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그것이 알고싶다] - 서예작품에서 낙관을 어떻게 찍어야?...
2017년 06월 25일 00시 06분  조회:2001  추천:0  작성자: 죽림

오픈지식

낙관의 도장은 어떻게 찍어야 하는가?


낙관의 도장은 어떻게 찍어야 하는가? 
서예작품에서 도장을 찍는 것은 독특한 예술로서 지금까지도 이 방법을 고수하여 전해 내려오고 있다.
글자와 도장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정취를 발하는데 이는 구성상에 있어서 강렬한 효과를 낼 뿐 아니라 작품상에 있어서도 풍부한 예술미를 풍겨주고 있다.
서예작품에서 도장은 일반 손도장과는 다른 것으로 스스로 일정한 법도를 지니고 있다.
만약 일반 손도장을 작품에 찍어도 틀렸다고는 할 수 없으나. 금상첨화의 작용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예술미도 손상시키게 된다. 
서예작품에서 사용되는 도장은 먼저 작품의 크기와 글자의 대소, 낙관 후의 공백 등을 고려하여 배치하고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규 율로 볼 때 도장은 서명을 할 아랫부분이나 왼쪽에 찍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장을 행간에 다 찍어서도 안되며, 본문의 끝부분 보다 쳐져서도 안되며, 본문의 긑부분과 나란히 되어서 도 안된다. 
도장의 크기는 낙관의 글씨와 비슷한 것이 좋은데 이보다 조금 작은 것은 무방 하나, 낙관의 글씨보다 도장이 커서는 안된다. 
도장을 가장 적게 찍을 때는 하나를 찍으며 보통은 두 개를 찍는다. 
만약 두 개를 찍을 때 같은 형태는 피하여 하나는 주문(朱文), 또 다른 하나는 백문(白文)으로 하는 것이 좋다.
서예작품의 도장은 위에서 말한 것이 일반적인 법칙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품에는 허한 곳과 실한 곳, 성긴 곳과 빽빽한 곳이 있기 마련이다. 
너무 빽빽한 곳은 긴장감을 덜어주기 위하여 도장을 찍어 이것을 보충하고, 반대로 너무 성긴 곳도 도장을 빌려 충실함을 채워주 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작품이 시작되는 곳에 도장을 찍는 것을 일반적으로 두인(頭印) 또는 한장(閑章)이라고 한다.
한장은 백문·주문 이외에 반달모양, 장방형, 원형, 반원형, 타원 형, 호로병형, 자연형, 꽃모늬형 등 매우 다채롭다. 
내용도 일정하지 않아서 서재명이나 연 호 또는 성어나 경구 등을 새겨 넣기도 한다. 
사용할 때에는 공간의 넓이와 내용 등을 고려 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도장은 합당한 장소에 제대로 찍어야 생명감이 발휘된다.
필묵의 작용에서 붓은 일으켰는데 먹은 따라오지 않은 것에다 한 장을 찍게 되면 한가롭지 않게 되니, 이것을 이른바 판에 박은 듯한 것을 파괴하여 안온하고 평형을 이루는 효과를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서예에서 도장은 결코 함부로 찍어서는 안된다. 
먼저 도장과 글씨체가 조화를 이루었는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대개 제백석(齊白石) 풍의 도장은 단도직입적인 급취장(急就章)에 어울 리고 정성을 들여 깨알 같이 쓴 소해(小楷)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또한 자유분방하게 쓴 작품에 가는 철사줄 같이 새긴 도장을 찍는다면 조화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작품의 풍격에 따라서 도장도 거기에 어울리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한다. 
다음으로는 작품의 먹색을 고려하여야 한다.
도장은 작품의 먹색에 따라 백문으로 할 것 인지 아니면 주문으로 해야 할 것인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만약 먹색이 농도가 짙은 작품일 경우에는 백문을 선택하여 찍으면 붉은 빛의 인주 색깔과 검은빛의 먹색이 강렬한 대비로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작품의 효과도 그만큼 지대하게 나타날 것이다. 
만약 먹색이 여리고 우아한 작품이라면 주문을 선택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 좋다. 
