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 현대시인 - 여광중
2017년 05월 07일 01시 26분  조회:5227  추천:0  작성자: 죽림

余光中先生在中国诗界可算是一位奇人。

他写诗的产量多,写作的时间跨度长,而且现在还处于创作的巅峰状态,这种不曾退潮的“青春期”是让人艳羡的。余光中不仅写诗,而且评诗;不仅评诗,还选诗和译诗。诗人、选家、诗评家、翻译家,他全兼了。他是真正的多面手。这样的全才,在当今中国,不谓仅见,也算少有。


余光中(1928-),祖籍福建永春,生于江苏南京,1947年入金陵大学外语系(后转入厦门大学),1949年随父母迁香港,次年赴台,就读于台湾大学外文系。1952

 

年发表处女诗集 《舟子的悲歌》 ,同年转入本校研究院研究英国文学,获硕士学位。 1953年,与覃子豪、钟鼎文等共创“蓝星”诗社。后1958年赴美进修,获爱荷华大学艺术硕士学位。返台后任师大、政大、台大及香港中文大学教授,现任台湾中山大学文学院院长。

       余光中是个复杂而多变的诗人,他变化的轨迹基本上可以说是台湾整个诗坛三十多年来的一个走向,即先西化后回归。他一生从事诗歌、散文、 评论、 翻译、自称为自己写作的"四度空间"。在台湾早期的诗歌论战和70 年代中期的乡土文学论战中,余光中的诗论和作品都相当强烈地显示了主张西化、无视读者和脱离现实的倾向。如他自己所述,“少年时代,笔尖所染,不是希顿克灵的余波,便是泰晤士的河水。所酿业无非一八四二年的葡萄酒。” 80年代后,他开始认识到自己民族居住的地方对创作的重要性,把诗笔“伸回那块大陆”,写了许多动情的乡愁诗,对乡土文学的态度也由反对变为亲切,显示了由西方回归东方的明显轨迹,因而被台湾诗坛称为“回头浪子”。

     从诗歌艺术上看,余光中是个“艺术上的多妻主义诗人”。他的作品风格极不统一,一般来说,他的诗风是因题材而异的。表达意志和理想的诗,一般都显得壮阔铿锵,而描写乡愁和爱情的作品,一般都显得细腻而柔绵。著有诗集《舟子的悲歌》、《蓝色的羽毛》、《钟乳石》,《万圣节》、《白玉苦瓜》等十余种。

 余光中先生热爱中华传统文化,热爱中国。礼赞“中国,最美最母亲的国度”。他说:“蓝墨水的上游是汨罗江”,“要做屈原李白的传人”,“我的血系中有一条黄河的支流”。他是中国文坛杰出的诗人与散文家,他目前仍在“与永恒拔河”。呼吸在当今,却已经进入了历史,他的名字已经显目地镂刻在中国新文学的史册上。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4842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4094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4871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4249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5094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347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4305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666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738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443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795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545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527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894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4318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682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4672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4621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5167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774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669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5416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4108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690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4450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4762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5413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6145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4102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424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374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3945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540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4149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4235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837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3974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3974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4364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699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