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한복" 알아보기...2
2018년 01월 07일 06시 05분  조회:4792  추천:0  작성자: 죽림


 

 

 

 

▶​​반지


액세서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 반지다. 
소재는 금, 은, 다이아몬드, 비취, 에메랄드, 옥 등 다양하지만 반드시 비싼 것이 아니더라도 
의미가 있는 것이나 친근감이 가고 자기에게 잘 어울리는 것이면 좋다. 
결혼이나 약혼 반지와 같은 기념 반지는 일생동안 소중히 간직할 수 있는 것으로 마련하는데, 
대개 결혼 반지나 회갑 반지는 쌍가락지로 한다.

 

 

 

▶​​​​비녀


부인들의 쪽찐 머리를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머리에 꽂는 장식 용구이다. 
비녀의 종류로는 모양에 따라 오두(烏頭), 매죽, 석류, 국화, 봉(鳳), 호도, 목련, 죽, 화월(花月), 
어두, 원앙잠과 흑각비녀 등이 있다. 또한 만드는 재료에 따라서 금, 은, 옥, 산호, 비취, 구리, 
백통, 나무, 뿔, 대비녀 등이 있었는데 금, 은, 주, 옥은 상류층여인들이 애용하였고 
서민층은 보통 나무나 뼈, 뿔등으로 만든 비녀를 머리에 꽂았다.

 

 

▶​​​단추와 브로치


단추는 유물에서 나타난 것처럼 관복이나 의상, 적의 등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그 역사가 오랜 듯하다. 재료로는 금, 은이나 옥석 등이 있고 모양도 나비, 박쥐, 매미, 국화 등 다양하다. 
또한 매듭 단추도 예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신과 손가방


요즈음에는 한복을 입을 때 대개 고무신이나 구두를 겸용하여 신지만 한복에는 버선에다 고무신을 
신는 것이 원칙이며 버선과 고무신의 실루엣은 한복의 선과도 아름답게 조화된다. 
간혹 키가 커 보이도록 한복에 굽 높은 구두를 신는 경우가 있는데,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한복의 멋을 송두리째 앗아가 버린다. 한복에는 언제나 고무신을 신어야 제격이다. 
한복을 입었을 때 손가방도 중요한 액세서리 역할을 하므로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무거워 보이는 큰 가방은 한복의 미를 크게 감소시키므로 피한다. 
파티나 예식 때에는 입은 옷과 같은 천을 만든 주머니형이나 긴 지갑형이 어울리고 화려한 파티에는 
구슬이나 모조 다이아몬드 백이 장소의 분위기에 잘 어울린다. 
평소 가벼운 나들이 때에는 깨끗하고 작은 손가방이면 된다.

 

 

 

▶​​족두리


검은 비단 여섯 쪽을 이어 꿰매고 안에 솜을 넣어 겉에 장식 없이 쓰기도 하고, 
상부, 중앙, 옆면에 칠보, 밀화, 옥 등을 장식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아 얌


오늘날 예복이나 생활복에 멋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얌은 족두리보다 앞선 것으로 
조선 초기부터 사용되었다. 형태는 위가 트여있고 귀를 덮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모체와 아얌드림 형식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체의 두부 정상부위는 홍실의 장식술과 
술대를 드리워 장식한다. 앞쪽과 옆면은 주로 칠보, 옥, 진주 등의 꾸미개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긴 아얌드림 역시 일정 간격의 꾸미개로 곱게 단장한다. 
오늘날은 장식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다양한 형태의 아얌이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재료와 색, 장식문양과 
기법이 화려하고 다양하게 응용되어 지고 있다. 

 

 

 










 

 
 
 


 

남자한복:

 

 

 

[평상복】 
남자옷은 평상복으로 바지저고리가 기본이었으나 조선시대 말기에 양복의 영향으로 조끼를 입게 되었고또 방한용으로 마고자를 입었습니다속옷으로는 속적삼과 속고의를 입었지 만 근래에는 셔츠의 등장으로 이를 대신하게 되었죠따라서 속옷 위에 바지저고리를 입고 조끼를 입으며그 위에 마고자 를 겹쳐 입고 버선이나 양말을 신습니다여름에는 고의적삼 에 홑조끼를 입습니다

2.예복】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반드시 평상복 위에 두루마기를 입어야 하며여름에는 홑두루마기를 입습니다그리 고 예의 종류에 따라 혼례복으로는 사모를 쓰고 단령을 입으 며제례복으로는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습니다.

