을 보여주는 이미지나,

 

"하늘은 딱딱한 널빤지처럼 떠 있다"

에서 딱딱함이라는 의미소 주변으로 모인다 하더라도, 그것 때문에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아니다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그런 괴이한 이미지들 속에, 뒤에, 아니 밑에, 타인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자신 속에서 암종처럼 자라나는 죽음을 바라다보는 개별자, 갇힌 개별자의 비극적 모습이, 마치 무덤 속의 시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는 데에 있다

시인은 우선 그의 모든 꿈이 망가져 있음을 깨닫는다

가난과 이별은 그 망가진 꿈의 완강한 배경 그림이다

꿈의 환멸은 삶을 "하찮은 문장 위에 찍힌/방점과도 같은"것으로 느끼게 한다

하찮은 문장 위에 찍힌 방점! 책 읽기와 잘못 강조된 삶의 교묘한 삼투

그래서 시인은 자기가 이미 늙었자고 느낀다

그에게 남은 것은 죽음뿐이다

그러나 그는 열심히 살려고 한다

 

"오랫동안 나는 곰팡이 피어

나는 어둡고 축축한 세계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진눈깨비처럼 나는 곧 사라질 것이라는 생각에 집요하게 시달린다

"진눈깨비 쏟아진다

갑자기 눈물이 흐른다, 나는 불행하다/이런 것은 아니었다, 나는 일생 몫의 경험을 다했다, 진눈깨비"

이 도저한 자기 인식은, 젊어서 이미 지나치게 늙어버린 희귀하게 예민한 사람의 자기 인식이다

 

"나무들은 그리고 황폐한 내부를 숨기기 위해/크고 넓은 이파리들을 가득 피워냈다/나는 어디로 가는 것읽ㆍ, 돌아갈 수조차 없이/이제는 너무 멀리 떠새려온 이 길/나를 찾지 말라"

그러면서도 그는 계속 쓴다

글쓰기에 대한 이 미친 듯한 정열

그것이 우울한 정열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는 쓴다

 

"내 희망을 감시해온 불안의 짐짝들에게 나는 쓴다/이 누추한 육체 속에 얼마든지 머물다 가시라고/모든 길들이 흘러온다, 나는 이미 늙은 것이다《정거장에서의 충고》"

이미 늙은 시인에게 남은 것은 죽음뿐이다

 

"나와 죽음은 서로를 지배하는 각자의 꿈이"된다

죽음만이 망가져 있지 않은 시인의 유일한 꿈이다

 

기형도의 시가 아주 극단적인 비극적 세게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부정성을 그 이전에 보여준 시인은 그리 많지 않다

아무리 비극적인 세계관에 침윤되어 있더라도, 대부분의 시인들은 낙관적인 미래 전망의 흔적을 보여준다

(김현, 문학평론가/1989)

 

나는 미래를 차단시킨 사람이 과거에 집착하는 모습을 기형도 시와 관련시켜 보고자 한다

시에서 "이미 늙었다"는 말을 자주 하는 데, 작품 속의 화자는 분명히 청년의 얼굴을 하고 있는데, 그의 입에서는 자신이 "늙었다"라는 것이다

늙었음을 강조하는 것은 인생의 비밀을 그가 젊은 나이에 벌써 다 알아버렸다는 의미도 될 것이고, 따라서 생에 대한 의욕이 더는 없다는 의미도 될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의 정신이 미래를 지향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래를 생의 도표에서 차단시킨 사람에게 남는 것은 과거뿐이려니와 과거만이 누군가의 생을 지배한다는 것은 바로 지금이 이 시점이 그에게는 생이 마지막 지점과 다르지 않다는 의미가 된다

(정효구, 문학평론가/1992)

 

|아름다움

기형도나 벤야민이나 그들이 말하고자 했던 아름다움이란 '자신의 언어로 빚어낸 세계에서 괴로워하는 권리'같은 것(김경주)

 

《포도밭 묘지2》의 "이곳에서 너희가 완전히 불행해질 수 없는 이유는 신이 우리에게 괴로워할 권리를 스스로 사들이는 법을 아름다움이라 가르쳤기 때문이다"라는 구절을 기형도 시의 미학을 잘 보여주는 핵심적인 구절

(하재연)

 

그는 한때 시 쓰기란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 말해야 하는 '불행한 쾌락'이라고 말했으니까(박해현)

 

가장 행복한 독자는 자기가 좋아하는 시인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독자다

시인에 대한 이미지가 깨지는 것은 둘째 문제다

시인과 대화를 나누었거나, 시 낭송을 들었다면 그때부터 낭패다

그때부터 그 시인의 시를 자기 방식으로 읽기가 어려워진다 (이문재)

