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페루 시인 - 바예호
2017년 02월 22일 23시 22분  조회:4254  추천:0  작성자: 죽림

바예호

César (Abraham) Vallejo
 
출생일 1892. 3. 16, 페루 산티아고데추코
사망일 1938. 4. 15, 파리
국적 페루

요약 페루의 시인.

 

망명생활을 하면서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통해 사회변혁을 주창한 주요인물이 되었다.

스페인인과 원주민 간의 혼혈 가문에서 11번째 아이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굶주림과 가난, 원주민에게 가해지는 불의를 직접 목격했다. 1913~17년에 트루히요대학교에 다니면서 문학을 공부해 논문 〈카스티야 시에 나타난 낭만주의 El romanticismo en la poesía castellana〉(1954)를 썼고 법학을 공부하기도 했다. 첫 시집 〈검은 사자(使者) Los heraldos negros〉(1918)는 그의 어머니와 형이 죽었을 때의 상실감과 이에 따른 허무감, 인생 본연의 한계, 사회적 압력과 부정 때문에 인간이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하는 무력함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문체상 고답주의와 모더니즘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1920년에는 원주민과 관련된 정치적 문제에 연루되어 거의 3개월 동안 수감되었는데, 이 경험은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상실감을 더욱 고조시켰고 그의 여생을 괴롭힌 우울증의 발단이 되었다.

단편집 〈음계 Escalas melografiadas〉(1922)와 좀더 복잡한 시들을 모은 〈트릴세 Trilce〉(1922)는 수감기간에 착상된 것이다. 대표작인 〈트릴세〉에서 그는 생물학적 삶과 사회조직이 인간에게 부과하는 한계, 인간 본래의 열망 사이에 존재한다고 느끼는 괴리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신조어(新造語)·구어체, 혁신적인 구조, 놀랄 만한 이미지들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전통과의 완전한 결별을 보여주었다.

정신적으로 혼란상태에 있는 한 원주민의 몰락을 그린 짧은 심리소설 〈미개인의 우화 Fabula salvaje〉(1923)를 발표한 뒤 파리로 가 다시는 고국에 돌아가지 않았다. 파리 생활은 힘겨운 것이었고 번역, 언어 교습, 정치적 저술 활동 등으로 겨우 생계를 이어갈 수 있었다. 자신의 원주민 혈통으로 인해 사람들과 쉽게 동화되지 못한 반면, 중요한 전위예술가들과 교제를 나누었다.

페루 공산당을 창설한 친구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가 창간한 〈아마우타 Amauta〉지에 기고함으로써 조국인 페루와 계속 관련을 맺었다. 그는 인간의 상황을 묘사하는 데 있어 시어(詩語)는 어떤 전통적인 장치도 없어야 하며, 동시에 문학은 대중의 이상에 부합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자신이 체험한 사회의 악습과 불의를 고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마르크스주의라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1928, 1929년 2차례의 러시아 방문으로 정치적 사명감에 고취되어 1931년에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0년 정치투쟁가라는 이유로 파리에서 추방된 후 마드리드로 갔다.

그곳에서 프롤레타리아 소설 〈텅스텐 El tungsteno〉(1931)을 썼는데, 이 작품은 페루 텅스텐 광산의 원주민 노동자들에게 가해지는 가혹한 착취와 타락상을 보여주고 있다. 1932년 파리로 돌아간 뒤에 내란(1936~39)이 일어난 스페인에서 2년간 지냈다. 스페인 내란은 후기의 주요시집 〈인간적 시 Poemas humanos〉(1939)에 실린 대부분의 시에 영감을 주었는데, 거기서 그는 집단적인 악·소외·절망 등에 봉착해 위기에 빠진 한 산업사회를 묵시적인 시각으로 그려내고 있다.

