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미국 실험영화 감독, 시인 - 크리스토퍼 맥클레인
2017년 09월 15일 00시 57분  조회:2934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923년, 미국 오클라호마(Oklahoma)주 와파뉴카(Wapanucka)
사망 1975년, 미국 캘리포니아
본명 크리스토퍼 맥클레인 (Christopher Maclaine)
데뷔 <종말>(The End, 1953)

요약 크리스토퍼 맥클레인(Christopher Maclaine)은 미국의 실험영화 감독이자 시인이다. 1940~1950년대 당시 기성 세대의 주류 가치관을 거부하는 반문화 운동인 '비트 제너레이션(Beat generation)' 운동에 참여했다. 시인으로서 활동하던 맥클레인은 1953년 <종말>(The End, 1953)을 데뷔작으로, <황금을 발명한 사나이>(The Man Who Invented Gold, 1957), <비트>(Beat, 1958), <스코치 홉>(Scotch Hop, 1959) 등의 실험영화를 통해 1950년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생애와 이력

크리스토퍼 맥클레인(Christopher Maclaine)은 미국의 실험영화 감독 겸 시인이다. 1923년 미국 오클라호마(Oklahoma) 주(州)의 작은 마을 와파뉴카(Wapanucka)에서 태어난 맥클레인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C Berkeley)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했다. 1946년 대학을 졸업한 그는 이듬해부터 동료이자 아내인 노르마 스미스(Norma Smith)와 함께 시문학 전문지인 『콘투어』(CONTOUR)를 창간한다. 맥클레인은 당시 기성 세대의 주류 가치관을 거부하는 반문화 운동인 '비트 제너레이션(Beat generation)' 운동에 참여한 '캘리포니아 비트 시인(California Beat poet)' 중 한 명이었는데,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발행한 4권의 『콘투어』에 자신과 아내의 시와 함께 잭 스파이서(Jack Spicer), 로버트 던컨(Robert Duncan), 필립 라만티아(Philip Lamantia), 데니스 르베르토프(Denise Levertov), 케네스 패첸(Kenneth Patchen), 케네스 렉스로스(Kenneth Rexroth) 등의 시를 실었다. 맥클레인은 1948년의 창작 시집 『자생적인 상처』(The Automatic Wound, 1948)를 시작으로, 『미친 새』(The Crazy Bird, 1951), 『말』(Words, 1954), 『타임 캡슐』(The Time Capsule, 1960) 등을 출판하면서 1960년까지 시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이어나간다.

시인으로서 나름대로 명성을 떨치던 맥클레인은 1953년 <종말>(The End, 1953)이라는 제목의 단편 실험영화를 발표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한 후, <황금을 발명한 사나이>(The Man Who Invented Gold, 1957), <비트>(Beat, 1958), <스코치 홉>(Scotch Hop, 1959) 등의 실험영화를 연출했다. 젊은 시절부터 보헤미안의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지니고 있던 맥클레인은 광인(狂人)으로 불릴 만큼 기이하고 과감한 행동들을 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알코올과 약물에 지나치게 중독되어 창작은 물론 더 이상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그는 1975년 캘리포니아의 한 정신병원에서 5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작품세계

맥클레인의 1953년 데뷔작 <종말>(The End, 1953)은 미국이 한국전쟁에 참여하고 있던 1952년 미국과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과 전쟁이 가져올 인류 종말을 극도의 실험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한 영화로, 단절적이고 편집증적인 몽타주 기법과 검은화면의 빈번한 사용 등을 통해 영화에 대한 회의적인 자의식을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작품은 1940년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시네아스트 프랭크 스타우패커(Frank Stauffacher)가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적 가치에 대한 강한 신념을 바탕으로 1946년부터 1954년까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에서 진행했던 아방가르드 영화 정기 상영 프로그램 <아트 인 시네마>(Art in Cinema)에서 처음 상영되었다. <종말>을 본 관객들은 작품의 모호함과 지나친 실험성에 혹평을 보냈는데, 이러한 반응에 대해 맥클레인은 의연한 태도를 지녔다고 한다.

첫 영화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맥클레인은 이후 3편의 영화를 계속해서 만든다. 1957년에 발표한 <황금을 발명한 사나이>(The Man Who Invented Gold, 1957)는 제목이 암시하듯이 컬러 필름과 흑백 필름의 병치를 통해 영화가 지닌 빛과 색의 조작 가능성을 마치 연금술처럼 직접적으로 실험한 작품이다. 1958년 작 <비트>(Beat, 1958)는 '비트 제너레이션'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발표한 영화로, 불규칙한 프레임과 점프컷, 콜라주 등의 기법을 통해 당시 사회의 불안함을 표현한 작품으로, '비트' 운동을 영화적 이미지로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맥클레인의 마지막 영화작품은 1959년에 발표한 <스코치 홉>(Scotch Hop, 1959)인데,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뿌리인 스코틀랜드의 정신과 전통에 대한 애정을 표현한다.

