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를 쓴다는것은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2017년 08월 22일 22시 06분  조회:2365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7년 08월 22일 08시 08분 ]

 

 

@@ 99년만에 북미주 전역에서 나타난 달이 태양을 덮어버리는 개기일식...
 2017년 08월 22일 08시 08분 

 

 

&& 달이 태양을 덮어버리는 개기일식 미국 대륙을 관통. 99년 만의 지상 최대의 우주쇼...

시와 키치 


황정산(문학평론가, 대전대학교 교수) 


  밀란 쿤데라는 그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 주인공인 화가 사비나의 말을 통해 키치를 비판하고 있다. “나의 적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키치에요.”라고 말하면서 그녀는 키치가 모든 진지한 예술의 가장 적대적 존재임을 강조한다. 키치는 예술뿐만 아니라 진정성이 없는 동정심, 고상한 척, 남의 시선 의식하기, 정치인들의 애국심, 따라 하기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면서 우리들의 삶을 끊임없이 상투화시킨다는 것이다. 

  흔히 ‘이발소 그림’으로 불려지는 키치kitsch는 값싼 대중적 예술을 말한다. 예술사가 아놀드 하우저는 그의 저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에서 "키치가 내세우는 요구들이 아무리 고상한 것일 수 있다고 할지라도 키치는 사이비 예술인 것이며, 달콤하고 싸구려 형식을 갖춘 예술이고, 위조되고 기만적인 현실 묘사에 불과한 것이다"라고 주장함으로써 키치에 대한 극도의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한마디로 키치는 가짜 예술이다. 그것은 예술의 형식을 빌어 사람들에게 익숙한 가치관 상투적인 감상을 전달함으로써 편안과 위안을 주고 사회의 주류적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는 안도감을 갖게 해준다. 그리고 현대는 바로 이런 키치의 시대이기도 하다. 많은 중산층 집안의 거실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상품이나 의복들 심지어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마저 이런 키치가 지배하고 있다. 

  시에서도 키치는 존재한다. 진부한 미의식, 상투적인 현실인식, 진정성이 상실된 근거 없는 감정 과잉, 사회·역사적 고민이 탈각된 자동화된 가치관 등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키치적인 시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한 시들은 때로 대중성이라는 이름으로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하지만 그럴수록 양화를 구축하는 악화가 될 뿐이다. 

  흔히 키치 시는 쉬운 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쉽다고 키치인 것은 아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시를 보자. 




서울역 앞 흡연구역 사람들 틈에 끼어 

담배를 빤다 이 순간만큼은 모두가 하나다 

철쭉꽃 한창이다 

한쪽에선 악기 연주가 한창이다 

멀리 남미 에콰도르에서 왔다는 인디오 

담배 잎에 물고 모두가 박수다 




기다리는 순간은 잠깐이다 

하나되는 순간도 잠깐이다 

시간을 본다 

바삐 입구로 들어서는 사람들 

바삐 출구로 빠져 나가는 사람들 

담배 한 대의 시간만큼 

연주 한 곡의 시간만큼 

멈추어 있다 떠난다 

살이 있는 것들은 그렇게 오래 떠난다 

          - 이명수, 「몽유도」(정신과표현 9,10월호)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쉬운 언어로 기차를 타러 서울역에 나가본 사람은 모두 한번쯤 봤을 익숙한 광경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결코 상투적이지 않다. 그런 익숙한 장면을 통해 다른 사람이 미처 보지 못한 삶의 모습을 포착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오래 떠난다”는 아이러니한 구절에서 선명히 잘 드러나 있다. 떠남을 항상 순간이고 떠남은 오래 머물지 못함을 말하기에 이 구절은 형용 모순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담배 한 대 같이 피고 노래 한 곡 같이 듣는 시간의 소중한 의미를 생각해 보았을 때 그리고 그러한 만남이 항상 떠도는 것들 사이에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그것은 단지 순간의 일이 아니라 길고도 또 의미심장한 시간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오랜 떠남”을 통해 다른 존재들을 만나게 되고 그들과 소통을 하게 된다. 우리가 지구 반대편에서 온 에콰도르의 떠돌이 예술가를 만나는 것도 바로 그런 계기들을 통해서일 것이다. 존재는 존재 자체로 오래 지속되고 기억되는 것이 아니라 만남과 관계를 통해 지속되는 것임을 이 시는 아주 쉬운 시어들로 우리에게 설득력 있게 얘기해 주고 있다. 익숙한 광경을 쉬운 언어로 그러나 결코 상투적이지 않게 새롭게 보여주는 시인의 경지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키치는 태도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대상을 대할 때 사물과 투명하고 순수한 관계 맺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중층적인 가치를 동시에 부여하고 있다면 그것 역시 키치가 된다. 예를 들어 진품을 모방하여 진품을 소비하는 계층의 사회적 위상을 대리체험하려고 한다든가, 예술적 묘사에 사회적 가치나 종교적 교의 또는 교육적 함의를 포함시키려고 하는 것도 모두 키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보면 우리의 시교육 자체가 키치를 조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옷을 다 벗었는데 

