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문학은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인간성을 써라...
2017년 10월 07일 00시 28분  조회:2461  추천:0  작성자: 죽림
국경과 언어 넘어선 '인간성' 탐구…
이시구로의 문학세계
(ZOGLO) 2017년10월6일 
가즈오 이시구로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좋은 소설이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세계 전역의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비전이 담긴, 그렇지만 상당히 단순한 소설이라고 나는 믿는다. 대륙을 넘나들지만 세계의 어느 후미진 구석에서도 단단히 뿌리 내릴 수 있는 인물들을 품고 있는 그런 소설 말이다."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일본계 영국 작가 가즈오 이시구로(63)의 말이다.

이시구로는 잊혀지고 왜곡된 기억을 복원해 보편적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작가다. 실제 벌어진 사건들을 종종 등장시키지만, 역사에 직접적 개입을 자제한 채 철저히 인간성 자체에 초점을 둔다. SF소설의 형식을 차용하더라도 배경이나 소재에 무게를 지나치게 싣지는 않는다. 민족과 언어를 넘어서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호소하는 작가이고 싶다고 그는 말한다.

1954년 11월8일 일본 나가사키에서 태어난 이시구로는 영국 국립해양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한 아버지를 따라 1960년 영국으로 이주했다. 켄트대에서 철학을, 이스트앵글리아대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한 이시구로는 싱어송라이터를 꿈꾸기도 했고 사회복지사로 일한 경력이 있다.

이시구로는 1982년 발표한 첫 소설 '창백한 언덕 풍경'이 주목받으면서 전업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영국에 거주하는 일본 출신 중년 여인 에츠코의 시선을 통해 전후 일본의 황폐한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언급하긴 하지만 전쟁이나 폭격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다만 과거를 회상하고 싶지 않다며 딸에게 일본 이름을 붙이기 반대했던 에츠코의 기억을 파고든다.

이시구로는 이 소설로 위니프레드 홀트비 기념상을 수상했다. 이후 1980년대에 발표한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 '남아 있는 나날' 등 3편으로 동시대 영국 문학계를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한다.

가즈오 이시구로 [민음사 제공]

1986년작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제국주의에 가담해 선동적 작품을 그렸던 늙은 화가 마스지 오노의 회고담이다. 딸의 결혼을 앞두고 과거의 인물들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전범'이었던 옛 행적이 하나둘 드러난다. '남아 있는 나날'에선 영국의 한 저택 집사로 평생을 보낸 스티븐스가 주인의 호의로 6일간의 생애 첫 여행을 떠나면서 과거가 복원된다. 그의 인생과 기억에도 두 차례 세계대전 사이 1930년대 유럽의 역사가 얽혀 있다.

영화화 되기도 한 '남아 있는 나날'로 1989년 부커상을 수상한 이시구로는 배경과 인물이 서로 다른 세 작품을 두고 "같은 책을 세 번 썼다"고 했다. 그의 작품에서 배경과 사건은 본질이 아니다. 그는 "직업적인 면에서 소모적인 삶"을 사는 인간을 통해 "한 개인이 불편한 기억과 어떻게 타협하는지" 그린다고 설명한다.

1995년작 '위로받지 못한 사람들'에서 이시구로는 새로운 실험에 나선다. 과거와 현재·미래가 없는 초현실적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유명 피아니스트가 성공을 위해 버려야 했던 가치들을 되살리려 하지만 실패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서술했다. 현대인의 쓸쓸한 자화상이기도 한 이 소설은 '카프카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첼튼햄상을 받았다.

이시구로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때때로 인간은 틀릴 수도 있는 신념을 전력으로 붙잡고 자기 삶의 근거로 삼는다. 내 초기 작품들은 이런 인물들을 다룬다. 그 신념이 결과적으로 잘못된 것이었다고 할지라도 환멸에 빠져서는 안 된다. 그건 그저 그 탐색이 어렵다는 걸 발견한 것뿐이고, 탐색을 계속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20년 전 부모의 실종사건을 파헤치는 한 사립탐정의 이야기인 '우리가 고아였을 때',(2000), 복제인간의 삶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성찰한 '나를 보내지 마'(2005), 최근작인 '파묻힌 거인'(2015)까지 이시구로의 작품 대부분이 국내에 번역돼 있다.

