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오늘도 하늘에서 내려와 내 술잔에서 풀어지는 녀인이여!"
2017년 12월 28일 21시 17분  조회:5512  추천:0  작성자: 죽림
 

하,
수상한 세상,
술 마시는 사회

                                         김 우 영(대전중문학회 회장)

 

 요즘 세상이 하도 수상하니까 술을 마시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특히 정의와 진리를 탐구하다는 비분강개파 문인(文人)들의 경우는 더욱 그런 자리가 많다.

 

 얼마 전 서울 종로거리 인사동으로 문인들을 만나러 갔다. 예전에 자주 다니던 단골집 ‘시인통신’이 그리워 인근 선술집에 가서 문인들과 함께 권커니 잣커니 추억을 마셨다.

 

 통키타까지 어께에 메고 갔으니 즉석 노래에 시낭송까지 그야말로 대한민국 문화예술의 중심도시 인사동에서 문인들의 라이브 ‘푸드 콘서트(Food Concert)’가 신나게 열린 것이다.

 

 ‘有酒有藥, 無酒無藥’

 

 술이 있으면 즐거움이 있고, 술이 없으면 즐거움도 없다는 뜻의 이 말은  문학청년 시절 내가 자주 가던 종로 청진동의 명물 ‘시인통신’의 벽에 덕지덕지 붙어있는 낙서 중의 한 마디였다.

 

 광화문 교보빌딩 뒷골목으로 10여 미터 들어가노라면 막걸리집인 열차집이 보인다. 좌측으로 꺾어 들어가면 허름한 문간방이 나타난다. 두 어 평 됨직한 이곳이 8년여 동안 이어져온 카페 시인통신이다.
(한 때는 인근의 길목 좋은 터에 자리를 잡아 성업 중이었다.)

 

 본래 ㅂ시인이 운영하던 것을 중년의 한귀남 소설가가 인수하였다. 많은 시인 묵객들을 상대로 막걸리와 맥주를 내놓는 자칭 타칭 민족주의자들의 사랑방이었다.

 

 돈 없고, 백 없는 가난한 문인들이 몰려와 한 잔 술에 꺼이꺼이 울기도 한다. 밑동이 썩어들어 갈 듯한 허름한 한옥 집이 떠나갈 정도로 뜨거운 이념논쟁에 주먹다짐까지 해대며 떠들어대기도 한다. 주위에서는 이상한 사람들이 시도 때도 없이 들랑대는 묘한 집으로 오인되었나보다. 한 때는 당국의 시찰업소 리스트에 올라 드나드는 사람들까지 감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고인이 되었거나 현재 활동하고 있는 분들의 분야가 다양했다. 무세중, 이외수, 중광, 황필호, 김흥성, 천상병, 이호철, 정건섭, 유안진, 허영자, 이생진, 오인문,  승호 등 문인, 화가, 교수, 스님, 언론인 등 각계각층을 총 망라 했다.

 

 술을 마시다가 취하면 탁자 위에서 그냥 머리를 박고 잠을 자기도 한다. 흥에 겨우면 흥얼흥얼 콧노래를 부른다. 돈 없으면 외상도 마음대로 한다. 그처럼 편할 데가 어디 있겠는가. 집에 갈 버스표도 하나쯤 손에 쥐어주는, 이들의 누님이자 연인인 한귀남씨가 가장 난처할 때가 있다. 어디서 고주망태가 되어 들어와서는 혼자 자는 방에 들어가 잔다고 우길 때라고 한다.

 

 테이블 4개의 비좁은 공간이건만 천장과 사방 벽은 온통 낙서판이다. 마치 대학가의 학사주점이나 선술집을 연상케 한다. 휘갈겨 쓴 낙서를 대충 훑어보면 이렇다.

 

 “죽으면 죽었지 지금 죽을 수는 없다.”
 “소주는 짧고 맥주는 길다.”
 “사람 중에 깨어있는 것은 입 밖에 없다.”
 “오늘도 하늘을 내려와 내 술잔에서 풀어지는 여인이여!”
 “허무, 그 단단한 놈!
 “대머리 한 씨의 계보를 찾아서… ”
 “물은 개나 마시고 술은 인간이 마신다.”

 

 단골 손님중 시인 한 사람이 쓴 낙서를 보면 또 이렇다.

 

 “오늘따라 누님이 너무 아름다워서 개수작 했습니다. 누님은 여전히 누님이고 강물은 저렇게 흘러갑니다!”