1930년대에 쓴 대부분의 시는 그가 죽은 뒤 출판되었다. 소설과 시 작품들은 〈소설 및 단편 전집 Novelas y cuentos completos〉(1970)·〈시 전집 Obra poética completa〉(1974)에 각각 실려 있다. 바예호에 관한 책으로는 앙드레 코이네가 쓴 〈세사르 바예호 César Vallejo〉(1968), 제임스 히긴스가 쓴 〈바예호의 후기 시 작품에 나타난 인생관과 인간관 Visión del hombre y de la vida en las últimas obras poéticas de Vallejo〉(1968), 앙헬 플로레스가 편집한 〈세사르 바예호에의 접근 Aproximaciones a César Vallejo〉(전2권, 1971), 장 프랑코의 〈세사르 바예호:시와 침묵의 변증법 Céar Vallejo:The Dialectics of Poetry and Silence〉(1976) 등이 있다.



[Daum백과] 바예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43 멕시코 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7-02-20 0 5722
2042 레바논-미국적 시인 - 칼릴 지브란 2017-02-19 0 5495
2041 아랍 "망명시인" - 니자르 카바니 2017-02-19 0 5307
2040 러시아 시인 - 발라쇼브 에두아르드 2017-02-19 0 3611
2039 몽골 시인 - 롭상도르징 을찌터그스 2017-02-19 0 3722
2038 일본 시인 - 미야자와 겐지 2017-02-19 0 5884
2037 일본 시인 - 스즈키 히사오 2017-02-19 0 3998
2036 시인 김파 "흑색 태양" 대하서사소설 출판하다... 2017-02-18 0 4624
2035 폴란드 시인 -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 2017-02-14 0 3889
2034 폴란드 시인 - 심보르스카 2017-02-14 0 3662
2033 프랑스 초현실주의의 선구자 시인 - 시욤 아폴리네르 2017-02-14 0 5429
2032 영국 시인 - 윌리엄 골딩 2017-02-14 0 4371
2031 스웨덴 국민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 뢰메르 2017-02-14 0 4011
2030 명문 옥스퍼드大 "시 교수"속에 시지기-竹林 있다?...없다?... 2017-02-13 0 4530
2029 영국 시인 - 필립 라킨 2017-02-13 0 4740
2028 아일랜드 시인 - 셰이머스 히니 2017-02-12 0 5327
2027 아랍 시리아 "모더니스트 혁명" 시인 - 아도니스 2017-02-12 0 4418
2026 터키 인민의 시인 - 히크메트 2017-02-09 0 4219
2025 중국 최초 신시 문학가 - 沈尹(君)默 2017-02-05 0 4121
2024 중국 현대시인 - 北島 2017-02-05 0 4134
2023 중국 페미니스트 녀류시인 - 伊雷(孫桂珍) 2017-02-05 0 4221
2022 중국 현대 산문가 시인 - 朱自淸 2017-02-05 0 4243
2021 중국 시대별 대표적인 녀류시인들 2017-02-05 0 4349
2020 중국 당나라 녀류시인 - 薛濤(설도) 2017-02-05 0 3893
2019 중국 현대시단 시인 - 艾靑 2017-02-05 0 4386
2018 중국 현대시의 개척자 中 시인 - 徐志摩 2017-02-05 0 7406
2017 중국 현대의 시인 - 何其芳 2017-02-05 0 4244
2016 중국 현대시인 시작품선(1) 2017-02-05 0 4440
2015 영국 계관시인 - 앨프리드 테니슨 2017-02-05 0 5009
2014 고대 로마 서정 풍자시인 - 호라티우스 2017-02-05 0 5919
2013 영국 "석별의 정" 시인 - 로버트 번스 2017-02-02 0 5137
2012 일본 녀류시인 - 무라사키 시키부 2017-02-02 0 4460
2011 "불쌍한 시인", "저주받는 시인", "상인 탐험가 시인" 2017-02-02 0 4294
2010 중국 당나라 "시사(詩史)의 시인 - 두보 2017-02-02 0 5094
2009 "영문학의 아버지" 영국 시인 - 초서 2017-02-02 1 4975
2008 "시인 중의 시인" 독일 시인 - 프리드리히 휠덜린 2017-02-02 0 5148
200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윌리엄 블레이크 2017-02-02 0 7673
2006 [자료] - 서정주, 국화 옆에서, "친일시?"... 2017-01-30 1 5476
2005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유품 고향에 돌아오다... 2017-01-27 0 4134
2004 민족시인 심연수 그는 누구인가... 2017-01-27 0 5141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