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타삼지석] - "세계평화와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하는 발신지"...
2017년 10월 28일 23시 38분  조회:3994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 윤동주 마지막 흔적 머문 곳에
日시민들이 기념비 건립
(ZOGLO) 2017년10월28일 
시민단체 12년만에 결실…
교토 윤동주 사진촬영지 인근에
詩 '새로운 길' 시비에 새겨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일본 교토(京都)의 한 시골 마을에서 윤동주를 기리는 기념비가 시인의 일본 '팬'들에 의해 세워졌다.


교토 우지(宇治)시 지역 시민들이 중심인 '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 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8일 우지천(川) 신핫코바시(新白虹橋) 기슭에서 '기억과 화해의 비'(記憶と和解の碑)를 제막했다. 

일본 시민들, 교토에 윤동주 시인 기념비 제막(교토=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28일 일본 시민들이 만든 단체 '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가 일본 교토(京都)부 우지(宇治)시의 우지 강변 인근에서 윤동주 시인에 대한 기념비 '기억과 평화의 비' 제막식을 열고 있다. 2017.10.28



윤동주 시인의 시가 적힌 기념비는 교토부(府) 내에만 도시샤(同志社)대학과 교토조형대 등 2곳에 이미 있다. 도시샤대학은 시인이 다녔던 대학교며 교토조형대는 시인의 하숙집이 있던 자리다. 

이번에 설립된 기념비는 일본의 대학 캠퍼스 밖에 세워진 윤 시인에 대한 첫 번째 기념비다. 크기(가로 120㎝·세로 175㎝·폭 80㎝) 역시 가장 크며, 무엇보다도 시민들이 직접 모금을 하고 힘들게 지자체의 협조를 얻어내 만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우지시는 현존하는 윤 시인의 마지막 사진이 촬영된 장소라는 점에서 시인과 각별한 인연을 가지고 있다. 도시샤 대학 재학 중이던 윤 시인은 1943년 6월 대학 친구들과 함께 송별회를 한 뒤 우지천 아마가세쓰리바시라는 다리 위에서 기념 촬영을 했다. 

시인 윤동주가 일본 교토에서 촬영한 마지막 사진(교토=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현존하는 윤동주 시인 최후의 사진. 일본 교토(京都) 우지(宇治)시의 우지천(川) 아마가세쓰리바시에서 촬영됐다. 윤동주는 1943년 자신의 송별회 자리에서 이 사진을 촬영한 다음 1달 후 체포돼 감옥에서 숨졌다.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가 윤동주. 일본 시민들은 28일 이 다리에서 멀지 않은 우지강변에 윤동주 시인의 기념비 '기억과 평화의 비'를 세웠다. 2017.10.28 [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 제공=연합뉴스]



이 사진은 1995년 NHK와 KBS가 공동으로 만든 다큐멘터리 제작 중 함께 사진을 찍은 친구의 소지품 속에서 발견됐다. 윤 시인은 사진 촬영 한 달 뒤인 1943년 7월 어린 시절부터의 친구(송몽규)와 조선문화와 민족의식 고양을 도모했다는 이유로 체포됐고 1945년 2월 후쿠오카(福岡) 형무소에서 숨졌다.

이날 건립된 시비는 처음 건립이 추진된 이후 12년 만에 힘들게 탄생한 결실이다.

시작은 윤동주 시인과 우지시의 인연을 알게 된 시민들의 모임에서였다. 시인에 대한 관심을 나누던 이들이 2005년 시비를 만들자며 모임(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을 만들었고 모금활동을 시작했다. 

힘들게 모은 돈으로 시비 제작까지 마쳤지만, 이번에는 장소가 문제였다. 교토부가 우지시와 시인 사이의 연고를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며 시비 설치 자리를 내주지 않았던 것이다. 

서명운동을 하고 직접 발품을 팔아 우지시와 시인의 인연을 찾는 작업을 펼치며 계속 교토부 등의 문을 두드렸지만 끝내 협조를 얻지 못했다. 그러던 중 시즈가와(志津川)구로부터 설치 장소를 제공하겠다는 소식이 왔고, 결국 모임 발족 후 10년을 훌쩍 넘겨 이날 기념비를 제막하게 됐다. 

일본 교토 우지의 윤동주 시인 기념비(교토=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28일 일본 시민들이 만든 단체 '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에 의해 일본 교토(京都)부 우지(宇治)시의 우지 강변 인근에 제막된 윤동주 시인의 기념비 ''기억과 평화의 비'. 윤 시인의 시 '새로운 길'이 한글과 일본어로 새겨져 있다. 2017.10.28


한반도와 일본의 화강암 2개로 만들어진 '기억과 화해의 비'에는 윤 시인이 1941년 모교 연희전문학교의 학우회지 '문우'에서 발표한 시 '새로운 길'이 한글과 일본어로 새겨졌다. 