'창백한 언덕 풍경'과 '부유하는 세상들의 화가' 등을 옮긴 김남주 번역가는 "서양문학을 번역하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이야기가 우리와는 문화와 역사가 다른 지식과 비판을 갖춘 독법이 필요한 남의 나라 이야기라는 것을 잊는 순간이 있다. 이시구로의 작품은 이런 면에서 인간 공통의 보편성에 기초해 읽는 이를 무장해제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이시구로의 작품에 내재된 것은 문학적 계산이나 포석이 아니라 오히려 적절히 분비되는 재능인 것 같다. 이런 미묘한 표현 방식을 지닌 작가가 있다는 것은, 해야 할 말보다 훨씬 많은 말이 넘치는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커다란 행운"이라고 덧붙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10 첫사랑아, 첫사랑아, 나에게 돌려다오... 2017-07-24 0 2402
609 시의 첫머리는 독자와 만나는 첫번째 고비이다... 2017-07-24 0 2060
608 장마야, 우리들은 널 싫어해... 2017-07-24 0 2230
607 "시인이 되면 돈푼깨나 들어오우"... 2017-07-24 0 2035
606 백합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285
605 "해안선을 잡아넣고" 매운탕 끓려라... 2017-07-24 0 2154
604 "언제나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것은"... 2017-07-24 0 1955
603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창조성의 요인은 바로 상상력이다... 2017-07-24 0 2505
602 동물들아, "시의 정원"에서 너희들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7-24 0 2890
601 시인은 불확실한 세계의 창을 치렬한 사유로 닦아야... 2017-07-24 0 2163
600 초여름아, 너도 더우면 그늘 찾아라... 2017-07-24 0 2245
599 "내가 죽으면 한개 바위가 되리라"... 2017-07-24 0 2832
598 련꽃아, 물과 물고기와 진흙과 함께 놀아보쟈... 2017-07-24 0 2494
597 현대시야, 정말로 정말로 같이 놀아나보쟈... 2017-07-24 0 2265
596 선물아, 네나 "선물꾸러미"를 받아라... 2017-07-24 0 2600
595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2017-07-24 0 2267
594 채송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3784
593 시의 초보자들은 문학적인것과 비문학적것을 혼동하지 말기... 2017-07-24 0 2291
592 찔레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565
591 상상력의 무늬들은 새로운 세계와 세상의 풍경을 만든다... 2017-07-24 0 2176
590 커피야, 너를 마시면 이 시지기-죽림은 밤잠 못잔단다... 2017-07-24 0 2695
589 시는 언어로 그린 그림이다... 2017-07-24 0 2502
588 담쟁이야, 네 맘대로 담장을 넘어라... 2017-07-24 0 2466
587 시인은 사막에서 려행하는 한마리 락타를 닮은 탐험가이다... 2017-07-24 0 2270
586 꽃들에게 꽃대궐 차려주쟈... 2017-07-24 0 2450
585 무의식적 이미지는 눈부신 은유의 창고이다... 2017-07-24 0 2599
584 유채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149
583 음유시는 문자와 멜로디와의 두개 세계를 아우르는 시이다... 2017-07-24 0 2290
582 풀꽃들아, 너희들도 너희들 세상을 찾아라... 2017-07-24 0 2266
581 시인은 은유적, 환유적 수사법으로 시적 세계를 보아야... 2017-07-24 0 2543
580 풀들아, 너희들 세상이야... 2017-07-24 0 2561
579 시인은 날(生)이미지를 자유롭게 다룰 줄 알아야... 2017-07-24 0 2207
578 봄아, 봄아, "봄꽃바구니" 한트럭 보내 줄게... 2017-07-24 0 2589
577 시인은 그림자의 소리를 들을줄 알아야... 2017-07-24 0 2295
576 금낭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075
575 시인은 절대 관념이나 정서의 노예가 아니다... 2017-07-24 0 2346
574 춘향아, 도련님 오셨다... 2017-07-24 0 2618
573 좋은 시는 그 구조가 역시 탄탄하다... 2017-07-24 0 2171
572 아카시아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476
571 시를 쓰는것은 하나의 고행적인 수행이다... 2017-07-24 0 2307
‹처음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