박박 문지르니 

먼지의 옷이 벗겨진다 

살비듬 옷이 벗겨진다 

상처로 꿰매놓은 

헐렁한 옷만 남는다 

이 옷을 벗기는 데 

또 얼마나 걸릴까 

수련처럼 평생 물을 맞대고 살면 

스르르 풀릴 실밥인데 

고개를 돌려보니 

물기 젖은 창 너머로 

또 낙엽이 진다 

   - 길상호, 「목욕」 (우리시 11월호) 




  시를 쓰는 것은 언어에 부과된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이 시를 쓴 시인도 그러한 껍질을 벗고자 한다. 옷이나 먼지 살비듬은 모두 상투화된 일상이 부과한 존재의 형태일 뿐이다. 그것은 존재 자체의 속성을 보지 못하게 하고 우리를 끊임없이 다른 것으로 보이게 만든다. 그것을 벗어나려는 끊임없는 고투를 시인은 생각하고 있다. 시인에게 그것은 시를 쓰는 행위일 것이다. 이렇게 봤을 때 이 시는 시인이 결코 의도한 바는 아니겠지만 시를 통해 언어의 생생함을 회복하려는 시작의 오랜 각고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 “또 낙엽이 진다”라는 표현이 조금은 익숙하긴 하지만 그것은 이런 과정의 시간적 영속성에 대한 비유일 것이다. 

  대부분의 키치는 나태한 정신과 연결된다. 세상의 진실이나 감춰진 이면을 보려고 애써 노력하기보다는 주어진 시각이나 만들어진 개념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심리적 편안을 느끼고자 하는 데서 키치가 만들어 진다. 그런 점에서 다음 시는 키치와는 아주 거리가 멀다. 




바람은 등 구부러 바람을 낳는다. 

무너지고 무너져도 무너지지 않는 앞이 나타나 

모래구릉이 구릉을 벗지 못하는 것처럼 

낙타 새끼는 제 어미를 빼닮았다. 

태어나자마자 헌 구두처럼 너덜거리는 아가리다. 

먼 물 냄새 들리는 듯, 

그걸 또 우물거리며 내다보는 것이다, 저 긴 모가지를 사족 없이 걷고 걸어 

단봉 꼭대기 오래 걸려 넘기까지, 

터벅거리는 발자국 꾹 다문 엉덩이에서부터 

뒷다리 쪽으로 뭉개는 신음 또한 벌써 붉어 구부정하다. 

배밀이, 배밀이하는 배 같다. 

박토의 폭염을 빨며 사막을 건너가는 구근, 

낙타 새끼는 도무지 귀엽지 않다. 

   - 문인수, 「고구마」(현대시 10월호) 




  시인은 낙타 새끼를 도무지 귀엽다고 보지 못한다. 새끼나 애들은 귀엽기 마련이다. 이제 막 태어난 생명에게서는 생명의 활력이 넘치고 인간이 그렇게 연장시키고자 하는 시간적 미래가 충분히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새끼나 아이들에게서 희망과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애들을 보고 동물의 새끼를 보고 귀엽다고 생각하는 것도 다 이런 심리적 과정 때문이리라. 하지만 감춰진 이면을 바라보는 시인의 눈에는 결코 낙타 새끼가 귀엽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은 모든 삶의 고통을 애초에 타고 태어난 존재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이발소 그림처럼 귀여운 돼지 새끼들을 그려놓고 행운을 떠올린다거나 엄마 품에 안긴 아기의 평온한 미소를 사진으로 찍어 순수라는 관념을 부여한다면 그것은 거의 대부분 키치일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이 시의 시인은 그런 관용적인 관념과는 거리가 먼 낙타 새끼를 그리고 있다. 그리고 그 낙타 새끼는 고구마이기도 하다. 메마른 땅을 파나가며 등이 휘게 살아나가야 작은 구근이라도 맺을 수 있는 고구마나 거친 사막을 살아남아야 작은 단봉이라도 만들어 낼 수 있는 낙타가 닮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의 존재의 이면을 들춰보면 금방 깨닫게 되는 삶의 진실이다. 시인은 괴롭지만 이 진실을 바로 보고자 한다. 

  흔히 키치는 사랑이나 평화 같은 보편적 가치관을 명백하게 드러낸다. 그것을 통해서 스스로의 의미나 존재가치를 강화시킬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키치적인 작품이 진지한 예술, 가치 있는 예술로 잘못 평가되는 경우도 주로 이런 경우이다. 하지만 키치적인 작품에서 그런 보편적인 가치는 현실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 현실의 매개 없는 사회적 가치의 설파, 사회적 고민이나 갈등을 무화시키는 종교적 이념의 주입이 키치적인 작품의 주요 특징이다. 하지만 다음 작품은 보편적 가치를 말하지만 결코 관념적이거나 상투적이지 않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653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312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287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685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725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691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479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527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492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529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647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352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599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597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501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563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602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429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426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545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447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500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543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581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625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457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251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746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771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525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589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681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461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867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788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879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3070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446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244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3129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