윤동주 이름의 마지막 글자가 나무 그루터기라는 뜻의 '주(株)라는 것에 착안해 기념비는 한글이 새겨진 한반도산과 일본어가 새겨진 일본산의 화강암이 각각 윤동주를 상징하는 나무 기둥 모양의 화강암을 떠받치는 형상을 갖췄다.

이날 제막식에는 주민, 시민 활동가, 일본과 한국 언론 등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윤 시인의 유족 중에서는 시인의 조카인 윤인석 성균관대 교수가 참석했고 모교 연희전문학교의 후신 연세대의 백영서 인문대학장도 자리에 함께했다. 특히 시비 건립 소식을 듣고 부모와 함께 제막식에 참석한 한국 학생들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제막식에서 안자이 이쿠로(安齋育郞) 대표(리쓰메이칸<立命館>대 특명교수)는 "기념비 설립은 글로벌 규모의 평화를 생각하면서 지역에서 행동을 일으키는 방식의 시민운동이 열매를 맺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기념비를 세계적인 평화 활동의 거점으로 삼고 싶다"고 말했다.

윤인석 교수는 "이 지역에 '기억과 화해의 비'가 세워지도록 힘써주신 분들께 고맙고 축하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기념비가 세계 평화와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하는 발신지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일본 교토 윤동주 시인 기념비에 새겨진 '새로운 길'(교토=연합뉴스) 28일 일본 시민들이 만든 단체 '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에 의해 일본 교토(京都)부 우지(宇治)시의 우지 강변 인근에 제막된 윤동주 시인의 기념비 ''기억과 평화의 비'. 윤 시인의 시 '새로운 길'이 한글과 일본어로 새겨져 있다. 2017.10.28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3 누구룰 위하여 종은 울리나... 2016-05-19 0 4272
1442 {자료}- 김철 시인 / 김응준 시인 2016-05-18 0 7340
1441 시문학 부흥의 묘약은 어디?... 2016-05-18 0 4299
1440 이승의 버스가 씨근거리고... 새가 된 꽃이라며... 2016-05-18 0 4848
1439 [한밤중 詩와 함께]- 배꼽 2016-05-18 0 4228
1438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05-17 0 4539
1437 55년만에 발굴된 민족시인 - 심련수 / ... 2016-05-16 0 5399
1436 詩人과 詩 그리고 갱신의 길 / ... 2016-05-16 0 4733
1435 詩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가 아니다 2016-05-16 0 4649
1434 순화된 언어속에서 건져 올리는 낯설기라야 가치 있다 2016-05-16 0 4315
1433 [초저녘 詩 읊다]- 초승달 카페 // 송몽규를 다시 떠올리다 2016-05-16 0 4821
1432 詩의 언어는 음악적이여야... 2016-05-16 0 4749
1431 그 새벽, 시인이 서 있는 곳은,ㅡ 2016-05-16 0 5002
1430 동심이라는 이름의 마법 2016-05-16 0 5019
1429 비긋는 아침, 당신의 고해소는 어디?... 2016-05-16 0 4293
1428 교훈조의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5-15 0 4970
1427 잊혀진 시인 찾아서 - 설창수 시인 2016-05-14 0 4898
1426 잊혀진 시인 찾아서 - 김종한 시인 2016-05-14 0 5590
1425 동시인 김득만 "365밤 동요동시" 출간 2016-05-14 0 5017
1424 사랑의 방정식 2016-05-14 0 4813
1423 울음상점에서 만나다... 2016-05-13 0 4497
1422 시인의 몸에 몇개의 지문이 없다... 있다... 2016-05-13 0 4882
1421 시작의 첫 줄에 마음 써라... 2016-05-12 0 4465
1420 시의 이미지는 진화한다... 2016-05-12 0 5288
1419 [안개 푹 설레이는 아침 시 한컷]- 옛 엽서 2016-05-12 0 4652
1418 왁자지껄한 평화속에서 꽃 피우라... 2016-05-11 0 4130
1417 아이는 삶으로 뛰여든다... 2016-05-10 0 4333
1416 나무들은 때로 불꽃 입술로 말한다... 2016-05-10 0 4419
1415 살구나무에 몸을 비벼본다... 2016-05-10 0 4705
1414 하이쿠 = 17자 2016-05-10 0 4514
1413 구체시 = 구상시 2016-05-10 0 4859
1412 혁명시인 - 김남주 시모음 2016-05-07 1 5124
1411 민족시인- 김남주를 알아보기 2016-05-07 0 5579
1410 [한밤중 詩 읊다]- 우리 엄니 2016-05-07 0 4931
1409 눈(안眼)인가 눈(설雪)인가... 2016-05-07 0 4585
1408 {이것도 詩라고 하는데...} 5월이 시작되다... 2016-05-07 0 4320
1407 詩人은 언어의 마술사이다... 2016-05-06 0 4296
1406 詩人은 현대의 돈키호테이다... 2016-05-06 0 4662
1405 詩人은 쉽게 잠들지 못한다... 2016-05-06 0 6932
1404 詩人은 골목길을 좋아한다... 2016-05-06 0 5645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