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쉼터] - 잘 반성하고 정리해야 할 "결혼식문화"
2017년 10월 13일 02시 16분  조회:3711  추천:0  작성자: 죽림
결혼식 "음악회"
작성자: 장연하

가을은 결혼의 시즌인지  국경절 련휴기간 례식장마다 하객들로 붐비였다.

필자가 결혼식을 할때만 해도 신랑이 신부집으로 와서 한복 입고 너울 쓴 신부를 신랑집으로 데리고 와서 신랑집에서 큰상도 받고 찬치를 벌려 손님들도 대접하고 했었는데 언제부터 결혼례식장이 들어서면서 그 모습들이 많이 달라졌다. 량가어머니 입장부터 신랑입장, 신부는 하얀 드레스를 입고 친정아버지의 손을 잡고 입장한다. 례식장에서 량가 부모님한테 인사드리고 큰상도 받고…여하튼 요즘 우리 조선족의 견혼식의례는  전통과 서구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형태라고도 할수 있다.약혼식과 함, 이바지 등이 전통혼례에 뿌리를 두었다면 례식장에서 이루어지는 결혼식과 신혼려행은 서구문화의 영향을 받아 랑만적 사랑과 개인주이적인 의미를 표상한다.

결혼식이란 두사람이 인제는 부부의 연을 맺고  서로를 믿고  살아가겠다는 평생의 약속을 하는 자리이다. 사랑하는 두사람이 량가부모와 “주위사람들”앞에서 백년기약하고 평생의 약속을 하는 자리이기에 결혼식은 신랑 신부 두사람과 량가부모님들의  친척 ,친우, 가까운 지인들의 축복과 축하를 받아 마땅하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의 혼례문화는 주체도 절차도 이중적이다. 결혼식의 주인공은 신랑, 신부인데 어떤 결혼식에 가보면 결혼식의 주체가 누구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결혼당사자들보다 혼주라 불리는 부모가 결혼식의 주인인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냈던 축의금을 돌려받은 많은 하객이 몰리는 성대한 결혼식을 하다보니 결혼식장의 의미는 새 출발, 축하의 장소라기보다 혼잡하기 이를데 없는 북새통이다. 간혹 길가에서 인사나 하는 사이인데 결혼청첩장을 받았으니 할수 없이 결혼식장에 가서 눈도장 한 번 찍고, 축의금 봉투 내고, 밥이나 한 술 얻어먹고 오는 경우도 있다.

물론 결혼은 당사자만이 아니고 량가의 결합이기도 하기 때문에 화려하고 멋지게 치르고 싶고 량가 부모님 립장에서는 우리 자식 이렇게 잘 키워서 시집 장가 보낸다고 자랑하고도 싶을 것이다. 그러나 그 정도가 너무 심하고 형식적인게 많다면 결혼식은 새 가정의 탄생을 알리는 축하례식이 아니라 어른들의 체면을 살려주거나, 집안의 세를 과시하거나, 혹은 우리도 이런 결혼식을 할 수 있다고 자랑하는 허례허식으로 보일수 밖에 없으며  결국 민폐가 되는 것이다.

요즘 결혼식은  례식장에서 모든것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다보니 자연히 결혼식의 분위기는 사회자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결혼식 사회자는 상담을 통하여 신랑신부가 원하는 스타일로 맞추어 진행해야 하는데 어떤 사회자는 늘 천편일률로 하기 때문에 결혼례식장에서 신랑신부만 바뀌였지 판박이 결혼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 어떤 결혼식에 가보면 사회자가 신랑 신부에게 부모와 친척 친지들이 모인 례식자리에서 도에 지나치는 애정표현을 요구하는가 하면  신부 만세를  부르라는 둥   별의별 기상천외한 상황이 다 연출되기도 한다. 신성한 결혼식은 사회자의 수준미달과 수양차이로 평생 아쉬움으로 남기도 한다.

요즘  어떤 결혼청첩장을 받으면 불쾌할 때도 간혹 있지만 가끔 정말 반가운 청첩장도 있다. 그 가정과 친분이 두텁고 특히 결혼하는 젊은이를 잘 알고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그 결혼식이 기다려지기까지 한다. 얼마전 너무나 인상깊은 한 선배님 아드님 결혼식에 간적이 있었다. 신랑신부의 친척 친우 그리고 량가부모님의 지인들이 참가한 결혼식은 차분한 아나운서 스타일의 사회자의 진행으로 검소하지만 훈훈하게 치러졌다. 결혼식의 하이라이트는 축하공연이였는데 주내 수준급 가수들을 모시고 다양한 음악 장르들로 신랑신부의 결혼을 축하하는 모습은 모든 하객들의 열렬한 박수갈채를 받으며 한쌍의 부부의 탄생을 축복했다. 함께 결혼식에 참여했던  한 선배님이 참 멋진 “결혼식 음악회”라고 찬탄하기도 했다.

천편일률적일것 같은 결혼례식장에서의 결혼식, 잘 계획하기만 하면 얼마든지 소박하지만 축복이 가득찬 결혼식, 주위사람들의 기억속에 남는 아름다운 결혼식으로 오래 기억되여 새부부의 행복을 기원할 것이다.

