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화"란?...
2018년 01월 08일 00시 13분  조회:6469  추천:0  작성자: 죽림

요약 우화는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하는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으며 인간의 어리석음과 약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이다. 서구의 우화 전통은 BC 6세기의 이솝 우화에서 시작되었다.

 

우화란 일반적으로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하는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으며 인간의 어리석음과 약점들을 부각시키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이다.

윤리적 가르침이나 행동에 대한 교훈이 이야기 속에 있으며, 그 교훈은 대개 끝부분에 명시된다. 서구의 우화 전통은 사실상 이솝 우화에서 시작되었다(BC 6세기). 이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솝 우화의 현대판들에는 200여 편에 이르는 우화가 실려 있지만, 그 이야기들의 실제 기원을 추적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솝풍의 이야기를 발전시켰던 고전 작가로는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와 그리스의 전기 작가 플루타르코스, 그리스의 풍자작가 루키아노스 등이 있다.

다른 풍유(알레고리) 문학과 마찬가지로 우화도 중세에 번성했으며, 12세기말 마리 드 프랑스는 유명한 우화집을 만들었다. 중세 우화는 동물담시(beast epic)라는 보다 폭넓은 형식을 낳았는데, 이 형식은 서사시의 장엄함을 풍자적인 방식으로 모방하면서 영웅, 악당, 희생자, 끝없이 계속되는 영웅적인 노력들을 다룬 길고 일화적인 동물 이야기이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12세기 프랑스에서 일련의 이야기들을 모아 엮은 〈여우 이야기 Roman de Renart〉이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교활한 사람을 상징하는 여우 르나르(Renart[또는 Reynard])이다. 르네상스 시기에 에드먼드 스펜서는 〈엄마 허버드 이야기 Mother Hubberd's Tale〉(1591)에서 이런 종류의 소재를 사용했다.

여우 이야기 (Roman de Renart)
여우 이야기 (Roman de Renart)

12세기 프랑스의 우화

존 드라이던은 〈암사슴과 표범 The Hind and the Panther〉(1687)에서 진지한 신학적인 논쟁을 빗대어 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물담시를 되살려 썼다. 우화는 전통적으로 그다지 길지 않으며, 그 형식은 17세기 프랑스의 장 드 라 퐁텐의 작품에서 절정에 달했다. 라 퐁텐이 주제로 삼은 것은 인간의 어리석은 허영심이었다.

라 퐁텐 (Jean de La Fontaine)
라 퐁텐 (Jean de La Fontaine)

프랑스의 우화 작가

1668년에 나온 라 퐁텐의 첫번째 우화집 〈우화집 Fables〉는 이솝풍을 본떴으나, 그후 25년 동안 내놓은 작품에서는 궁정, 궁정의 관료, 교회, 부상하는 중산층 등 실로 인간사의 모든 측면을 풍자했다. 그의 영향력은 유럽 전역에 두루 미쳤고, 낭만주의 시대에 그의 뒤를 이은 탁월한 우화작가는 러시아의 이반 안드레예비치 크릴로프였다.

우화는 19세기에 아동 문학이 일어나면서 새롭게 각광받기 시작했다.

우화 형식을 이용했던 이름난 작가들로는 루이스 캐롤, 케니스 그레이엄, 루드야드 키플링, 힐레어 벨록, 조엘 챈들러 해리스, 비어트릭스 포터 등이 있었으며, 아동들을 주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과 오스카 와일드, 생 텍쥐페리, J. R. R. 톨킨, 제임스 서버 등도 유명한 우화작가들이다. 우화를 좀더 진지하게 사용한 현대적인 예로는 스탈린 치하의 러시아를 신랄하게 풍자한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Animal Farm〉이 있다.

동물농장(Animal Farm)
동물농장(Animal Farm)

영국의 작가 조지 오웰이 우화 형식으로 쓴 소설, 책 표지 모습

구전(口傳)되는 인도 우화의 제작 연대는 BC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산스크리트로 된 동물 우화집 〈판차탄트라 Pañcatantra〉는 사자왕의 고문들인 두 재칼의 이름을 따 〈칼릴라와 딤나 Kalῑlah wa Dimnah〉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8세기 아랍어 번역에만 남아 있다. 〈판차탄트라〉는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었는데, 13세기에 카푸아의 요한네스가 히브리어 번역본으로부터 라틴어판을 만들었다. 중국에서 우화가 많이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동물이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하게 했던 사상적 전통 때문이었다.

