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음유시는 문자와 멜로디와의 두개 세계를 아우르는 시이다...
2017년 07월 24일 03시 57분  조회:2314  추천:0  작성자: 죽림

『현대시학』의 기획사업인 <인접 예술과의 만남> 그 두 번째 자리가 <스페인, 중남미 음유시에의 초대-스무 개의 사랑의 시와 하나의 절망의 노래>란 이름으로 마련되고 있다.

 물론 그 자리에선 네루다의 시도 불려지고 낭송되겠지만 음유시가 케케묵은 미분화시대의 무슨 원시적 유물이 아니라 엄연한 현대적 장르 가운데 하나라는 점을 거기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네루다가 누군가. 우리에게도 친숙한 1971년 노벨 문학상 수상의 현대시인이 아닌가.
음유시가 왜 이처럼 현대적 장르로서의 가능성을 지닐 수 있는가. 오늘의 문자문학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또다른 향유에의 갈망이 오늘의 삶 속에서 이미 싹트고 있으며, 오늘의 시가 본질적으로 탈환해야 할 요소가 거기 있을 수 있겠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기타가 시에게 말한다
내가 널 종이에서 꺼내 줄게
현의 부드러운 바람이
쇠사슬을 부수면
넌 더 이상
포로가 되지 않을 거야
두 손이 묶여서
흰 초원 위에 버려져
말을 잃어버린...
시야 깨어나라
아침을 열어라
소리의 동지인 내가
널 이렇게 일츠키고 있잖니
-⌈기타가 시에게⌋ 전문

위 시는 니카라구아 음유시인 살바도르 카드데날의 시다(김홍근 옮김). 위의 시가 말하고 있듯 오늘의 시는 적잖이 도구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시로서의 자율성을 잃고 있다는 뜻으로 형태적 산문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산문적 삶의 와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시들이 너무 많다는 뜻이다.
이 말은 문자가 없던 시대, 이른바 구비문학의 시대로 퇴행하자는 주장을 전제로 한 이야기가 아니다.

물론 그 시대는 노래와 시가 분리되지 않았던 그야말로 <몸시>의 시대일 수 있었고, 누구나 함께 시를 향유할 수 있는 가장 행복했던 문학의 공존기였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아무래도 원시적 미분화의 상태일 따름이다.

아기의 눈동자가 순수 그 자체이며 아기의 말이 엉뚱하다고 해서 그 자체가 시는 아니듯이 말이다.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여지를 제해 놓고 보면 위의 말이 던지는 질문은 이것이다. 문자문학, 문자시로서 오늘의 시는 바로 그의 몸이라고 할 수 있는 언어의 원형질 가운데 어느 한쪽에만 지나치게 기대 온 반편(모자람, 바보의 뜻도 포함해서)의 양식이었다는 혐의가 짙다고 보지는 않는가. 너무 읽기만을 강요하지 않았던가.

<눈>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귀>를 위한 또 하나의 기능을 망각해 왔던 것이 아닌가. 그렇다, 소리! 소리가 없었다.

특히 오늘의 우리 한국 현대시는 그간 이른바 말 만들기, 수사법, 이미지 만들기에만 줄곧 매달려 왔다.

그것만이 현대성이라는 생각으로 알맹이 없는 방법적 추구에만 함몰해 있었다. 가시적인 구조물이 모두라고 생각해 온 혐의가 짙다.

<소리>가 없다는 것은 <울림>이 없다는 뜻이다. <에코>가 없다는 뜻이다. 그것은 곧 서정성의 상실을 뜻한다.

문자만으로 다가간다는 것은 논리와 계산을 동반한다는 뜻이며, 소리로 다가간다는 것은 리듬과 멜로디로 다가간다는 뜻이다.

