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2018년 01월 30일 23시 45분  조회:2095  추천:0  작성자: 죽림

 

추위에 움크린 양지 담장 밑에는

푸른 호흡소리 들린다.

햇살 쓸어내린 손 끝에서

잠에 취한 눈망울 기지개를 켠다.

자고 있어도 시절은 찾아오는 것.

시련이 있어도 시간은 지나가는 것

가슴은 언제나 꿈을 안고 살아가는 것.

오늘 추위는 내일의 열매를 위한 것

조금만 참자, 봄은 오나니 참아보자

 

--------------------------------

윤동주의 시에 대하여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윤동주, [序詩] 전문


* 윤동주(1917~1945) 시인의 [序詩]는 우리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읽고 암송하고 있는 시라고 할 수가 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라는 시구는 윤동주 시인의 티없이 맑은 천성天性이 사실 그대로 잘 드러나고 있는 시구라고 할 수가 있다.

도덕은 아름다움의 결정체이고, 우리는 이 도덕의 아름다움을 끊임없이 미화하고 성화시키게 된다.

 

 

 

산모통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

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

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

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

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윤동주, [自畵像] 전문


* 나는 사랑의 대상이면서도 미움의 대상이 된다. 내가 나 자신에 대하여 긍지를 가질 때 나는 사랑의 대상이 되고, 내가 나 자신에 대하여 긍지를 갖지 못할 때 나는 미움의 대상이 된다. 사랑의 대상은 그리움의 대상이 되고, 미움의 대상은 경멸의 대상이 된다. 우리는 누구나 다같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면서도 미워하고 있는 것이다. 이 애증이 겹치는 존재가 윤동주 시인의 [自畵像]이며, 그것은 우리 인간들의 불완전함의 극적인 표상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 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빨리

봄이 오면

죄를 짓고

눈이

밝어

 

이브가 해산하는 수고를 다하면

 

무화과 잎사귀로 부끄런 데를 가리고

 

나는 이마에 땀을 흘려야겠다.

----윤동주, [또 태초의 아침] 부분


*“나는 신성모독을 범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낙천주의자로서의 나의 존재론이고, “세계는 나의 범죄의 표상이다, 고로 행복하다”는 낙천주의자로서의 나의 행복론이다. 모든 창조자는 신성모독자가 되지 않으면 안 되고, 우리는 그 신성모독자의 삶을 행복하게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코페르니쿠스의 신성모독, 부처와 예수의 신성모독, 니체와 쇼펜하우어의 신성모독, 보들레르와 랭보의 신성모독 등은 이 범죄의 생산성과 그 아름다움을 가장 역동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일찍이 한국시문학사상 어느 누가 “빨리/ 봄이 오면/ 죄를 짓고/ 눈이/ 밝어// 이브가 해산하는 수고를 다하면// 무화과 잎사귀로 부끄런 데를 가리고// 나는 이마에 땀을 흘려야겠다”라고 노래한 적이 있었던가? 윤동주 시인은 한국적인 정한의 세계를 벗어나서, 대쪽같은 장인 정신과 성자의 영웅주의를 육화시킨 시인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

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어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윤동주, [십자가] 부분


* 이 세상에서 가장 훌륭하고 위대한 것은 ‘사상’인데, 왜냐하면 사상은 이 세상의 삶에 대한 욕망마저도 헌신짝처럼 버리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상은 그것이 만인평등이든, 내세의 천국이든지간에, 그 주체자에게 분명한 목적을 제시해 주고, 그 목표를 위해서는 마치, 자살특공대처럼 순교를 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훌륭한 것은 순교자의 삶이라고 할 수가 있다. 예수의 순교, 부처의 순교, 이순신의 순교, 윤동주의 순교 등----.

당신은, 당신은,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 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10 첫사랑아, 첫사랑아, 나에게 돌려다오... 2017-07-24 0 2403
609 시의 첫머리는 독자와 만나는 첫번째 고비이다... 2017-07-24 0 2060
608 장마야, 우리들은 널 싫어해... 2017-07-24 0 2231
607 "시인이 되면 돈푼깨나 들어오우"... 2017-07-24 0 2035
606 백합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285
605 "해안선을 잡아넣고" 매운탕 끓려라... 2017-07-24 0 2154
604 "언제나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것은"... 2017-07-24 0 1956
603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창조성의 요인은 바로 상상력이다... 2017-07-24 0 2505
602 동물들아, "시의 정원"에서 너희들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7-24 0 2890
601 시인은 불확실한 세계의 창을 치렬한 사유로 닦아야... 2017-07-24 0 2164
600 초여름아, 너도 더우면 그늘 찾아라... 2017-07-24 0 2245
599 "내가 죽으면 한개 바위가 되리라"... 2017-07-24 0 2833
598 련꽃아, 물과 물고기와 진흙과 함께 놀아보쟈... 2017-07-24 0 2494
597 현대시야, 정말로 정말로 같이 놀아나보쟈... 2017-07-24 0 2266
596 선물아, 네나 "선물꾸러미"를 받아라... 2017-07-24 0 2600
595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2017-07-24 0 2268
594 채송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3784
593 시의 초보자들은 문학적인것과 비문학적것을 혼동하지 말기... 2017-07-24 0 2291
592 찔레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566
591 상상력의 무늬들은 새로운 세계와 세상의 풍경을 만든다... 2017-07-24 0 2177
590 커피야, 너를 마시면 이 시지기-죽림은 밤잠 못잔단다... 2017-07-24 0 2696
589 시는 언어로 그린 그림이다... 2017-07-24 0 2502
588 담쟁이야, 네 맘대로 담장을 넘어라... 2017-07-24 0 2467
587 시인은 사막에서 려행하는 한마리 락타를 닮은 탐험가이다... 2017-07-24 0 2270
586 꽃들에게 꽃대궐 차려주쟈... 2017-07-24 0 2450
585 무의식적 이미지는 눈부신 은유의 창고이다... 2017-07-24 0 2599
584 유채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149
583 음유시는 문자와 멜로디와의 두개 세계를 아우르는 시이다... 2017-07-24 0 2290
582 풀꽃들아, 너희들도 너희들 세상을 찾아라... 2017-07-24 0 2266
581 시인은 은유적, 환유적 수사법으로 시적 세계를 보아야... 2017-07-24 0 2543
580 풀들아, 너희들 세상이야... 2017-07-24 0 2562
579 시인은 날(生)이미지를 자유롭게 다룰 줄 알아야... 2017-07-24 0 2207
578 봄아, 봄아, "봄꽃바구니" 한트럭 보내 줄게... 2017-07-24 0 2590
577 시인은 그림자의 소리를 들을줄 알아야... 2017-07-24 0 2295
576 금낭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075
575 시인은 절대 관념이나 정서의 노예가 아니다... 2017-07-24 0 2346
574 춘향아, 도련님 오셨다... 2017-07-24 0 2619
573 좋은 시는 그 구조가 역시 탄탄하다... 2017-07-24 0 2172
572 아카시아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476
571 시를 쓰는것은 하나의 고행적인 수행이다... 2017-07-24 0 2307
‹처음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