그러나 4~6세기 중국 불교에서 종교 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불교국 인도에서 우화를 들여와 중국 상황에 맞게 바꾸었다. 그 우화들을 편찬한 책이 〈백유경 百喩經〉이다. 일본에서는 8세기의 역사서인 〈고지키 古事記〉와 〈니혼쇼키 日本書紀〉에 우화들이 실려 있다.

그중 많은 우화는 작고 영리한 동물이 크고 우둔한 동물보다 낫다는 주제를 다룬다. 우화형식은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 1192~1333]에 최고에 달했다. 16세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이 일본에 이솝 우화를 소개했고 그 영향은 현대까지 계속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우화의 전통은 오래된 듯하나 작품이 많이 남아 있지는 않다. 전하는 우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삼국사기〉의 〈구토지설 龜兎之說〉·〈화왕계 花王戒〉 등을 들 수 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우화형식이 발전하여 가전(家傳)과 우화소설들이 나왔다.
===============================

 
유형 개념용어
분야 문학/구비문학

요약 도덕적인 명제(命題)나 인간 행동의 원칙을 예시(例示)하는 짧은 이야기.

 

내용

대개의 경우 우화는 보편적인 지혜를 담고 있는 경구(驚句)를 설명하는 이야기인데, 경구는 전체 문맥 속에 용해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이야기 앞이나 뒤에 나타나게 마련이다.

우화는 장르적으로 보면 서사적인 것과 교훈적인 것이 절충된 단순 형식이라 할 수 있고, 그들이 가르치는 교훈은 비교적 저차원적인 사리 분별을 위한 것이나 실용주의적인 것이다.

우화에는 보통 의인화되어 인간처럼 행동하는 동물이 전형적인 주인공으로 나타나며, 그들의 특성도 전형화되어, 가령 여우는 교활하게, 늑대는 탐욕스럽게, 사자는 용감하고 위엄 있게 그려진다.

따라서 우화라고 하면 대체로 ‘동물우화’와 같은 개념으로 통하기도 한다. 그러나 동물 주인공이 우화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우화에는 그 밖에 나무·바람·냇물·돌 등과 같은 자연물이나 심지어는 추상물까지 등장하고, 나아가 신이나 인간들도 나타난다.

우화는 특별한 예를 제시하여 일반 원칙을 보여 준다. 예컨대 ‘아무리 멋들어진 묘안이라도 실행할 수 없는 것이면 소용없다’는 교훈을 명백히 보여 주기 위해, ‘우화 양식의 할아버지’로 불리는 이솝(Aesop)은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는 예화를 내세웠다. 이 이야기로써 작가는 ‘실행하기 어려운 공론(空論)’의 교훈을 그렸던 것이다.

18세기 독일의 작가 레싱(Lessing, G.E.)도 우화를 가리켜 “우리들이 하나의 일반적인 원칙을 하나의 특별한 사례에 주고 이 일반적인 원칙이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끔 꾸며낸 이야기”라 정의한 바 있다.

어원적으로도 우화에 해당하는 서구어 fable(영어)·Fabel(독일)·favola(이탈리아어)·fabula(스페인어) 등은 라틴어 ‘fabul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허구적인 이야기’를 뜻한다고 한다.

우화와 일반 민담을 구별지을 수 있는 특징은, 전자의 경우 행위의 원칙 즉 도덕이 이야기 속에 짜여진다는 데 있다. 그리고 우화는 교훈적 특성을 지녔다는 점에서는 비유담과 비슷하지만, 비유담이 대개 있을 법한 상황에 빠진 인간을 그리며 보다 높은 도덕적 차원에 있는 데 비해, 우화는 주인공이 의인화되어 있고 대체로 기상천외한 상황을 그리며 보다 세속적인 지혜를 준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우화는 속담과도 공통점을 가져, 속담이 실제로 우화를 압축한 것이거나 ‘태산명동과일서(泰山鳴動過一鼠)’ 같이 풍유적 속담이 축소된 우화로 간주될 수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나 대체로 우화는 설명적인 이야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속담과는 다르다.

우화는 비유담과 함께 문자가 생겨나기 전 구비전승적 문화 속에서 기원하여 인간에게 처세의 지혜를 전승시켜 줌으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우화는 의인화된 비인간의 활동상에 대한 청자(聽者)들의 관심과, 속담 형태로 나타나는 실제적인 처세의 지혜 때문에 일반인으로부터 많은 애호를 받아 왔다.

