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당신들은 아버지 사타구니를 닦아본적 있으십니까?!...
2017년 08월 23일 00시 08분  조회:3193  추천:0  작성자: 죽림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 싶다

 

 

  볼품없이 누워 계신 아버지
  차갑고 반응이 없는 손
  눈은 응시하지 않는다
  입은 말하지 않는다
  오줌의 배출을 대신해주는 도뇨관(導尿管)과
  코에서부터 늘어져 있는
  음식 튜브를 떼어버린다면?
  
  항문과 그 부근을
  물휴지로 닦은 뒤
  더러워진 기저귀 속에 넣어 곱게 접어
  침대 밑 쓰레기통에 버린다
  더럽지 않다 더럽지 않다고 다짐하며
  한쪽 다리를 젖히자
  눈앞에 확 드러나는
  아버지의 치모와 성기
  
  물수건으로 아버지의 몸을 닦기 시작한다
  엉덩이를, 사타구니를, 허벅지를 닦는다
  간호사의 찡그린 얼굴을 떠올리며
  팔에다 힘을 준다
  손등에 스치는 성기의 끄트머리
  진저리를 치며 동작을 멈춘다
  잠시, 주름져 늘어져 있는 그것을 본다

  내 목숨이 여기서 출발하였으니
  이제는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 싶다
  활화산의 힘으로 발기하여
  세상에 씨를 뿌린 뭇 남성의 상징을
  이제는 내가 노래해야겠다
  우리는 모두 이것의 힘으로부터 왔다
  지금은 주름져 축 늘어져 있는
  아무런 반응이 없는 하나의 물건
  
  나는 물수건을 다시 짜 와서
  아버지의 마른 하체를 닦기 시작한다.
                           ―졸시,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 싶다] 전문

  솔직히 말씀드려 이 시는 완벽한 거짓말입니다. 제 아버님은 이날 이때껏 입원이라는 것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허리가 많이 안 좋으십니다만 올해도 고향에서 밭농사를 짓고 계신 분입니다. 그런데 이 시를 읽은 많은 독자가 대부분 실제상황인 줄 알고 제게 물어왔습니다. 부친을 간병하느라 고생이 많았겠다는 위로의 말을 들을 때마다 곤혹스럽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시는 재미교포 2세인 루이스 최가 쓴 {생명일기}(김유진 옮김, 김영사 간행)라는 간병기를 보고 제 체험인 양 가져와서 쓴 것입니다. 물론 아버지의 성기 운운하는 대목은 그 책에 나오지 않습니다. 식물인간의 상태가 된 어른을 간병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여실히 기록되어 있는 그 책을 보고 만약 제 아버지가 저런 상태가 되었다면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 상상해보면서 한 편의 시를 썼던 것입니다. 이 시가 시적 진실을 추구하는지 어떤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책을 통한 간접체험을 직접체험으로 슬쩍 바꿈으로써 시를 쓸 수 있었습니다. 한 인간의 체험에는 한계가 있는 법인데, 간접체험과 상상력은 그 한계를 무한정 확장해 줍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685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725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691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479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527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492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529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647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352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599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597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501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563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602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429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426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545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447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500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543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581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625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251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525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589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681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461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867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788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879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446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