 

 
 


 

녀자한복:

 

 

 

요즈음의 여자 한복은 예전에 비해서 많이 간소화 되었는 데 요대체로 저고리치마조끼,배자덧저고리두루마기 등이 있습니다추운 지역에는 배자와 덧저고리 등을 더 입지요대 체로 여자 옷은 남자 옷에 비해서 훨씬 다양합니다

속옷은 겉온 안에 입는 것의 총칭으로 예전에 입었던 한복의 속옷으로는 살에 직접 닿는 속옷으로 다리 속곳속속곳속 적 삼속 버선 등이 있고중간 속옷으로 단속곳바지속 치마속 저고리 등이 있으며그 외에 특수한 속옷으로는 너른 바지대슘 치마무지기가리개용 허리띠 등이 있습니다전통적으 로는 이러한 속옷들을 여러겹 입어서 상체는 아담하게,하체는 부풀려 풍성하게 보이게 했습니다그치만요즈음에는 최소한 으로 짧은 속바지버선목이 가려지는 긴 바지속치마속적삼 정도만 갖추어 입지요.
 

 

 
 

 



색동 저고리


오방색()을 기준으로 만든 색동 저고리는 남 녀 아동 구별 없이 입혔다.

 

 

 
 
 


 

장신구:
 

 

 

 

기록을 살펴보면 신라 여인의 옷차림은 마치 밤 하늘의 별처럼 찬란하고 아름다웠다고 한 것을 보면 오래전부터 우리 한복에는 많은 액세서리를 리용하였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한복에 있어서 옷을 장식하고 돋보이게 해주는 장신구는 여인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여러 가지 형태와 종류의 장신구는 한복을 입은 이의 멋을 한결 더 아름답게 꾸며 준다머리를 수식하는 것으로는 비녀뒤꽂이,떨잠,댕기등이옷차장에 있어서는 노리개향낭,침낭,장도 등이 다.

 

 
 

 




노리개


한복의 액서서리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노리개 인데, 옛날에는 장신구도 직위와 신분을 나타내었으며, 누구나 소중히 간직한 귀중품이었다. 노리개의 종류에는 삼작 노리개와 단작 노리개가 있으며,소재로는 산호, 옥, 밀화(호박의 한 가지)등이 있고, 그 섬세한 조각과 색조는 우리 한복에서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장식품이다. 
유물에서 보면 향을 넣어 사용한 향낭, 구급약을 넣는 노리개, 바늘을 넣는 침낭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에서 옛여인들의 놀라운 지혜와 아름 다움을 찾아 볼 수 있다. 
요즈음은 금,은,산호,비취,옥 등으로 된 노리개가 많으며, 이러한 것들은 패물을 대신하기도 한다. 겨울에는 금이나 은으로 된 것이 좋고, 여름에는 옥이나 비취 노리개가 시원해 보인다.

 

 

 
 

 



반지

 

액세서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 반지다. 소재는 금,은,다이아 몬드, 비취, 에메랄드,옥 등 다양하지만, 반드시 비싼 것이 아니더라도 의미가 있는 것이나 친근감이 가고 자기에게 잘 어울 리는 것이면 좋다.

결혼이나 약혼 반지와 같은 기념 반지는 일생동안 소중히 간직할 수 있는 것으로 마련하는데, 대개 결혼 반지나 회갑 반지는 쌍가락지로 한다.

 

 
 

 





비녀


부인들의 쪽찐 머리가 흘러 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머리에 꽂는 장식 용구로는 비녀가 있다. 비녀는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그 종류로는 모양에 따라 오두(烏頭),매죽,석류,국화,봉(鳳),호도,목련,죽,화월(花月),어두,원앙잠과 흑각비녀 등이 있었다. 

또한 만드는 재료에 따라서 금,은, 옥, 산호,비취,구리,백통,나무,뿔,대비녀 등이 있었는데,금,은,주,옥은 상류층여인들이 애용하였고,서민층은 보통 나무나 뼈,뿔등으로 만든 비녀를 머리에 꽂았다.

 

 

 
 

 



단추와 브로치


단추는 유물에서 나타난 것처럼 관복이나 의상,적의 등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그 역사가 오랜 듯하다. 재료로는 금,은이나 옥석등이 있고, 모양도 나비,박쥐,매미,국화등 다양하다. 또한 매듭 단추도 예술적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개화기 이후 의생활의 간소화 와 더불어 옷고름 대신 간편하게 단추를 사용하였고 단추 대용으로 브로치를 달았는데, 여름의 모시옷에는 비취나 옥 브로치가 시원해 보이고 겨울에는 산호 브로치를 많이 단다.