지난 겨울 친구의 딸 결혼식에 갔다가 결혼식장 입구에 놓인 액자에서 조부모가 축사 격으로 쓴 3행시를 보고 깊은 감동을 받았다. “이 세상에 사는 동안 량가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 잊지 말게 하시고, 지혜 속의 생활은 검소하게 그리고 생각은 고상하게 하여 겸손으로 타의 모범이 되게 하시며, 미소 가득한 이 가정이 많은 자손과 함께 기쁨이 넘치는 축제의 집 되게 기도합니다.” 검소하고 훈훈하게 치러진 결혼식에서 본 이 3행시는 인간의 아름답고 긍정적인 유산이 행복한 결혼생활을 통해 전수되어간다는 진리를 조용히 그러나 강하게 외치는 것 같았다.

///연변일보 2017-10-11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77 艾青 시인의 아들 艾未未 건축가 2016-12-25 0 5943
876 [쉼터] - 축구스타, 문신, 기부, 그리고 인간세상 2016-12-25 0 5114
875 [쉼터] - 축구스타, 발롱도르, 그리고 발롱도르 9년 "전쟁" 2016-12-25 0 4094
874 [쉼터] - 축구영웅, 기네스북 기록, 그리고 축구세계 2016-12-25 0 4232
873 [쉼터] - 축구선수, 축구화, 그리고 색상세계 2016-12-25 0 4389
872 [쉼터] - 축구스타, 발롱도르, 그리고 축구샛별... 2016-12-25 0 3936
871 [록색문학평화주의者]동북호랑이 일부를 자연속에 놓아주었으면!... 2016-12-25 0 3777
870 [쉼터] - 고유종,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그리고 지구의 자산 2016-12-24 0 6112
869 우리 고향 하천에도 "깡종개"라는 물고기가 있었었는데... 2016-12-24 0 6468
868 [자료] - "태양광전자판도로", 세계 최초, 록색문학평화주의者 2016-12-23 0 4325
867 [자료] - 사막, 37, 눈... 2016-12-23 0 3972
866 [그것이 알고싶다] - 히틀러가 전쟁광이기전 아마추어화가... 2016-12-23 0 4181
865 [그것이 알고싶다] - 운석 대폭발 순록의 참변 2016-12-23 0 3906
864 [그것이 알고싶다] - 천자문의 유래 2016-12-23 0 4380
863 [그것이 알고싶다] - 야구감독 유니폼 왜 입나?... 2016-12-22 0 4143
862 [그것이 알고싶다] - 바둑선수들 유니폼 없다?... 있다!... 2016-12-22 0 4608
861 [쉼터] - 암투병 소년, 명공격수의 꿈, "영원한 해맑은 미소" 2016-12-22 0 3876
860 [쉼터] - "금수저"아이, "흙수저"아이, 그리고 반칙없는 세상 2016-12-22 0 4262
859 [쉼터] - 축구선수들과 아이들 2016-12-22 0 5004
858 [쉼터] - "축구경기중계치료법", "반죽음 소년축구팬" 일어나다... 2016-12-22 0 5770
857 [쉼터] - 축구 유니폼 "전쟁" 2016-12-22 0 5787
856 [쉼터] - 축구스타의 매력, 스포츠의 마력 2016-12-22 0 5824
855 [쉼터] - 월드컵 비사 2016-12-22 0 4001
854 [쉼터] - 축구스타, 발롱도르, 그리고 축구의 기적... 2016-12-22 0 4730
853 [쉼터] - 축구스타, "황금빛 공", 그리고 축구세계... 2016-12-22 0 5625
852 [쉼터] - 축구선수들의 명언 2016-12-22 0 9448
851 [쉼터] - 수영황제, 금메달, 그리고 스포츠정신... 2016-12-22 0 4983
85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리 고향에서도 축산물관리제도가 잘 되였으면... 2016-12-22 0 5249
849 [쉼터] - 착시현상과 상상과 그리고 요지경세상... 2016-12-22 0 6437
848 [쉼터] - "그 녀자는 엄마가 될 자격이 있다?...없다!!!..." 2016-12-22 0 4012
847 [쉼터] - 비행기 추락직전 좌석 옮겨 구사일생 하다... 2016-12-22 0 4354
846 서예계에서도 대필 된다?... 안된다!... 2016-12-21 0 4424
845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함과 같다"... 2016-12-21 0 4479
844 "대필작가" 없다?있다!...하지만 문학, 미술창작엔 대필 없다... 2016-12-21 0 4016
843 내 삶에서 문학을 제거하면 그냥 "잡부 인생살이" 2016-12-21 0 4336
842 관행, 가난한 무명작가, 신인작가, "대필공장", 로동가치... 2016-12-21 1 4318
841 대작(代作), 대필(代筆), 그리고 "비륜리적 분업" 2016-12-21 0 4696
840 대작 미술계 관행... 대필 문학학술계 불관행... 2016-12-21 0 4525
839 꾸미지도 말고 속이지도 말며 있는 그대로 살아라... 2016-12-21 0 4139
838 미술계, 대작(대필) 논란, 그리고 화가의 량심... 2016-12-21 0 4868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