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한국 국내 최초 주간문예지를 알아보다...
2017년 04월 18일 22시 33분  조회:5045  추천:0  작성자: 죽림

선문대가 일반에 공개한 국내 최초 주간문예지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

 

선문대가 국내 최초 주간문예지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를 2016년 10월 24일 일반에 공개.

선문대 개교 30주년을 맞아 ‘책에게 길을 묻다’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로 지난 1918년 9월 26일 창간한 태서문예신보를 대학 중앙도서관에서 전시.

태서문예신보는 창간 이후 이듬해 2월 17일까지 통권 16호를 끝으로 발행이 중단됐다. 순 한글 타블로이드판 8면으로 제작됐으며 장두철, 김억, 황석우가 편집에 참여해 주로 번역했다. 태서문예신보는 창간호에서 태서(서양)의 유명한 소설, 시, 산문 등을 충실하게 번역해싣겠다고 밝혔다.

 

창간호부터 서구문학 작품과 사조에 관한 글을 주로 게재했다. 코넌 도일의 ‘충복’, 이반 투르게네프의 ‘밀회’ 등 번역소설과 폴 베를렌이나 레미 드 구르몽 등 프랑스 상징파 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소개했다. 또한 백대진의 ‘뉘우침’ 김억의 ‘봄은 간다’ 등 창작시와 ‘최근 태서문단’ ‘시형의 음률과 호흡’과 같은 평론도 실었다. 김억은 이 잡지에 발표한 번역시를 모아 1921년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인 ‘오뇌의 무도’ 를 펴냈다.

태서문예신보가 소개한 번역시들은 한국시가 신체시를 벗어나 근대적 시 형태로 발전하는 데 많은 영향을 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선문대는 태서문예신보 공개와 함께 귀중 도서 50여점을 전시하고 정보검색대회, 책속 보물찾기, 국제 4대 영화제 입상작품 상영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

27일, 소설가 한승원을 초청 강의.

윤주학 중앙도서관 관장은 “도서관이 단순히 책을 읽고 공부하는 이미지를 벗어나 복합문화공간으로 인식되길 바라면서 이번 행사를 개최했다”며, “학생, 교직원 및 지역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이 활성화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준호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 책 초판본 보물 사냥꾼 - (영국) 릭 게코스키 2015-04-05 0 6127
156 안중근을 흠모하다 2015-04-04 0 5838
155 안중근 / 유묵 2015-04-04 0 5773
154 안중근 권총 보관함 2015-04-04 0 7538
153 안중근 / 동서양의 력사를 바꾼 권총 2015-04-04 0 8149
152 안중근 / 권총 / 탄알 2015-04-04 0 6236
151 곽말약, 그 배후... 2015-04-03 0 6583
150 백두산 화산 력사와 개념도 2015-04-03 0 7391
149 갑골문 / 곽말약 2015-04-02 0 5602
148 눈보건 전신 지압법 2015-04-02 0 7795
147 그때에도 역시 그랬지... 2015-04-01 0 5778
146 한반도 종교의 력사 2015-03-30 0 4908
145 연변작가협회 <공로상> 2015-03-30 0 5052
144 전라남도 광주 정률성 고향에서ㅡ 2015-03-30 0 5007
143 그때 그때 저랬던가ㅠ... 2015-03-30 0 5466
142 그때 그때 이랬던가ㅠ... 2015-03-30 0 6076
141 수석(壽石) 용어 2015-03-29 1 7721
140 추상화란?... 2015-03-29 0 7372
139 안중근의사 유언, 어머니의 편지 2015-03-28 0 7006
138 샹송이란? 2015-03-21 0 5730
137 두만강을 따라... 2015-03-17 0 6182
136 자랑스러운 고향사람 2015-03-17 0 5558
135 그 어느 한때는,ㅡㅡㅡ 2015-03-15 0 6102
134 <<그 어느 한때에는 그럴사한 일도 있었따아임껴...>>ㅡ한국 교보문고 서점 시집 홍보 2015-03-15 0 6216
133 껍데기는 가거라... 2015-03-15 0 5397
132 연변 사투리 (ㅇ) 2015-03-15 1 6234
131 유형문화재 보호하기!!! 2015-03-14 0 6219
130 재 복습하는 명언 모음 2015-03-08 0 7141
129 순 우리 말 어원을 찾아... 2015-03-08 0 5642
128 아빠, 엄마 어원 2015-03-08 1 5165
127 가장 아름다운 순 한글 말 2015-03-08 0 5886
126 순 한글 말 - <시나브로>의 뜻은? 2015-03-08 0 6587
125 아버지 어원 2015-03-07 0 5847
124 괴테 명언 모음 2015-03-07 0 6208
123 숫자로 살펴본 노벨상 110년 2015-03-05 0 5269
122 세계 문학 명저 100선 2015-03-04 1 8057
121 동의보감 67가지 2015-03-04 0 6982
120 책읽기 열가지 방법 2015-03-04 0 4869
119 생활지혜 2015-02-24 0 5614
118 보지 말가 볼가... 2015-02-24 0 5646
‹처음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