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영국 시인 - 월터 드 라 메어
2017년 12월 21일 22시 45분  조회:4150  추천:1  작성자: 죽림
 
출생 1873. 4. 25, 영국 켄트 찰턴
사망 1956. 6. 22, 미들섹스 튀큰햄
국적 영국

요약 영국의 시인·소설가.

 

삶의 희미하고 덧없는 순간들을 환기하는 비범한 힘이 두드러지는 작가이다.

런던의 세인트폴 스쿨에서 공부했고, 1890~1908년 앵글로아메리칸 석유회사의 런던 사무소에서 일했다. 1902년 월터 라멀이라는 필명으로 〈어린시절의 노래 Songs of Childhood〉를 발표하면서 점차 글쓰기에 전념하게 되었다.

그의 첫소설 〈헨리 브로켄 Henry Brocken〉은 1904년, 〈시 Poems〉는 1906년에 출간되었다. 해마다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는데,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읽을 수 있는 시와 단편소설들, 시적 환상이 극치에 이른 〈꼬마의 회상 Memoirs of a Midget〉(1921)을 비롯한 소설, 요정극 〈교차점 Crossings〉(1921), 수필과 문학 연구서 등이 있다. 문집 〈여기로 오라 Come Hither〉(1923)는 독창적인 언어 구사가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1948년 명예훈장을 받았고, 1953년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그밖에도 1920, 1935, 1942년 〈시집 Collected Poems〉을 발표했고 1944년 〈동요집 Collected Rhymes and Verses〉, 1947년 〈동화집 Collected Stories for Children〉을 내놓았다. 후기 시집으로는 〈볼록 렌즈 The Burning Glass〉(1945)·〈여행자 The Traveller〉(1946)·〈마음속의 동반자 Inward Companion〉(1950)·〈오 아름다운 영국 O Lovely England〉(1953) 등이 있다.

========================
 

-세계의 동시-

 

파리

 

                    월터 드 라 메어(영국)

 

 

 

 

저 쪼그만 파리 눈에는

작은 것이 얼마나 크게 보일까?

장미꽃 봉오리는 비단 침대로

뾰족한 가시는 날카로운 창만큼 보일까?

 

이슬방울은 화장대,

머리카락은 금빛 철사.

죄그만 겨자 씨 한 알은

불붙는 숯덩이로 보이겠지.

 

빵은 높은 산으로,

꿀벌은 무서운 표범으로 보일까?

하얀 소금은

목동들이 모는 어린양떼처럼

하얗게 반들반들 빛나 보이겠지.

 

 

 

<동화로 읽는 해설> -
                 /송용구(시인. 고려대 연구교수)

 

 

우리들의 눈에 아주 작게 보이는 사물도

“파리 눈에는” 아주 “크게” 보이겠지요.

우리들의 모습은 “파리”에게 어떻게 보일까요?

소인국에 표류한 “걸리버”처럼 거인으로 보이겠지요.

우리들의 노래는 “파리” 귀에 어떻게 들릴까요?

천둥처럼 우람하게 들리겠지요.

“파리”의 모습이 하나님의 귀여운 피조물로 보이네요.

“파리”의 날아가는 소리가 동요처럼 들려오네요.

 

 


떠나고 나면
                   / 월터 드 라 메어


시간이 치유 못할 슬픔 없고 
회복하지 못할 상실과 배신도 없으니 
그것은 영혼의 위안이라


무덤이 비록 
사랑하는 이들과 그들이 함께 누린 걸

죄다 
갈라놓을지라도.


보라,

태양은 기분 좋게 빛나고 
소나기는 그쳤지않은가


꽃들은 아름다움을 뽐내고 
날들은 얼마나 화창한가! 
사랑에 혹은 의무에 
너무 아파하지 말라


오래 잊고 있던 친구들은
삶이

만사를 죽음으로 마무리짓는 곳에서 
그댈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니


아무도 그댈 위해

오래 슬퍼하고 기도하거나

그리워하지 않으리


그대 자리 비어 있고 
그대 가고 없으니

 

Away


There is no sorrow 
Time heals never; 
No loss, betrayal, 
Beyond repair. 
Balm for the soul, then,

Though grave shall sever 
Lover from loved 
And all they share; 
See, the sweet sun shines, 
The shower is over, 
Flowers preen their beauty, 
The day how fair!

Brood not too closely

On love, or duty;

Friends long forgotten

May wait you where 
Life with death 
Brings all to an issue; 
None will long mourn for you, 
Pray for you, miss you,

Your place left vacant, 
You not there.

 

 

          (Walter de la Mare)

 

 

잠꾸러기 / 월터 드 라 메어



파란 달밤이었어. 
나는 자지 않고 있었지. 
숲속에서 들리는 
가늘고 작은 노래소리. 

―일어나서 오너라. 
잠꾸러기야. 
신을 신고 
여기로 오너라. 
나무 아래 뿌리에 걸터앉아 
노래를 부르고 있는 
내 옆으로. 

나는 봤어. 
하얀 달이었지. 
잎새는 빛나고 
숲속은 흰 눈이 내린 듯. 

―오너라, 와서 
노자. 
우리들과 함께, 
언덕 위에서 
손에 손을 잡고서. 
참 좋은 집이야 
꿀은 달고 
젖도 있다. 
크림도 
밀크로 끓인 죽도 
맛나다. 
조개껍질도 피이즈도 
개자 씨앗도 
모두 너를 주마. 

