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글 "글꼴"이란?...
2017년 10월 15일 01시 07분  조회:6225  추천:0  작성자: 죽림

한글 글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꼴

한글 글꼴은 한글을 표기하는 글꼴을 말한다.

 

 

한글 글꼴이 발전해 온 길[편집]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한글 글꼴은 목판 인쇄에 쓰이던 고어체에서 서서히 실용적인 모양으로 변천하였다. 그러나 약 400여 년간에 걸친 한글 글꼴의 변화를 오늘날 남은 문헌에서 살펴보면 그렇게 두드러진 변화가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 양반층에 제한되어 있었고 붓으로 글씨를 썼기 때문이다. 주로 쓰인 한글 글꼴은 서예에서 일컫는 몇몇 서체에 불과하였다.

서체는 글씨의 모양에 따른 여러 가지 글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한자에 행서체니 초서체니 하는 글자꼴을 구분하여 말하듯이 한글에도 여러 가지 글씨 꼴이 있다.

한글 글꼴[편집]

반포체[편집]

훈민정음 반포와 더불어 동국정운(東國正韻, 1448)이나 월인석보(月印釋譜, 1459) 등에 처음으로 쓰인 글씨체를 반포체(頒布體)라 오늘날 서예계에서는 일컫고 있으며 때로는 고어체(古語體), 정음체(正音體), 판본체(板本體), 판각체(板刻體)라고 부르기도 한다. 초기의 서체는 판에 새긴 돋음체(고딕체)와 비슷한 모양이었으나 중기에 들어서는 부드러운 느낌이 들도록 끝 부분을 둥글게 표현하였다. 묵직한 느낌과 함께, 반듯한 느낌이 들고, 기하학적이다. 이 글씨 꼴은 일상생활에 크게 쓰이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비문 등에 쓰이기도 하였다.

궁체[편집]

궁체는 반포체가 가진 단점인 "딱딱한 모양"을 벗어던지기 위해 고안된 한글 붓글씨체의 대표적인 글꼴이다. 궁체(宮體)라는 이름은 말 그대로 궁중에서 쓰이고 발전한 서체이며 그 특징은 무엇보다도 부드럽게 흘러가는 모양에 있다. 반흘림, 흘림, 정자의 3가지 종류가 있다.

사진 식자로 만든 한글 글꼴[편집]

조선 초기와 조선 후기에 한글이 창제된 이후, 석보상절체, 동국정운체, 언해체 등 여러 가지 한글 글씨체 등이 등장했으나, 한글이 처음으로 서양식 활자체로 쓰이게 된 것은 1880년대 이후에 최지혁의 글씨를 표본으로 하여 서양 선교사들이 번역한 성경을 출판된 것이 처음이다.

이후 독립신문처럼 순 한글판 신문이 많이 나오게 되면서 한성체와 독본체, 말의 소리 활자체가 등장했고 1920년대에는 고딕체와 비슷한 서체도 등장했다. 1930년대에는 이원모체와 박경서체 등 여러 가지 활자체들이 많이 생겨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쓰이게 되었으며 8·15 해방 후에는 장식 서체들이 만들어져 앞에 나온 서체와 함께 많이 쓰이게 되었다. 해방 직후에는 동아출판사체, 국정교과서체 등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는 1960년대까지 이어진다. 그 후 사진 식자기(寫眞 植字機)가 유입하고 개발하게 되면서 디나루체, 헤드라인체 등 제목용 글꼴이 개발하게 되었다.

사신식자기로 이용하여 만들어진 글꼴종류는 지금보다 많지 않았지만 당시로는 매우 다양한 서체들이 많았다. 명조체를 만든 것을 시작으로 하여, 고딕체그래픽체해서체공작체등 8종이 있었으며 명조체와 고딕체는 견종, 태종, 중종, 세종별로 굵기가 각각 다른 종으로 나누었다. 고딕체와 명조체 족은 본문과 제목글에 많이 사용했다. 디나루체와 그래픽체는 명조체와 고딕체와는 다르게, 많이 사용하지 않았지만 큰 제목이나 부제목글에 사용하였으며, 인기도 많았다. 그 밖에 궁서체해서체공작체 등이 있었다.

사진식자기로 만들어진 글꼴[편집]

  • 신명조체
  • 그래픽체
  • 고딕체
  • 해서체
  • 궁서체
  • 공작체
  • 신그래픽체
  • 견명조체
  • 견고딕체
  • 헤드라인체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한글 글꼴[편집]

대한민국[편집]

한/글은 다음 글꼴을 지원한다.

  • 명조체
  • 고딕체
  • 샘물체
  • 필기체
  • 신명조체
  • 신문명조체
  • 공작체
  • 그래픽체
  • 견명조
  • 중고딕
  • 일부 한양서체(HY신명조 등)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음 글꼴을 지원하고 있다.

macOS에서는 다음과 같은 글꼴을 지원하고 있다.

  • Apple SD 산돌고딕 Neo (macOS 기본 글꼴)
  • AppleGothic
  • AppleMyungjo
  • 궁서
  • 나눔글꼴 (10.7 Lion 이상)[1]

무료공개글꼴[편집]

오픈 소스 운영 체제에서부터 사용되어온 백묵글꼴,은글꼴 모음 그리고 이어서 구글의 본고딕본명조, 네이버의 나눔글꼴등이 MS 윈도우맥 OS리눅스등에서 폭넓고 유용하게 이용되고있다.

