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년 07월 27일 00시 03분  조회:2274  추천:0  작성자: 죽림
 

 

할미꽃 - 이해인

손자 손녀
너무 많이 사랑하다
허리가 많이 굽은 우리 할머니

할머니 무덤 가에
봄마다 한 송이
할미꽃 피어
온 종일 연도를
바치고 있네

하늘 한 번 보지 않고
자주빛 옷고름으로
눈물 닦으며

지울 수 없는 슬픔을
땅 깊이 묻으며

생전의 우리 할머니 처럼
오래 오래
혼자서 기도 하고 싶어
혼자서 피었다
혼자서 사라지네

너무 많이 사랑해서
너무 많이 외로운
한숨 같은 할미꽃



할미꽃 이야기 / 최소라

뒷동산
양지 바른 무덤가에
외롭게 피어난 할미꽃

두명의 손녀딸
곱게 곱게 키워
시집 보내고

지팡이 짚고 찾아가니
부자집 시집간 손녀딸
문전박대 푸대접하고

서러운 할머니
가난한 손녀딸 찾아 가다가
산허리 넘지 못하고
돌아가셨네

이듬해 봄날
할머니 무덤가에
꼬부랑 할미꽃 피어났다네

슬픈 전설
할미꽃 이야기에
눈물 짖던 철부지가
이제 할머니 되었네

노오란 양지꽃 사이
흰머리 풀어 헤치고
굽은 허리 펴고 섰는
저 할미꽃

흰머리 되도록
꽃으로 살다가
내 살붙이 바람에 날려 보내곤
힘에 겨워 한숨 짖는
저 할미꽃 

할미꽃 쓸쓸한 그 마음이
어미 마음 같았어라
어미 마음 같았어라



할미꽃 / 천영극

도둑놈도 보고도
손가락질 아니하고

화냥년 보고도
웃지 아니하며

허리굽힌 한평생
곱게 늙어가서라

새 봄 고개넘어
양지바른 무덤가

품었던 단심(丹心)
백발되어 날리며

고개숙인 할미꽃
자자손손 찾아가리



할미꽃 / 라정희

꽁꽁 얼어서도
깊이 간직한 말 못할 사연

언 몸 녹으면 
님 그리워 목 길게 뽑았건만
수줍어 부끄럼에
고개숙여....
산들 바람결에 
못이기는 척 님을 훔쳐 보내

어느새
백발 되어
기다림에 지친 님 놓칠세라
고개 들고 님 찾은 들
아~!
애타는 추억이리




할미꽃 / 조양래

할머니 저 왔어요 금잔디에 봄볕이 따스해요
가는 솜털에 보랏빛 두툼한 할미꽃이
무덤에 할미꽃이 할머니 넋으로만 봐져요

어린날 
고향땅 하고한날 늦잠 잔 날 깨길 기다리다 뒷방까지
베개 맡에 밥상 차려 갖다 주시던 날들
나고 들 때 없는 당신이
무작정상경 서울길 가만히 내게 주시던 푸른 지폐 
고칠수 없음 눈에 훤한 당신의 실명한 외눈
진료라도 받아보자 말이라도 꺼내보지 않은 이 때늦은 후회
지금 내 이 눈물도 내 위안에 못 이겨 흘리는 것인지
그래 당신의 일방적인 온정 받기만을 전제로 하는 게 아닌가
그래서 지하에서 지금도 못난 날 슬퍼만 하여
커다란 할미꽃 당신께서 내게 
보랏빛에 깨우쳐라 피어나신 건 아닌지요




할미꽃 / 김승기

이름부터 바꿀까
정결한 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부드러운 살결 붉은 입술
아름다운 몸짓으로
예쁘게 예쁘게 꽃 피우면서
구충제까지 대신한 세월을 밀쳐 두고
할미꽃이어야 하는가
털어야지
딸네집 찾아가다 눈 속에서 얼어 죽은 할머니의 전설은
하늘에 넋이 오른 지 오랜 지난 일이야
새롭게 살아야지
슬픈 역사는 바람에 날려 보내고
새 바람 부는 새로운 날
젊게 꽃을 피워야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10 첫사랑아, 첫사랑아, 나에게 돌려다오... 2017-07-24 0 2487
609 시의 첫머리는 독자와 만나는 첫번째 고비이다... 2017-07-24 0 2126
608 장마야, 우리들은 널 싫어해... 2017-07-24 0 2285
607 "시인이 되면 돈푼깨나 들어오우"... 2017-07-24 0 2161
606 백합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354
605 "해안선을 잡아넣고" 매운탕 끓려라... 2017-07-24 0 2214
604 "언제나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것은"... 2017-07-24 0 2002
603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창조성의 요인은 바로 상상력이다... 2017-07-24 0 2572
602 동물들아, "시의 정원"에서 너희들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7-24 0 2973
601 시인은 불확실한 세계의 창을 치렬한 사유로 닦아야... 2017-07-24 0 2188
600 초여름아, 너도 더우면 그늘 찾아라... 2017-07-24 0 2328
599 "내가 죽으면 한개 바위가 되리라"... 2017-07-24 0 2916
598 련꽃아, 물과 물고기와 진흙과 함께 놀아보쟈... 2017-07-24 0 2592
597 현대시야, 정말로 정말로 같이 놀아나보쟈... 2017-07-24 0 2352
596 선물아, 네나 "선물꾸러미"를 받아라... 2017-07-24 0 2647
595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2017-07-24 0 2333
594 채송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3865
593 시의 초보자들은 문학적인것과 비문학적것을 혼동하지 말기... 2017-07-24 0 2361
592 찔레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623
591 상상력의 무늬들은 새로운 세계와 세상의 풍경을 만든다... 2017-07-24 0 2251
590 커피야, 너를 마시면 이 시지기-죽림은 밤잠 못잔단다... 2017-07-24 0 2786
589 시는 언어로 그린 그림이다... 2017-07-24 0 2537
588 담쟁이야, 네 맘대로 담장을 넘어라... 2017-07-24 0 2533
587 시인은 사막에서 려행하는 한마리 락타를 닮은 탐험가이다... 2017-07-24 0 2320
586 꽃들에게 꽃대궐 차려주쟈... 2017-07-24 0 2545
585 무의식적 이미지는 눈부신 은유의 창고이다... 2017-07-24 0 2664
584 유채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262
583 음유시는 문자와 멜로디와의 두개 세계를 아우르는 시이다... 2017-07-24 0 2373
582 풀꽃들아, 너희들도 너희들 세상을 찾아라... 2017-07-24 0 2312
581 시인은 은유적, 환유적 수사법으로 시적 세계를 보아야... 2017-07-24 0 2582
580 풀들아, 너희들 세상이야... 2017-07-24 0 2676
579 시인은 날(生)이미지를 자유롭게 다룰 줄 알아야... 2017-07-24 0 2258
578 봄아, 봄아, "봄꽃바구니" 한트럭 보내 줄게... 2017-07-24 0 2657
577 시인은 그림자의 소리를 들을줄 알아야... 2017-07-24 0 2374
576 금낭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135
575 시인은 절대 관념이나 정서의 노예가 아니다... 2017-07-24 0 2469
574 춘향아, 도련님 오셨다... 2017-07-24 0 2699
573 좋은 시는 그 구조가 역시 탄탄하다... 2017-07-24 0 2209
572 아카시아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612
571 시를 쓰는것은 하나의 고행적인 수행이다... 2017-07-24 0 2376
‹처음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