영화사적 평가

크리스토퍼 맥클레인은 '비트 제너레이션(Beat generation)' 운동을 주도한 시인으로서, 또 실험영화 감독으로서 1950년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단지 4편의 실험영화를 만들었지만, 그의 영화 속에 담긴 실험성과 새로운 표현 기법은 스탠 브래카주(Stan Brakhage), 브루스 코너(Bruce Conner), 로버트 넬슨(Robert Nelson) 등 미국 실험영화의 대표적 시네아스트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작품목록

<종말>(The End, 미국, 1953, 단편, 실험영화)
<황금을 발명한 사나이>(The Man Who Invented Gold, 미국, 1957, 단편, 실험영화, 연출/촬영감독/음악)
<비트>(Beat, 미국, 1958, 단편, 실험영화)
<스코치 홉>(Scotch Hop, 미국, 1959, 단편, 실험영화)

저서

『자생적인 상처』(The Automatic Wound, 1948)
『미친 새』(The Crazy Bird, 1951)
『말』(Words, 1954)
『타임 캡슐』(The Time Capsule, 1960)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50 한국 시인 김지하 장편 풍자 담시 - 오적 2020-01-23 0 3888
1449 [타산지석] - 리상, -"순간이지만 영원한 문화유전자 남기다"... 2019-12-22 0 2802
1448 한국 최초 녀성신문... 2019-12-16 0 3002
1447 한국 최초 문학비... 2019-12-16 0 3469
1446 한국 최초 시 전문지 2019-12-16 0 3236
1445 한국 최초 출판사... 2019-12-16 0 3192
1444 [문단소식] - 두만강 역 화룡 로과 호곡령에서 리욱시인 오다... 2019-12-10 0 2776
1443 "하늘나라 천사가 눈 뜨는 별" 2019-12-04 0 2592
1442 글쟁이들과 조선말규범... 2019-12-04 0 2880
1441 "새의 지저귐 소리를 알아 들을수 있어야?!..." 2019-11-30 0 2280
1440 반삭발을 한 윤동주... 2019-11-24 0 2968
1439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철학가 - 고자 2019-11-20 0 3031
1438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법가학파 - 한비자 2019-11-20 0 3349
143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백가묵가 - 묵자 2019-11-20 0 3631
1436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유가 성악설 - 순자 2019-11-20 0 3493
1435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道學 - 정자 2019-11-20 0 2685
1434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성선설 - 맹자 2019-11-20 0 3981
1433 [그것이 알고싶다] - 고대 중국 儒敎의 시조 - 공자 2019-11-20 0 4190
1432 [그것이 알고싶다] - 고대 중국 道家의 시조 - 로자 2019-11-19 0 3168
1431 [그때 그 노래] - "손에 손잡고"... 2019-11-19 0 2649
1430 "그까짓 1000억, 그 사람 '시' 한줄만 못해"... 2019-11-18 0 3057
1429 최소한 윤동주에게 욕을 보이는 일이 없도록... 2019-11-14 0 3235
1428 뇌성마비 시인 김준엽 20년전에 펜을 입에 물고 쓴 시가 아직도 "떠돌이" 하다니... 2019-11-14 0 2969
1427 [바로잡습니다] - 시 "내 인생에 가을이 오면"은 윤동주 시가 아닙니다... 2019-11-14 0 2626
1426 한용운 시모음 2019-11-14 0 2800
1425 "님의 침묵" - 한용운 2019-11-14 0 4200
1424 독립운동가, 시인 - 한용운 2019-11-14 0 3470
1423 "배 곯게 하는 문학은 절대 안 된다"... 2019-11-14 0 3285
1422 민족저항 3대시인... 2019-11-14 0 2678
1421 264, 저항 시인 이육사... 2019-11-13 0 4841
1420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2019-11-13 0 3271
1419 활무대는 서로 다르지만 불멸은 같다... 2019-11-04 0 2847
1418 [그것이 알고싶다] - 나운규와 아리랑을 부른 가수... 2019-11-01 0 3872
1417 [그것이 알고싶다] - 나(라)운규와 영화 "아리랑" 2019-11-01 0 3611
1416 [그것이 알고싶다] - "아리랑"... 2019-11-01 0 4091
1415 [시학소사전] - "서사시"란?... 2019-10-30 0 3490
1414 한국의 최초의 서사시 ㅡ "국경의 밤"... 2019-10-30 0 2410
1413 [문학용어] - "리좀(根莖)" 2019-10-07 0 3378
1412 시와 시인과 독자와 그리고... 2019-09-18 0 3486
1411 일본 특유의 短詩 ㅡ 하이쿠 2019-09-18 0 5092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