 

 

 

 
 

 




신과 손가방 
 

 

요즈음에는 한복을 입을 때 대개 고무신이나 구두를 겸용하여 신지만, 한복에는 버선에다 고무신을 신는 것이 원칙이며, 버선과 고무신의 실루엣은 한복의 선과도 아름답게 조화된다. 간혹 키가 커 보이도록 한복에 굽 높은 구두를 신는 경우가 있는데,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한복의 멋을 송두리째 앗아가 버린다. 한복에는 언제나 고무신을 신어야 제격이다.

한복을 입었을 때 손가방도 중요한 액세서리 역할을 하므로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무거워 보이는 큰 가방은 한복의 미를 크게 감소 시키므로 피한다. 파티나 예식 때에는 입은 옷과 같은 천을 만든 주머니형이나 긴 지감형이 어울리고,화려한 파티에는 구슬이나 모조 다이아몬드백이 장소의 분위기에 잘 어울린다. 평소 가벼운 나들이 때에는 깨끗하고 작은 손가방이면 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77 [쉼터] - 잘 나가는 가게는 간판 없서도 대박... 2017-10-20 0 4167
1476 "조선족"이냐, "재중동포"냐?... 2017-10-20 0 4330
1475 "조선족" 호칭을 "선족(鮮族)이라 부르지말기... 2017-10-20 0 3705
1474 한글 지키기와 한글 바로 세우기 그리고 한글 재통일하기... 2017-10-19 0 5606
1473 [쉼터] - 죽어서도 떼돈 버는 사람들 톱 10... 2017-10-17 0 5483
1472 길림, 흑룡강 두 성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사과기지-훈춘 맹령촌 2017-10-17 0 4112
1471 예술의 흔적 래일의 유산, 민간 복원 주도 자랑스럽다... 2017-10-17 0 5401
1470 [그것이 알고싶다] - 반도(半島)의 첫 동요집 "반달" 2017-10-17 0 3376
1469 [고향자랑] -이야기 하라 "어곡전"아, "어곡전"은 잊지 않으리... 2017-10-16 0 3958
14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천재들의 명언록... 2017-10-16 0 4249
1467 중국 장춘에서 "단군문학관" 문 활짝 열다... 2017-10-16 0 3397
1466 [그것이 알고싶다] - 한글의 글씨체 알아보기... 2017-10-15 0 7033
146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글 "글꼴"이란?... 2017-10-15 0 6055
146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글 글꼴의 "아버지"들... 2017-10-15 0 5157
1463 "한글을 소재로 영화를 만들면 좋겠다"... 2017-10-15 0 3846
1462 [그것이 알고싶다] - "도레미..." 계이름 누가 만들었나?... 2017-10-14 0 3907
1461 한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든 사람과 만든 원리가 있는 문자 2017-10-14 0 4650
1460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서문 풀이... 2017-10-14 0 4073
1459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10-14 0 4942
1458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10-14 0 4610
1457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국보 특호" 지정돼야... 2017-10-14 0 3707
1456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을 "한글"로 부른 사람?... 2017-10-14 0 3695
1455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 2017-10-13 0 5362
1454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국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017-10-13 0 5165
1453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2017-10-13 0 5144
1452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단 2개!!!... 2017-10-13 0 4721
145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운명???... 2017-10-13 0 3600
145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과 음양오행... 2017-10-13 0 5666
1449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원본?... 2017-10-13 0 4557
1448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2017-10-13 0 4781
1447 중국 흑룡강에는 "오상쌀", 길림 연변 룡정엔 "어곡미" 있어요 2017-10-13 0 4406
14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모아산을 제발 그만 "못쌀게 구러라"... 2017-10-13 0 3319
1445 [쉼터] - 잘 반성하고 정리해야 할 "결혼식문화" 2017-10-13 0 3624
1444 "아름다운 연변에는 백두산도 있고 두만강도 있쑤꾸매"... 2017-10-13 0 2948
14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길늪(청년호)을 돌려달라... 2017-10-13 0 3394
1442 [쉼터] + 二語人, 三語人, 多語人 2017-10-13 0 3430
1441 [록색주의者] - "양들은 시위하고 늑대들은 시위할수 없고"... 2017-10-13 0 3567
144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린 천적이 없다고?... 2017-10-13 0 3381
1439 [고향문화소식] - "문화는 민족의 혈맥, 인민의 정신가원" 2017-10-13 0 2964
1438 [타향문화소식]-중국 철령시에 조선족 "탈춤" 없다?... 있다!... 2017-10-13 0 3261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