어떤 사람들은 작품의 성질과 조화를 고려하지 않고 마구 도장만 많이 찍으면 좋은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데 이것 은 대단히 경계하여야 할 일이다. 
작품에 있어서 도장은 마치 여자가 화장을 다한 뒤에 바 르는 입술 연지와 같아서 산뜻하면서도 격조가 있어야 한다.
이것을 함부로 하게 되면 오히려 격이 떨어져서 천한 맛을 면치 못하게 되니 신
중하게 생각하여야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93 [쉼터] - "아프리카 모나리자" 2018-03-25 0 2289
492 머리카락으로 3D 그림을 그리는 중국 청년 2018-03-07 0 3094
491 머리카락으로 그림을 그리는 화백 2018-03-07 0 3961
490 오스트리아 황금빛 화가 - 구스타프 클림트 2018-03-07 0 3984
489 벨기에 철학자 초현실주의 화가 - 르네 마그리트 2018-03-07 0 9946
488 루마니아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카라스 이오누트 2018-03-07 0 3769
487 미국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메기 테일러 2018-03-07 0 2847
486 [그것이 알고싶다] - 淸明上河圖 감상하기 2 ... 2018-03-06 0 3051
485 [쉼터] - 중국 회화 력사상 가장 유명한 작품 중 1급 국보 2018-03-05 0 3080
484 [그것이 알고싶다] - 淸明上河圖 감상하기... 2018-03-05 0 2983
4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재두루미야, 맘껏 날아라... 2018-03-05 0 2032
482 [쉼터] - 우주를 나는 사람들... 2018-03-04 0 2075
481 [그것이 알고싶다] - 그림은 복합적인 이미지로 그려야... 2018-02-25 0 2234
480 이색적인 그림화가와 이색적인 가수화가 2018-02-25 0 2337
479 스페인 화가 - 에드가 드가 2018-02-25 0 9273
478 [쉼터] - 봄물은 흐르고... 2018-02-22 0 2010
477 [쉼터] - 까치야, 나와 놀쟈... 2018-02-22 0 1980
476 [그것이 알고싶다] - 동양화 화법 "홍운탁월"법?... 2018-02-21 0 1999
475 [쉼터] - 사진으로 보는 자연세계... 2018-02-20 0 1906
4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봄이 오기는 오는 모양이라카이... 2018-02-08 0 2176
473 [동네방네] - 앉아서 세계려행 하다... 2018-02-07 0 1335
472 {이런저런} - 사진은 강력한 무기 2018-02-03 0 1605
471 [쉼터] - 사진아, 나도 어디 한번 찍어나보쟈... 2018-02-02 0 2004
470 중국 조선족 민속화가 - 림룡순 2018-01-28 0 2310
469 [이런저런] - 세계 기네스기록 = "눈밭 그림" 2018-01-27 0 2068
468 [이런저런] - 얼마나 추울가?... 꽁꽁 언 상어에게 물어보라... 2018-01-24 0 2203
467 [이런저런] - 100년전 반고흐 그림 해빛 보다... 2018-01-20 0 1443
466 [쉼터] = 50여년 사진기와 씨름한 사진작가 - 신승우 2018-01-09 0 1419
465 [이런저런] - 수자를 아는 머리카락... 2018-01-09 0 1274
464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국보급 10대 고전 名畵... 2017-12-26 0 4543
463 [쉼터] - "1억 달러 화랑 클럽"에 합류한 중국 예술가 - 齊白石 2017-12-21 0 2086
462 [이런저런] - "요지경세상", "세상요지경"... 2017-12-19 0 2068
461 [쉼터] - 54명의 집단 초상화 2017-12-17 0 1946
460 화가 반고흐도 그림 표절 혐의가 있다고?... 2017-12-17 0 2153
459 [동네방네] - " 'no'라고 말하는 녀인" 2017-12-13 0 1775
458 이미 타계한 화가들은 말이 없다... 2017-12-09 0 1484
457 [쉼터] - 동화세계 = 목단강 놀러 오이소... 2017-12-08 0 1389
456 [화단소사전] - "추상화"란?... 2017-11-20 0 2349
455 4대 불운이 겹친 화가,- "안녕, 내가 사랑했던 모든것들이여"... 2017-11-20 0 4468
454 남의것을 빌어 어떻게 나의것으로 만들고 남과 달라야 산다... 2017-11-20 0 3831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