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ㄷ)...
2017년 09월 19일 18시 18분  조회:2355  추천:0  작성자: 죽림
하이퍼동시집
 
나비 돛배와 잠자리 십자가. 3 ( 41 ~60)

최룡관


 
41

호케이
 
 
호랑이와 곰들
 
별따기 한다
 
관람석이 후르르
 
하늘 날아오르고
 
하늘이 와르르
 
무너져내린다
 
  2017.6.17.
 
42

나무의 조화
 
아롱다롱 꽃비단으로
 
코트를 지어 산에 입힌다
 
 
태양의 딸
 
불의 엄마
 
푸르른 분수
 
푸른 살이 올라
 
산이
 
피둥피둥 살진다
 
앙상한 가시 되여
 
산을
 
하얀 고습도치 만든다
 
   2017.7.10.
 
 
43

락수물소리
 
 
콩콩콩
 
구멍파기
 
뚜두두
 
지통 터치기
 
통통통
 
북 두드리기
 
2017.6.17.
 
 
44

라이타
 
 
라이라크 꽃이 뽕뽕 핀다
 
이우가 흐엉흐엉
 
타일 돌돌
 
꽃들이 울긋불긋
 
타자기 톡톡  
 
콩새무리 후르르
 
 
        2017.6.17.
 
45

원주필
 
 
배속에 글자들이
 
가득 차있다.
 
 
종이와 만나면
 
말도 많다
 
 
고속 도로 씨잉
 
산굽이 돈다 
 
  2017.6.17.
 
 
46

호박꽃
 
 
호박꽃은 노란 금덩이
 
왕벌이 금캐러 온다
 
호박꽃은 트럼베
 
아앙앵 소리 없는
 
울음 운다
 
호박꽃은 엄마
 
애기 호박 젖 먹인다.
 
                 2017.6.17.
 
 
47


사전
 
 
정말 크고 큰 집이지
 
쪽배가 살고
 
구름이 살고
 
별들이 살고
 
노루가 살고
 
풍덩이 살고
 
.........
 
        2017.6.17.
 
 
48

구름다리
 
 
구름 다리 건넘 어디지
 
손오공네 집이야
 
구름다리위로 가면 어디지
 
해님 뜨락이야
 
구름다리서 내리면 어디지
 
박쥐네 동굴이야
 
    2017.6.17
 
 
49

배낭
 
 
등에서 잠만 자는 아기
 
배 고프면 해 먹고
 
배 부르면 달 눈다
 
 
배를 뱅뱅 깍아라
 
손바닥에 하얀 달이 뜨고
 
사라에서 따발사탕 큰다
 
 
별들 웃음소리 배낭에 넘친다
 
        2017.6.17
 
 
50

오십번째 동시
 
 
 
오십번째 동시는
 
쥐와 고양이가 가지런히 누워
 
가릉가릉 코 고는 가마목
 
오십번째 동시는
 
산이 되였다 구름 되였다
 
산과 구름이 안고 뒹구는 땅
 
오십번째 동시는
 
뽈과 해가 끌어안고 돌아가며
 
해가 되였다 뽈이 되였다 하는 하늘
 
           2017.6.17.
 
 
51

홍학의 전설
 
 
소금무지에서 나서
 
엄마의 빨간 젖 먹으며 일어선다
 
만리경주 선수들
 
달리고 달리며 자라는 하늘 새
 
담수호로 달려가서
 
만리 나는 비행기 된다
 
붉은 물 들이여
 
목에선 해 뜨고
 
등에선 달 뜬다
 
               2017.6.17.
 
 
52

화산
 
 
빨간 꽃 피우는 꽃봉오리
 
 
까만 머리채 날리는 소녀
 
 
풍풍 포탄을 쏘는 포아구리
 
 
콸콸 철물 쏟아내는 용광로
 
 
쩍쩍 산도 베여내는 신선칼
 
 
53

평균새
 
 
등에다
 
검은 외투를 입고 다닌다
 
눈보라 코트자락 날리면
 
새까만 지도 그린다
 
바다에선 쪽배
 
뭍에선 오또기
 
 
54

 해님
 
 
날마다 하늘 재이는 둥근 자
 
 
 
시간 알리는 목탁 소리
 
 
 
드르릉 세탁기
 
검은 구름 하얗게 빤다
 
 
 
장미꽃 넘쳐나는 꽃바구니
 
 
  2017.6.17.
 
 
 
55 

보름달
 
 
 
동그란 사과 
 
시간이 야금야금 먹는다
 
동그란 북
 
바람이 동동 두드린다
 
동그란 노대
 
무수한 별방울 튕긴다
 
2017.6.17.
 
 
 
56.



 
 
 
하늘엔 학교 많나봐
 
빨간 벨 단추 총총 하구나
 
 
 
하늘 사과밭에 풍년 들었나봐
 
빨간 사과들 주렁지었네
 
 
 
하늘 쪼무래기들 밤샘 하나봐
 
빨간  초불 가득 켰구나
 
         20017.6.17.
 