그만큼 생체적이어서 에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에코는 본래 소리의 본질이다. 이 두 개의 세계를 아우르는 자리에 시가 있다. 그게 시의 자율성이다.
음유시는 음유시 대로의 독립된 장르가 되어야 하겠지만 거기엔 바로 소리! 소리가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30 윤동주묘 발견 당시 "묘비는 제대로 서있었다"... 2017-09-15 0 2266
729 시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이다... 2017-09-15 0 2159
728 미국 시적 스타일 실험영화 감독, 시인 - 제임스 브로톤 2017-09-15 0 3341
727 미국 실험영화 감독, 시인 - 크리스토퍼 맥클레인 2017-09-15 0 2932
726 미국 비트시인 - 코소 2017-09-15 0 3237
725 미국 시인 비트운동의 지도자 - 케루악 2017-09-15 0 3113
724 [시문학소사전] - "비트"문학이란?... 2017-09-15 0 3529
723 만약 당신과 함께 지구별 한 골목에서 세탁소를 연다면... 2017-09-14 0 3341
722 "새는 자기의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 2017-09-14 0 2326
721 시인은 시에서 때론 목소리를 낮출줄도 알아야 한다... 2017-09-14 0 1997
720 이상시인 문학의 매력은 "모호함"... 2017-09-14 0 2215
719 "윤동주 전문가" - 마광수님 2017-09-14 0 2161
718 마광수님은 "값비싼 대가"로 통시적 진실를 치렀다... 2017-09-14 0 2104
717 시쓰기는 남자가 녀자를, 녀자가 남자를 꼬시는것과 같다... 2017-09-13 0 2376
716 시를 쓰는것은 집을 짓는것과 같다... 2017-09-13 0 2071
715 "윤동주는 기적, 우리 문학 축복"="윤동주처럼 멋진 시인이 꿈" 2017-09-12 0 2259
714 윤동주 "별 헤는 밤"에서의 "패, 경, 옥"은 "페이, 징, 위"로... 2017-09-12 0 2488
713 "600년보다 더 길고 긴 60년"... 2017-09-11 0 1961
712 "평생을 같은 수컷의 씨를 품는 암늑대란 없다"... 2017-09-09 0 2107
711 마광수님과 "대추 한알" 2017-09-09 0 2723
710 마광수님의 자유로운 령혼과 죽음앞에서... 2017-09-09 0 2302
709 "시대의 狂人" - 마광수님은 시인이였다... 2017-09-09 0 2305
70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글은 쉽게 써내는것 명문장이야... 2017-09-09 0 2256
707 {쟁명} - 동시도 "하이퍼동시"로 쓸수 없다?... 있다!... 2017-09-08 0 1967
706 "세상에서 가장 긴 강은 '엄마의 젖강'인것을"... 2017-09-08 0 2006
705 "시인"을 마음대로 사고 파는것은 절대 용납할수 없다... 2017-09-08 0 2060
704 진정한 프로시인은 내용과 형식을 절제, 일치하게 쓰는 시인... 2017-09-07 0 2307
703 시는 운률도 적절히 살리고 여백의 미도 적당히 활용할줄도... 2017-09-07 0 2345
702 "문단의 이단아" 마광수님은 항상 "자유인"이 되고싶어 했다... 2017-09-07 0 2255
701 "별것도 아닌 인생"길에서 미술도 열심히 좋아했던 마광수님 2017-09-07 0 2302
700 마광수, 그는 도대체 누구인가?!... 2017-09-07 0 3848
699 마광수-국문학 력사상 처음으로 윤동주시인의 모든 시를 분석 2017-09-07 0 3910
698 구수한 "배추국"과 마광수님의 "배출구"는 어디?!... 2017-09-07 0 2309
697 "솔직한 시인" 윤동주와 "부끄러움" 찾아낸 마광수 2017-09-07 0 2431
696 시교육은 권위주의적인 주입식 일방적 통로와 결별해야... 2017-09-04 0 2435
695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7-09-03 0 3916
694 시인들이여, "낯설게 하기"는 어디에서 어떻게 왔을가... 2017-09-03 0 3905
693 "가져오기주의"와 "받아먹기주의"와 그리고 "민족적인것주의" 2017-09-02 0 2099
692 동시의 예술은 오로지 이미지변형, 그 표준;- 하하하 없단다... 2017-09-02 0 2209
691 시에서 낯설음의 이미지용법은 곧 시적 해방이며 자유이다... 2017-09-02 0 2359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