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 현대시인 - 변지림
2017년 05월 07일 01시 10분  조회:4896  추천:0  작성자: 죽림

download?fid=642219ddfdfccb003bb619f2e71 

 

단장(斷章)
                 - 변지림(1910~2000
卞之琳)
 
你站在桥上看风景,
 

그대는 다리에 서서 풍경을 바라보고,

看风景人在楼上看你.

 

 

풍경을 바라보는 사람은 누각에서 그대를 바라본다.
明月装饰了你的窗子,

 

 

밝은 달은 그대의 창을 장식하고,
你装饰了别人的梦

그대는 다른 사람의 꿈을 장식한다.

 

 

(Fragment)

 

 

When you watch the scenery from the bridge,

The sightseer watches you from the balcony.

 

 

The bright moon adorns your window,

 

 

While you adorn anothers dream.           

 

 

 

 

-------------------------------------------
 
중국 대륙의 풍미 깃든 연애시
내 마음 비추는 듯 애틋하여라...

이 시 참 묘하다.
수묵화 한 폭을 연상케 하는 고졸하면서도 촉촉한 서정이 연애시를 넘어 애틋한 인생의 비장함을 풍긴다.
 
변지림(볜즈린)은 ‘현대파’라 불리는 중국의 모더니스트 시인 겸 번역가다.
1990년 홍콩에서 그를 만났을 때 팔순이 넘었어도 단아한 서정 시인으로서 인상이 진했다.
이 시는 수천 년간 면면히 이어져온 중국 산수화가 서른 몇 자에 농축된 느낌이었다. 
 ‘단장’은 변지림이 1930년대 베이징대 영문과에 다니던 시절에 만났던 명문가 재원 장충화(장충허)를 주제로 한 시다. 너무 담담한 마음이었기에 장충화는 말년에 이르기까지 변지림이 자신을 좋아한 줄 몰랐다고 전해진다. 나도 최근에 와서야 알았다.


/김명호 성공회대 교수
 


또 하나의 시에 대한 강평=

풍경 속에 그대와 나.

  길을 걷다가 보면 앞서간 사람이 
나에게 풍경이 되는 줄도 모른 채 걸어가고
역시 뒤 따라오는 사람에게 내가 풍경이 되는 줄을 모르면서
걸어갈 때가 있다.

어쩌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늘 그러하리라.
내가 당신의 꿈을 가끔씩 들여다보고 싶은 것처럼
당신도 나의 꿈을 들여다보고 싶지만,
절대로 가능하지 않다.

가능하다 할지라도 설령 들여다보아서 무엇을 알 수 있고,
변할 것이 무엇인가.
다만 꿈꿀 수 없는 것을 꿈꾸며 사는 것이 인생이고,
그게 행복이라면 행복인 것이 이 세상의 변할 수 없는 이치다. 

중국의 현대시인인 변지림卞之琳은 <단장斷章>이라는 시를 통해
멀리서 바라보는 풍경과 꿈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당신은 다리 위에서 풍경을 보고
풍경을 보는 사람은 누각에서 당신을 본다.
명월은 당신의 창문을 장식하고
당신은 다른 사람의 꿈을 장식한다.“ 

꿈을 꾸며 또 다른 꿈을 꾸는 것과 같이
서로가 서로에게 풍경이 되어 주고 꿈이 되는 경이로움이
여기저기에서 펼쳐지는 것이 이 지상이다.

“너는 나를 풍경으로 삼고, 나도 너를 풍경으로 삼는다.
나와 너의 형상은 서로 상대방의 창구나 꿈속에서 교환된다.“고
변지림 시인이 자평했던 이 시를 두고 평론가 이건오李健吾는
다음과 같이 평했다.

“이 시인은 인생을 장식裝飾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말로 다할 수 없는 슬픔을 암암리에 담고 있다.“

꿈이 그렇지만 풍경이라는 것도 어느 순간에 보느냐에 따르고
누구와 보았느냐에 따라, 어떤 시간의 경과 끝에 보았느냐에 따라 다르다.

나뭇잎이 우수수 지고, 
바람이 이 세상 구석구석을 스산하게 스치고 지나가는 11월의 신 새벽,
조금 일찍 일어나 창문을 열자 내 가슴을 파고드는 싸늘함,

“그는 사라져 가는 풍경을 바라보듯, 
자기가 방금 떠나온 그 사랑을 바라보고 싶었다.”라고
마르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묘사한 것처럼,
가는 한 해를 물끄러미 지켜보고 있는
한 사내, 
그래, 겨울은 겨울이로구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 시인 - 허옥진 2015-03-08 0 6000
162 시인 - 주향숙 2015-03-08 0 4607
161 시인 - 김영춘 2015-03-08 0 4755
160 시창작의 1, 2 , 3. ㅡ 석화 2015-03-08 0 4591
159 시인 - 송미자 2015-03-08 0 5224
158 시인 - 김경희 2015-03-08 0 5209
157 시인 - 리순옥 2015-03-08 0 5826
156 시인 - 최기자 2015-03-08 0 4707
155 시인 - 석화 2015-03-08 0 5773
154 시인 - 김응룡 2015-03-08 0 5388
153 시인 - 김학송 2015-03-08 0 4681
152 시인 - 김영건 2015-03-08 0 4890
151 동시인 - 림금산 2015-03-08 0 4937
150 시인 - 리임원 2015-03-08 0 4903
149 시인 - 윤청남 2015-03-08 0 4776
148 시인 - 김파 2015-03-08 0 4762
147 시인 - 강효삼 2015-03-08 0 4545
146 명시인 - 괴테 2015-03-07 0 5163
145 보들레르 시 표절작? 2015-03-07 1 5164
144 명시인 - 랭보 2015-03-07 1 5612
143 서구 현대시 시조 - 보들레르 2015-03-07 0 4812
142 노별상 수상 거부자들과 그 리유 2015-03-05 0 4749
141 력대 노벨문학상 수상작 목록 2015-03-05 0 5363
140 러시아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5-03-05 0 4841
139 민족시인 7위 분향단 2015-03-05 0 5146
138 아동문학가 - 고 윤정석 2015-03-05 0 5340
137 시인 - 박장길 2015-03-05 0 4566
136 윤동주 미발표 시 더 있다... 2015-03-05 0 10165
135 시인 - 김동진 2015-03-05 0 5070
134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5-03-05 0 4859
133 윤동주 생가 2015-03-05 0 5281
132 시인 - 김철호 2015-03-05 0 4839
131 동시인 - 한석윤 2015-03-05 0 4928
130 시인 - 고 한춘 2015-03-05 0 5233
129 시인 - 심련수 2015-03-05 0 4742
128 음악가 - 정률성 2015-03-05 1 5081
127 시인 - 고 리삼월 2015-03-05 0 4649
126 룡정 윤동주연구회 "룡두레" 문화총서 출간 2015-03-04 1 5088
125 고독과 시인과 시 2015-03-04 0 5280
124 묘비명 - 자유 2015-03-04 0 5115
‹처음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