 
 
57

작은  풍경
 
 
 
잉어는 꼬리 휘저어
 
금싸락  튕긴다
 
 
 
조약돌 입에서
 
이빨들 반짝거린다
 
 
 
물새들 날개 펴
 
적을 소(小)자 쓴다
 
 
 
58

그림
 
 
 
그림자에 송송 구멍 났다
 
 
 
잠자리 구멍 나들며
 
그림자 구멍 꿰맨다
 
 
 
그림자 나무 초리 물고
 
나무 늘군다
 
 
 
야금야금 산을 먹다가
 
저도 몰래 제까지 먹어버린다
 
        2017.6.17.
 
 
 
 
 
 59

거미줄
 
 
 
앵앵 사이렌 울리는 모기야
 
거미줄 널 얽어 콩죽 쓰려한단다
 
 
 
쪽배 돛아 나비야
 
거미줄이 돛으로 이팝 지으려한단다
 
 
 
칠성별 입은 딱장벌레야
 
거미줄 널 묶어 튀기를 튀우련단다  
               2017.6.18
 
 
 
   60

단풍
 
빨간 별무리
노란 별무리
산에 산에 연지곤지
 
 
빨강 새
노랑 새
화르르 날아난다
 
빨강 게
노랑 게
강가에서 어정어정
2017.8.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어릴 때부터 바른 글씨체를... 2017-01-22 0 3086
129 [시문학소사전] - "오마주"란?... 2017-01-22 0 4978
128 현대시는 외형률보다 내재률을 통해 음악성을 강조해야... 2017-01-21 0 3424
127 시인은 "버려진 집"에서 살며 시작해야... 2017-01-20 0 2767
126 시는 목적없이 그 무엇을 "찾는" 행동이다... 2017-01-20 0 2815
12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외래어도 알고 쓰자... 2017-01-20 0 2746
124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한글과 일본어 대조표 2017-01-20 0 3077
123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순수 우리말로 하면 촌스러운가... 2017-01-20 0 3996
12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순수 우리말 있을 땐 외래어 쓰지 말기... 2017-01-20 0 3976
121 시작에 공부 좀 하이쏘.. 2017-01-18 0 5446
120 시작의 길잡이는 오로지 "나도 시를 쓸수 있다" 이다... 2017-01-18 0 3162
119 시는 시시한 물건짝이 옳다?... 아니다!... 2017-01-18 0 2765
118 [시문학소사전] - "벽화"와 "그래피티" 차이점?... 2017-01-16 0 4022
117 시작(詩作)의 비법 = 다독(多讀), 다사(多思), 다작(多作)... 2017-01-16 0 3149
116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딸님"과 "따님" 2017-01-15 0 2956
11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부딪히다"와 "부딪치다" 2017-01-15 0 3236
114 [쉼터] - 사랑의 노래는 학습되지 않는 막무가내의 모든 것... 2017-01-15 0 3279
113 [쉼터] - 그림자 이끌고 떠나가야겠네... 2017-01-15 0 2741
112 살맛나는 세상과 무서운 세상, 그리고 "거짓 글" 2017-01-14 0 3611
11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글쓰기, 토론식 례찬 2017-01-14 0 3104
110 문학은 "퇴고, 다시 퇴고"의 련마작업을 거치는 고된 작업... 2017-01-14 0 2950
109 詩作에서의 퇴고, 퇴고, 퇴고 끝에 탈고와 등고의 희렬!~~~ 2017-01-14 0 3179
108 시작할 때 늘 시어(詩語)의 생사존망(生死存亡)문제를 따져야... 2017-01-13 0 2697
107 섬은 늘 거기에 있지만 사람들은 그 섬을 떠나 돌아오지 않는다... 2017-01-11 0 2696
106 시적언어가 탄생과정을 거치지 않은 언어는 독자의 마음을 파고들수 없다... 2017-01-11 0 3120
105 시조라는 정형틀을 지키면서 동시에 시적 심상의 확장과 응축 등으로 새로운 시조의 미학을 창조해야... 2017-01-11 0 2828
104 "선생님은 퇴고를 하십니까, 안 하십니까?..." 2017-01-08 0 2656
103 시는 희, 로, 애, 락, 욕, 지, 의, 정 등의 복합적 예술품이다... 2017-01-08 0 2757
102 문학예술가와 病, 그리고 창작 2017-01-07 0 2678
101 2017년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모음 2017-01-06 0 2853
10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위하여" 건배!... 2017-01-06 0 2899
99 금서, 70, 베스트셀러 그리고 독재자... 2017-01-06 0 2726
98 시는 늘 육화(肉化)된 언어를 찾아 써야... 2017-01-05 0 2894
97 무지하고 께제제한 눔들 하곤 할 말이 있다?... 없다!... 2017-01-04 0 3947
96 시는 불필요한 관념성, 난해성, 상투성, 피상적, 추상적인식에서 머물지 말아야... 2017-01-04 0 3177
95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의 상자"란?... 2017-01-03 0 3845
94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란?... 2017-01-03 0 4011
93 시문학이 이땅에서의 생존의 길, 그것은 곧 "사랑"과 "고뇌". 2017-01-02 0 3226
92 5천권의 책을 읽고 만장의 글을 써라... 2017-01-02 0 3214
91 글쓰기 비법 아닌 비법 12 2017-01-02 0 3733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