 

 허허허--- 그 날의 해프닝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한귀남 소설가는 이곳을 찾은 귀여운 악동(?)들에 얽힌 에피소드와 애환을 담은 시인통신이라는 수필집을 낸 바 있다. 또한 성금이 어느 정도 모아지면 시인통신 문학상 제도를 추진하여 힘없고 가난한 이 시대의 문인들을 위한 창작의 촉매제로 활용하였으면 한다고 한다. 이런 것들이 한 때 문학 소녀였던 그녀의 7할의 바람인 것이다.

 

 텁텁한 막걸리 몇 잔에 요의를 느끼고 좁은 화장실에 들어서니 그곳에 살아 꿈틀대는 낙서 한 줄이 눈에 화악-- 들어온다.

 

 “잘 사는 놈이 법을 지킬 때 못 사는 놈은 기분이 좋다. 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77 [쉼터] - 잘 나가는 가게는 간판 없서도 대박... 2017-10-20 0 4325
1476 "조선족"이냐, "재중동포"냐?... 2017-10-20 0 4470
1475 "조선족" 호칭을 "선족(鮮族)이라 부르지말기... 2017-10-20 0 3966
1474 한글 지키기와 한글 바로 세우기 그리고 한글 재통일하기... 2017-10-19 0 5746
1473 [쉼터] - 죽어서도 떼돈 버는 사람들 톱 10... 2017-10-17 0 5687
1472 길림, 흑룡강 두 성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사과기지-훈춘 맹령촌 2017-10-17 0 4203
1471 예술의 흔적 래일의 유산, 민간 복원 주도 자랑스럽다... 2017-10-17 0 5504
1470 [그것이 알고싶다] - 반도(半島)의 첫 동요집 "반달" 2017-10-17 0 3473
1469 [고향자랑] -이야기 하라 "어곡전"아, "어곡전"은 잊지 않으리... 2017-10-16 0 4142
14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천재들의 명언록... 2017-10-16 0 4333
1467 중국 장춘에서 "단군문학관" 문 활짝 열다... 2017-10-16 0 3499
1466 [그것이 알고싶다] - 한글의 글씨체 알아보기... 2017-10-15 0 7340
146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글 "글꼴"이란?... 2017-10-15 0 6218
146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글 글꼴의 "아버지"들... 2017-10-15 0 5281
1463 "한글을 소재로 영화를 만들면 좋겠다"... 2017-10-15 0 3996
1462 [그것이 알고싶다] - "도레미..." 계이름 누가 만들었나?... 2017-10-14 0 4080
1461 한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든 사람과 만든 원리가 있는 문자 2017-10-14 0 4814
1460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서문 풀이... 2017-10-14 0 4227
1459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10-14 0 5127
1458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10-14 0 4842
1457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국보 특호" 지정돼야... 2017-10-14 0 3799
1456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을 "한글"로 부른 사람?... 2017-10-14 0 3797
1455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 2017-10-13 0 5578
1454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국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017-10-13 0 5279
1453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2017-10-13 0 5372
1452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단 2개!!!... 2017-10-13 0 4786
145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운명???... 2017-10-13 0 3778
145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과 음양오행... 2017-10-13 0 5793
1449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원본?... 2017-10-13 0 4763
1448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2017-10-13 0 4941
1447 중국 흑룡강에는 "오상쌀", 길림 연변 룡정엔 "어곡미" 있어요 2017-10-13 0 4642
14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모아산을 제발 그만 "못쌀게 구러라"... 2017-10-13 0 3470
1445 [쉼터] - 잘 반성하고 정리해야 할 "결혼식문화" 2017-10-13 0 3706
1444 "아름다운 연변에는 백두산도 있고 두만강도 있쑤꾸매"... 2017-10-13 0 3024
14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길늪(청년호)을 돌려달라... 2017-10-13 0 3544
1442 [쉼터] + 二語人, 三語人, 多語人 2017-10-13 0 3479
1441 [록색주의者] - "양들은 시위하고 늑대들은 시위할수 없고"... 2017-10-13 0 3643
144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린 천적이 없다고?... 2017-10-13 0 3450
1439 [고향문화소식] - "문화는 민족의 혈맥, 인민의 정신가원" 2017-10-13 0 3118
1438 [타향문화소식]-중국 철령시에 조선족 "탈춤" 없다?... 있다!... 2017-10-13 0 3415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