 

 

|저녁 풍경

"망자의 혀가 거리에 흘러넘치는"(《입 속의 검은 잎》) 서울이 두렵고 지겹고 힘겨운 사업살이에서 도망쳐 호수로 피난 온다

그러고는 하릴없이 물가에 앉아 이따금 불어오는 바람의 전언을 경청하고 노을에 비낀 붉은 구름 떼와 푸른 호수 물결과 무성한 나뭇잎들이 어울리는 고즈넉한 저녁 풍경에 잠기곤 한다

노을이 지면, 사치와 환락을 뽐내는 공원 앞 빌딩들의 이마엔 저마다 형형색색의 현란한 네온 불빛들이 켜지는 것인데, 그 번들데는 욕망의 빛들은 저 자신을 주체 쉼 없이 호수 속으로 무자맥질한다

인적이 뜸해진 밤이 오면, 풀벌레 소리 소소한 호숫가엔 낯선 가난한 혼령들의 허덕임 소리 조금씩 들려오고, 나는 한밤의 호숫가에서 "저 공중의 욕망은 어둠을 지치도록 내버려두지 않고 종교는 아직도 지상에서 헤매"(《포도밭 묘지2》)고 있음을 본다(임우기)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10 첫사랑아, 첫사랑아, 나에게 돌려다오... 2017-07-24 0 2486
609 시의 첫머리는 독자와 만나는 첫번째 고비이다... 2017-07-24 0 2125
608 장마야, 우리들은 널 싫어해... 2017-07-24 0 2284
607 "시인이 되면 돈푼깨나 들어오우"... 2017-07-24 0 2156
606 백합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354
605 "해안선을 잡아넣고" 매운탕 끓려라... 2017-07-24 0 2210
604 "언제나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것은"... 2017-07-24 0 2002
603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창조성의 요인은 바로 상상력이다... 2017-07-24 0 2561
602 동물들아, "시의 정원"에서 너희들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7-24 0 2967
601 시인은 불확실한 세계의 창을 치렬한 사유로 닦아야... 2017-07-24 0 2188
600 초여름아, 너도 더우면 그늘 찾아라... 2017-07-24 0 2328
599 "내가 죽으면 한개 바위가 되리라"... 2017-07-24 0 2914
598 련꽃아, 물과 물고기와 진흙과 함께 놀아보쟈... 2017-07-24 0 2591
597 현대시야, 정말로 정말로 같이 놀아나보쟈... 2017-07-24 0 2351
596 선물아, 네나 "선물꾸러미"를 받아라... 2017-07-24 0 2635
595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2017-07-24 0 2332
594 채송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3865
593 시의 초보자들은 문학적인것과 비문학적것을 혼동하지 말기... 2017-07-24 0 2359
592 찔레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623
591 상상력의 무늬들은 새로운 세계와 세상의 풍경을 만든다... 2017-07-24 0 2250
590 커피야, 너를 마시면 이 시지기-죽림은 밤잠 못잔단다... 2017-07-24 0 2785
589 시는 언어로 그린 그림이다... 2017-07-24 0 2536
588 담쟁이야, 네 맘대로 담장을 넘어라... 2017-07-24 0 2531
587 시인은 사막에서 려행하는 한마리 락타를 닮은 탐험가이다... 2017-07-24 0 2319
586 꽃들에게 꽃대궐 차려주쟈... 2017-07-24 0 2545
585 무의식적 이미지는 눈부신 은유의 창고이다... 2017-07-24 0 2658
584 유채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261
583 음유시는 문자와 멜로디와의 두개 세계를 아우르는 시이다... 2017-07-24 0 2346
582 풀꽃들아, 너희들도 너희들 세상을 찾아라... 2017-07-24 0 2312
581 시인은 은유적, 환유적 수사법으로 시적 세계를 보아야... 2017-07-24 0 2582
580 풀들아, 너희들 세상이야... 2017-07-24 0 2667
579 시인은 날(生)이미지를 자유롭게 다룰 줄 알아야... 2017-07-24 0 2258
578 봄아, 봄아, "봄꽃바구니" 한트럭 보내 줄게... 2017-07-24 0 2656
577 시인은 그림자의 소리를 들을줄 알아야... 2017-07-24 0 2362
576 금낭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132
575 시인은 절대 관념이나 정서의 노예가 아니다... 2017-07-24 0 2469
574 춘향아, 도련님 오셨다... 2017-07-24 0 2695
573 좋은 시는 그 구조가 역시 탄탄하다... 2017-07-24 0 2209
572 아카시아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608
571 시를 쓰는것은 하나의 고행적인 수행이다... 2017-07-24 0 2374
‹처음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