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모택동 시가 심원춘. 눈
2017년 05월 07일 02시 50분  조회:4150  추천:0  작성자: 죽림

모택동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모택동(1893.12.26-1976.9.9)

중국 역사상 최고의 정치가, 사상가, 군사가, 철학가, 역사학가, 시인, 령
수, 혁명가이다.
진시황으로부터 강희(康熙)에 이르기 까지 역대 국가 지도자 중 모택동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인물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어떤 이들은 모택동의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그의 시라고 말한다.
그는 천부적인 시인이었으며, 시인 정치가이자 시인 철학가라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沁园春 ▪  雪                   심원춘▪ 눈

 

毛泽东                              모택동

 

一九三六年二月                 1936년 2월

 

北 国风光,                       북국의 풍광

千里冰封,                       천리에 얼음 덮이고

万里雪飘 。                       만리에 눈 날리네.

望长城内外,                    바라 보니 장성 안팍은

惟余莽莽;                       어디라 없이 백설 천지 

大河上下,                       대하의 상하류도   

吨失滔滔。                       갑자기 도도한 기게 잃었네.

山舞银蛇,                       산은 춤추는 은배암이런가

原驰蜡象,                       고원은 줄달음치는 흰 코끼리런가

欲与天公试比高。              하늘과 높이를 비기려네.

 

须晴日,                           날이 개어

看红装素裹,                     바라보면 붉은 단장 소복차림

分外妖娆。                        유난히 아릿다우리.

 

江山如此多娇,                  강산이 이렇듯 아름다워

引无数英雄竞折腰。            수많은 영웅들 다투어 허리 굽혔더라.

惜秦皇汉武,                      가석하게도 진 시황, 한 무제는

略输文采;                         문재 좀 모자랐고

唐宗宋祖,                         당 태종, 송 태조는

稍逊风骚。                        시재 좀 무디였네.

            

一代天骄,                        일대의 영웅

成吉思汗,                        칭키스칸도

只识弯弓射大雕。              활 당겨 독수리 쏠 줄 밖에 몰랐거니,

俱往矣,                           모두 지난 일이어라

数风流人物,                    풍류 인물 세려면리,

还看今朝。                       오늘을 보아야 하리.

 

 

 

모택동의 시 <심원춘▪눈>에서 모택동은 역사상 영웅 인물 다섯명을 손꼽았다.
육국(六國)을 멸하여 
천하를 통일하고 만리장성을 쌓았던 진시황,
재위 오십사년 대학을 일으키고 유교를 숭상하였으며

 와이(外夷·)를 쳐서 국가의 기틀을 튼튼히 한 한무제, 이십삼년 동안 재위하면서
고조(高祖)를 도와 
사방을 정복하고 천하를 통일하여 명주라 일컬어진
당태종, 춘추십이열국의 하나인 송나라를 세웠던

미자(微子), 원나라 태조이며 유럽에 원정하여 동서양에 걸치는 대제국을 건설하였던
칭키스칸 등이 
그들이다. 그러면서 그들은 공적인 혁혁했건만 아쉽게도
문채(文采)가 모자랐다고 평했다.

数风流物人物,还看今朝 (영웅 인물을 찾으려면 오늘을 둘러보아야 하리)라고
읊은 모택동의 기개는 
1936년 당시 장개석 국민당 군대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을 것이다.
조국과 인민의 미래를 위한 준비된 
지도자로서의 자신감이 돋보이는 시다.

 

 

                                  

 

 

 
 

 

 

 

 





xue.gif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 시인 - 허옥진 2015-03-08 0 6038
162 시인 - 주향숙 2015-03-08 0 4641
161 시인 - 김영춘 2015-03-08 0 4823
160 시창작의 1, 2 , 3. ㅡ 석화 2015-03-08 0 4644
159 시인 - 송미자 2015-03-08 0 5284
158 시인 - 김경희 2015-03-08 0 5275
157 시인 - 리순옥 2015-03-08 0 5873
156 시인 - 최기자 2015-03-08 0 4758
155 시인 - 석화 2015-03-08 0 5831
154 시인 - 김응룡 2015-03-08 0 5444
153 시인 - 김학송 2015-03-08 0 4704
152 시인 - 김영건 2015-03-08 0 4933
151 동시인 - 림금산 2015-03-08 0 5025
150 시인 - 리임원 2015-03-08 0 4922
149 시인 - 윤청남 2015-03-08 0 4841
148 시인 - 김파 2015-03-08 0 4818
147 시인 - 강효삼 2015-03-08 0 4600
146 명시인 - 괴테 2015-03-07 0 5217
145 보들레르 시 표절작? 2015-03-07 1 5213
144 명시인 - 랭보 2015-03-07 1 5658
143 서구 현대시 시조 - 보들레르 2015-03-07 0 4843
142 노별상 수상 거부자들과 그 리유 2015-03-05 0 4820
141 력대 노벨문학상 수상작 목록 2015-03-05 0 5421
140 러시아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5-03-05 0 4893
139 민족시인 7위 분향단 2015-03-05 0 5211
138 아동문학가 - 고 윤정석 2015-03-05 0 5390
137 시인 - 박장길 2015-03-05 0 4648
136 윤동주 미발표 시 더 있다... 2015-03-05 0 10240
135 시인 - 김동진 2015-03-05 0 5121
134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5-03-05 0 4894
133 윤동주 생가 2015-03-05 0 5329
132 시인 - 김철호 2015-03-05 0 4883
131 동시인 - 한석윤 2015-03-05 0 4989
130 시인 - 고 한춘 2015-03-05 0 5309
129 시인 - 심련수 2015-03-05 0 4859
128 음악가 - 정률성 2015-03-05 1 5134
127 시인 - 고 리삼월 2015-03-05 0 4716
126 룡정 윤동주연구회 "룡두레" 문화총서 출간 2015-03-04 1 5130
125 고독과 시인과 시 2015-03-04 0 5374
124 묘비명 - 자유 2015-03-04 0 5173
‹처음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