나는 일어나 
후다닥 옷을 입고 
양말을 신고 신도 신었다. 
푸르고 푸른 달밤이었지. 
그런데 정답고 달콤한 노래소리가 
사라져 버렸어. 
먼동이 트기 시작했지. 

숲 위로 장밋빛이 물들여오고 
새가 와서 울고 있었다. 
이슬이 자욱했다. 새는 
미나리아재비의 이슬을 보고 지저귄다.

 
 
불을 켜는 사람 /월터 드 라 메어 


해가 꼴딱 서산에 지고 
하늘의 천사가 하느님의 
등불의 별에 불을 켤 때, 
성냥을 가지고 램프 켜는 아저씨가 
어둔 골목을 종종걸음으로 
지구의 불을 켜며 지나가신다. 

밤길을 이리저리 도둑놈이 
어정어정 가만히 돌아다니며 
나쁜 짓을 못하게 환하게 밝혀주는, 

만일 급한 볼일로 이 밤에 
심부름을 가게 되는 그 길을 
환하게 밝혀주기 위해서. 
밤길 가는 나그네가 어둠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지 않도록. 
친구를 찾아 놀러 갈 때에 
앞길을 밝혀주는 등불이 되게. 

진정으로 램프불을 켜는 아저씨는 
새까만 옷감의 그 깃마다 
보석을 수놓으려고 바느질하는 
아저씨와 꼭 같구나. 
아암, 그렇지, 그분은 영웅이지. 
멀고 먼 길을 환하게 불 밝혀 
우리들의 앞길을 비춰주고 
우리들의 앞길을 가르쳐주는 
그분은 참으로 훌륭한 분. 

더구나 훤하게 날이 밝아 
동쪽 하늘로 해님의 
빛이 비치고 숲 위에는 
나무꼭지마다 새들이 
즐겁게 지저귀는 이른 아침 
불을 켜는 아저씨는 잠꾸러기들이 
늦잠 자는 집집마다 문 앞을 
총총걸음으로 달려가며 
램프불을 꺼주고 지나간다. 
 

<은 빛>

Silver

 

달님은 천천히 조용히

은빛 신을 신고 밤을 걸어가네.

이쪽 저쪽으로 마냥 기웃거리며

은빛 나무 위 은빛 열매를 보네.

창문은 하나하나 휘영청 달빛을 드러내고

은빛 처마 밑에서 잠든 우리집 개

그늘진 둥우리에서 살며시 보이는 건

은빛 날개에 싸여 고이 잠든 비둘기 가슴.

낱가리 속의 쥐가 쪼르르 달아나네

은빛 발톱, 은빛 눈을 가지고.

물속에서 고기는 움쭉하지 않고

은빛 시냇물 은빛 갈대 옆에서 반짝이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43 중국조선족시인 정몽호 篇 2024-08-29 0 903
2242 중국조선족시인 황장석 篇 2024-08-29 0 945
2241 중국조선족시인 김태갑 篇 2024-08-29 0 853
2240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호 篇 2024-08-29 0 690
2239 중국조선족시인 홍군식 篇 2024-08-29 0 622
2238 중국조선족시인 김춘산 篇 2024-08-29 0 620
2237 중국조선족시인 전광훈 篇 2024-08-29 0 857
2236 중국조선족시인 김진룡 篇 2024-08-29 0 951
2235 중국조선족시인 허룡구 篇 2024-08-29 0 861
2234 중국조선족시인 전춘매 篇 2024-08-29 0 803
2233 중국조선족시인 박설매 篇 2024-08-29 0 777
2232 중국조선족시인 박화 篇 2024-08-29 0 805
2231 중국조선족시인 설인 篇 2024-08-29 0 760
2230 중국조선족시인 리욱 篇 2024-08-29 0 541
2229 중국조선족시인 한영남 篇 2024-08-29 0 633
2228 중국조선족시인 심명주 篇 2024-08-29 0 744
2227 중국조선족시인 전병칠 篇 2024-08-29 0 710
2226 중국조선족시인 박문파 篇 2024-08-29 0 812
2225 중국조선족시인 김인덕 篇 2024-08-29 0 789
2224 중국조선족시인 송미자 篇 2024-08-29 0 815
2223 중국조선족시인 리순옥 篇 2024-08-29 0 743
2222 중국조선족시인 리춘렬 篇 2024-08-29 0 747
2221 중국조선족시인 김현순 篇 2024-08-29 0 995
2220 중국조선족시인 리임원 篇 2024-08-29 0 486
2219 중국조선족시인 리성비 篇 2024-08-29 0 724
2218 중국조선족시인 주성화 篇 2024-08-29 0 847
2217 중국조선족시인 주룡 篇 2024-08-29 0 697
2216 중국조선족시인 전경업 篇 2024-08-29 0 806
2215 중국조선족시인 리상학 篇 2024-08-29 0 698
2214 중국조선족시인 리호원 篇 2024-08-29 0 816
2213 중국조선족시인 허흥식 篇 2024-08-29 0 813
2212 중국조선족시인 김문회 篇 2024-08-29 0 832
2211 중국조선족시인 리근영 篇 2024-08-29 0 688
2210 중국조선족시인 현규동 篇 2024-08-29 0 780
2209 중국조선족시인 김준 篇 2024-08-29 0 635
2208 중국조선족시인 김영능 篇 2024-08-29 0 848
2207 중국조선족시인 김동진 篇 2024-08-29 0 754
2206 중국조선족시인 김응준 篇 2024-08-29 0 783
2205 중국조선족 우화시인 허두남 篇 2024-08-29 0 955
2204 중국조선족시인 박문희 篇 2024-08-29 0 88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