우화의 기원 장소 및 시대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현전 자료로 미루어 볼 때 고대 중동 지방의 셈계(Semitic) 민족 사이에서 비롯되었으리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우화를 시작한 공은 서기전 6세기경 이오니아(Ionia)의 노예였다고 추정되는 반전설적인 인물 이솝에게로 돌려지고 있다.

이솝이 우화의 작자라는 전설이 널리 퍼짐에 따라 후일 모든 우화가 그의 작으로 돌려지는 경향도 있게 되었지만, 실은 현재 ‘이솝 우화’로 일컬어지고 있는 작품들의 상당수는 중세 말기에 우화 형식이 유행함에 따라 활발히 편찬되었던 우화집들로부터 나온 것이라 한다.

중세의 우화 작가로 유명한 사람은 영국의 초서(Chaucer, G.)를 들 수 있으며, 17세기에는 최대의 우화 작가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의 라퐁텐(La Fontaine, J.de.)이 나왔고, 18세기에는 독일의 레싱, 19세기에는 러시아의 크○로프(Krylov, I.A.) 등이 유명하다. 20세기 영국의 오웰(Orwell, G.) 같은 작가는 우화 형식을 빌려 <동물농장 Animal Farm>(1945) 같은 소설을 쓰기도 하였다.

한편 인도에서는 불교도들이 우화를 교화의 방편으로 사용했는데 ≪자타카 Jātaka≫ 및 ≪판차탄트라 Pānchatantra≫같은 우화집들은 동서양의 각국어로 번역, 소개됨으로써 세계문학사상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중국의 경우도 고대 이래로 많은 철학자들이 그들의 사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종종 우화의 형식을 사용하였다. 4∼6세기경에는 불교의 교리를 좀더 쉽게 신도들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민간 전승의 이야기를 빌려쓰거나, 혹은 인도의 불전으로부터 차용한 우화들을 사용하였다(百喩經).

우리 나라의 우화적 작품(설화)으로 현전하는 것은 많지는 않으나, ≪삼국사기≫에 실린 <귀토설화 龜兎說話>(권 41)·<화왕설화 花王說話>(권 46) 등은 그 오랜 예라 할 것이다. 이후 고려·조선조의 많은 가전(假傳) 및 의인소설(擬人小說)들은 우화 형식이 발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7 믿거나 말거나... 2015-02-15 0 5885
76 錢, 돈, 錢... 2015-02-15 0 6207
75 인생길에서 12명 친구 2015-02-15 0 6510
74 웃음 = 약 2015-02-15 0 6552
73 인생에 도움주는 말들 2015-02-15 0 6261
72 중국 9대인 지혜 2015-02-15 0 6335
71 8가지를 버리기... 2015-02-15 0 5985
70 영어 속담 ( ㄴ) 2015-02-15 0 6829
69 북경 대표 음식점 12곳 2015-02-15 1 6432
68 영어 단문 460개 2015-02-15 0 6332
67 대만 지페 2015-02-15 0 6156
66 천자문 풀이 2015-02-15 0 4927
65 천자문과 서예 2015-02-15 0 7204
64 오천원권 지페의 변천 2015-02-14 0 11264
63 조선시대의 모자 2015-02-14 0 6994
62 신의 지문 2015-02-14 0 6779
61 피라미드의 메시지 2015-02-14 0 6064
60 피라미드와 별자리 2015-02-14 0 8930
59 피라미드의 론쟁 2015-02-14 0 5840
58 피라미드의 수수께끼 2015-02-14 0 6291
57 정신건강 10가지 수칙 2015-02-14 0 7340
56 피라미드 숙제 2015-02-14 0 7212
55 위성사진 - 피라미드 2015-02-14 0 6113
54 스핑크스의 미스테리 2015-02-14 0 6195
53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2015-02-14 0 6475
52 피라미드는 왜? 2015-02-14 0 7243
51 피라미드의 신비 2015-02-14 0 6324
50 피라미드의 모든것 2015-02-14 1 7247
49 피라미드의 비밀 2015-02-14 0 6588
48 세계 7대 불가사리 2015-02-14 0 6298
47 세계사 100 장면 2015-02-14 0 10416
46 삶과 9가지 가속기 2015-02-14 0 5811
45 영어 속담 481개 2015-02-14 0 6580
44 36계 2015-02-14 0 6062
43 기차는 달린다... 2015-02-14 0 6029
42 재미로 보는 지페들 2015-02-14 0 6644
41 맥주야 놀자... 2015-02-14 0 5935
40 千字文 2015-02-13 0 5957
39 세계 각국 유적지들 2015-02-13 0 5898
38 세계 각 나라별 지도 2015-02-13 0 6906
‹처음  이전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