이외에 서체전문회사에서 개발한 윤서체(윤디자인), 산돌체(산돌커뮤니케이션), 한양서체(한양시스템즈)등이 있다. 이들 서체들은 가족 서체(계열 서체:Family Fonts)라고 하여 글꼴의 종류는 같으나 진한 정도를 다르게 하여 구분하는 서체들을 말하는데, 윤서체는 120,125 등의 숫자, 산돌서체는 L(Light), M(Middle), B(Bold)로 구분한다. 또한 컴퓨터용 한글 글꼴은 세, 중, 견, 태를 이름 앞에 붙여서 구분하는데, 세<중<견<태 순서로 진해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컴퓨터 글꼴은 조선글 콤퓨터서체프로그람 《삼천리》와 평양정보쎈터 조선글 콤퓨터서체프로그람《글서체 50종》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지난 2001년 김정일 조선로동당 총비서가 높이 평가한 서체들을 골라 《삼천리》를 개발하였으며, 그 후 평양정보쎈터에서《글서체 50종》을 개발하였다. 이외에도 북조선의 컴퓨터 글꼴은 500여 종이 된다. 전자 출판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청봉체와 광명체, 그리고 천리마체, 조선의 당 중앙위원회 기관지《로동신문》의 옥류체가 그 중 일부이다. 이 서체들은 한글일본어중국어러시아어 4개 언어에 서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윈도 982000XP와 같은 운영 체제워드 프로세서 《창덕》과 《내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조선콤퓨터쎈터와 평양정보쎈터에서는 자체로 개발한 웹 사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글꼴들을 판매하고 있다. 아래에 나와 있는 서체들은 조선콤퓨터쎈터에서 개발된 것과 평양정보센터에서 개발된 것 중에서 몇 가지를 골라 마련한 것이다.

*   천리마체

  • 청봉체
  • 새날체
  • 붓글체
  • 광명체
  • 고전체
  • 립체체
  • 필기체
  • 동심체
  • 율동체
  • 장식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17 "노벨문학상 수상자" 밥 딜런 저서전 불티나다... 2016-10-19 0 5083
516 우리도 작문학(作文學) 문제로 고심할 때이다... 2016-10-19 0 4965
515 [쉼터] - 세상에 없는 세가지??? 2016-10-19 0 4926
514 [쉼터] - 같은 문학상을 두번 받고 권총으로 자살하다... 2016-10-19 0 6056
513 [쉼터] - 문학상 받고 13년간이나 전전긍긍 살다... 2016-10-19 0 5766
512 "노벨문학상 수상자"라는 타이틀 안에 가두지 않은 사르트르 2016-10-19 0 6076
511 [쉼터] - 115년만에 "노벨문학상" 큰 사고를 치다... 2016-10-19 0 6285
510 [쉼터] - "노벨상"때문에 남들이 더 입방아 찧어대다... 2016-10-19 0 5226
509 혹시나에서 역시나로의 "노벨상"은 초인적 노력의 결과물이다... 2016-10-19 0 6292
508 노벨문학상 수상자 밥 딜런 거장기록 14 2016-10-17 0 4565
507 살아있는 포크의 전설- 밥 딜런 노벨문학상 받기까지... 2016-10-17 0 6726
506 노벨문학상 수상자의 가사가 과학자들의 론문에 쓰이다... 2016-10-17 0 5226
505 아이들 가슴에 천만년의 보배로 가득 찰 때까지... 2016-10-17 0 4976
504 [쉼터] - 재밌는 "악마의 수자" 2016-10-16 1 5264
503 [쉼터] - 재미있는 자연속의 피보나치 수렬 2016-10-16 0 15740
502 [알아두기] - 음유시인(吟遊詩人)이란? 2016-10-16 0 5110
501 [쉼터] - 철학자들 모습 엿보다... 2016-10-16 0 4379
500 [쉼터] - 조선왕조 실록 알아보기 2016-10-16 0 4774
499 가장 읽기 어려운 문학작품 20 2016-10-16 0 4978
498 20세기를 기록한 명저서 100 2016-10-16 0 4391
497 립체파 화가 ㅡ 파블로 피카소 2016-10-16 0 4851
496 세계인의 헛소리, 빗나간 예측들 모음 2016-10-16 0 5644
495 가장 영향력 있는 현존 령적지도자 100 2016-10-16 0 5928
494 100원짜리 동전보다 좀 큰 남생이 새 가족 늘다... 2016-10-16 0 4566
493 고향문화소식 ㅡ "미니영화" 눈을 뜨다... 2016-10-14 0 6341
492 [록색문학평화주의자]= 明太여 돌아오라... 2016-10-12 0 4909
491 우리 말을 풍성하게 하는 생선 = 明太 2016-10-12 0 5487
490 명천군 명(明)자와 물고기 잡아온 어부의 성 태(太)자를 따서 명명=명태 2016-10-12 0 4878
489 [록색문학평화주의자]= 시가 되고 노래가 된 "명태" 2016-10-12 0 5228
488 [록색문학평화주의자]= 세계 최초 명태 완전양식 해빛보다... 2016-10-12 0 4439
487 [록색문학평화주의자]= 명태가 금(金)태가 되기까지... 2016-10-12 0 4473
486 [록색평화문학주의자]="국민생선"- 명태를 "현상 수배범"으로 만든 인간 2016-10-12 0 5265
485 [취미려행]= 중국 5A급 려행지 모음 2016-10-10 0 5056
484 노벨문학상 거부한 작가도 없다?... 있다!... 2016-10-10 0 4477
483 대표도서로 보는 세계의 문학상 2016-10-10 0 6749
482 력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와 국가별 및 수상작품 2016-10-07 0 8794
481 고향문단소식 두토리 2016-09-30 0 4547
480 베이징문단소식 한토리 2016-09-30 0 5322
479 섣부른 시지기 다시 한번 섣부르게 하면서... 2016-09-29 0 6404
478 제20회 연변 정지용문학상 밝혀지다... 2016-08-24 0 7665
‹처음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