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새 "조선말규범집"을 만들다...
2017년 03월 11일 19시 45분  조회:3804  추천:0  작성자: 죽림
 
 

 

 
       새 《조선말규범집》 발행, 조선말 “4칙”규범 망라 부분적 내용 수정, 보충
 
 
 
 
                   새 조선말규범 무엇이 달라졌나?
        
              편집/기자: [ 김태국 ] [ 길림신문 2017-02-24 ]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새로 편찬한 《조선말규범집》이 지난해 12월에 출판되여 현재 정식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동북3성조선어문협의지도소조판공실은 기존의 《조선말규범집》(2007년판)을 사용정지한다고 밝혔다.

    중국에서의 조선어 규범화사업은 70년의 력사를 가지고 있지만 정부차원에서의 규범화사업은 1977년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령도소조(이하 령도소조)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였다. 령도소조는 “중국 조선어의 규범화사업은 중국 조선족들의 의사교환에 유리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전체 조선민족의 의사교환에도 유리하여야 하며 민족화, 대중화, 과학화 요구에 맞아야 한다”는 지도사상을 확립하고 조선어문사업일군들을 조직하여 처음으로 중국 조선어의 발음법, 맞춤법, 띄여쓰기, 문장부호법을 제정하고 1985년에 첫 《조선말규범집》을 출판하였다. 그후 1996년과 2007년에 시대에 발전에 적응하기 위해 수정본을 출판하였다.

    이번에 새로 출판된 규범집은 지금의 언어실태에 비추어 조선반도와의 공동성분을 늘이며 언어규범원리 즉 “과학성, 련속성, 점진성, 대중성을 골고루 돌보는 원칙”에 따라 “4칙”을 망라한 부분적 내용들을 수정, 보충하였다. 이 규범집에 수록된 내용들은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심의, 통과한 것이므로 국내 조선어사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규범들이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것중에서 보면 기존의 보조용언과 고유어불완전명사들을 앞의 단어와 붙여썼지만 앞으로는 띄여쓰며 주임, 국장과 같은 관직명도 이름과 띄여쓰는 등 변화가 있다. 례하면 “보고 싶다”, “아는 것이 힘”, “연변대학 김모 교장”과 같은 것이다.
   
    문장부호법도 많이 달라졌다. 도서, 신문, 잡지 등의 이름과 영화, 드라마 등의 제목을 나타 낼 때는 서명표 (《》)를 쓰지만 글제목, 그림, 노래와 같은 예술작품의 제목은 기존의 인용표(“”)를 쓰던데로부터 거듭서명표(〈〉)를 쓴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로 되였던 “ㄴ, ㄹ”의 모음 앞에서의 발음은 기존의 원칙을 견지하여 “녀성, 랑비, 력사”를 “녀성, 랑비, 력사”로 발음한다.  
   
    새 《조선말규범집》이 발행됨에 따라 조선언어를 사용하는 교육, 신문출판, 방송을 비롯한 모든 관련기관들은 반드시 새로운 규범을 따라 처지에 놓이게 되였다. 길림신문은 5월부터 전부 새로운 규범으로 신문을 꾸린다는 방침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 볼가 보지 말가... 2015-02-24 0 6077
116 잊혀진 어원찾기 11 2015-02-24 0 6848
115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02-24 0 6427
114 잊혀진 어원찾기 9 2015-02-24 0 5785
113 잊혀진 어원찾기 8 2015-02-24 0 5498
112 잊혀진 어원찾기 7 2015-02-24 0 5029
111 잊혀진 어원찾기 6 2015-02-24 0 7205
110 잊혀진 어원찾기 5 2015-02-24 0 5336
109 잊어진 어원찾기 4 2015-02-24 0 5483
108 잊혀진 어원찾기 3 2015-02-24 0 4772
107 잊어진 어원찾기 2 2015-02-24 0 6042
106 잊혀진 어원찾기 1 2015-02-24 0 4904
105 호곡령을 넘으며... 2015-02-21 0 5374
104 전통 절하는 방법 2015-02-19 0 5233
103 책 경매 !!! 2015-02-18 0 5564
102 연변 방언 2 2015-02-17 0 5352
101 연변 사투리 모음 2015-02-17 0 9267
100 격언;- 시간에 관하여 2015-02-17 0 4978
99 조선시대 정경 2015-02-17 0 5685
98 묘비명 2015-02-17 0 5096
97 고리끼 명언 2015-02-17 0 6618
96 명언 모음 2015-02-16 0 6862
95 결혼 축시 모음 2015-02-16 0 7475
94 세상에서 제일 2015-02-16 0 7087
93 제일 짧은 시와 제일 긴 시 2015-02-16 0 9011
92 영화의 제일 2015-02-16 0 4739
91 안중근 저술 2015-02-16 0 4709
90 안중근 유묵 18점 2015-02-16 2 5071
89 안중근 어머님 편지 2015-02-16 0 5188
88 안중근 좌우명 2015-02-16 0 5863
87 번자체와 간자체 2015-02-15 0 7377
86 닮은 꼴 비슷한 국기들 2015-02-15 0 6392
85 살림 지혜 모음 2015-02-15 0 6681
84 생활상식 180가지 2015-02-15 0 5499
83 삶과 6가지 진실 2015-02-15 0 5409
82 남자를 파는 가게 2015-02-15 0 6260
81 마음속에 새겨두라... 77가지 2015-02-15 0 6090
80 세계속 지페에 오른 녀성들 2015-02-15 1 5748
79 짧은 자서전 2015-02-15 0 6369
78 황금단어 51개 2015-02-15 0 5687
‹처음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