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폴란드 시인 -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
2017년 02월 14일 22시 38분  조회:3654  추천:0  작성자: 죽림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Zbigniew Herbert)

1924년 10월 29일, 지금은 우크라이나에 속해 있는 르부프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에 다니던 1939년,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이 폴란드를 침공·점령하자 지하조직이 만든 교육기관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다. 당시 레지스탕스로 활동하던 헤르베르트는 역시 지하 교육기관이었던 얀 카르미에시 대학에 진학해 폴란드 문학을 공부했다. 

1944년 봄 르부프를 떠나 크라쿠프로 이주하고 난 뒤, 르부프의 폴란드 사람들은 쫓겨나고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로 편입되었다. 이때의 고향 상실, 뿌리 뽑힘은 후일 헤르베르트 작품의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한다. 헤르베르트는 이후 크라쿠프 대학에서 경제학을,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교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생계를 위해 시, 음악 비평, 연극 비평 등을 발표했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 스타일을 따르지 않고 정치 선전물을 쓰지 않았기에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그 결과 변변치 않은 일자리들을 전전해야만 했다. 

17세부터 시를 쓰기 시작한 헤르베르트는 1956년 폴란드가 스탈린 체제에서 벗어나고 문학의 유일 양식이었던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폐기되자, 정식으로 시단에 나와 활동하기 시작했다. 첫 시집을 펴내고 주로 해외에서 지내던 중 1968년 3월 29일 카타지나 지에두쥬카와 프랑스의 폴란드 영사관에서 결혼했다. 그해 『헤르베르트 시 선집』이 영어로 번역·출간되었고, 영미권에 그의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지금까지도 가장 많이 번역된 폴란드 작가로 손꼽히고 있다. 

첫 시집 『빛의 심금』(1956)을 시작으로 『헤르메스, 개와 별』(1957), 『사물 연구』(1961), 『명銘』(1969), 『코기토 씨』(1974), 『포위 공격받는 도시에서 온 소식』(1983), 『떠나보낸 비가』(1990), 『로비고 지방』(1992), 『폭풍의 에필로그』(1998) 등 다수의 시집을 펴냈다. 나치와 스탈린 체제의 폭정과 검열에 항거해 작품을 쓰지 않거나 발표하지 않았던 기간이 길었음에도, 그는 생전에 시집과 함께 희곡집 『철학자들의 동굴』(1956), 에세이집 『정원 속의 야만인』(1962) 등 이십여 권의 작품을 펴냈다. 

시인이자 에세이스트, 희곡작가, 모럴리스트였던 그는 코시젤스키 재단 문학상(1963), 레나우 문학상(1965), 헤르더 문학상(1973), 페트라르카-프레이스 문학상(1979), 브루노 슐츠 문학상(1988), 예루살렘 문학상(1991)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83 김파 / 최룡관 2015-03-27 1 4337
282 아방가르드/ 시론 2015-03-27 0 4235
281 심상운 시와 기호 2015-03-23 0 4227
280 문덕수 현대시론 2015-03-23 0 4888
279 강경애 문학비 2015-03-23 0 4177
278 김창걸 문학비 2015-03-23 0 4576
277 초현실주의와 앙드레 브르통 2015-03-21 0 5219
276 초현실주의 혁명 2015-03-21 0 4185
275 초현실주의 요약자료 2015-03-21 0 4612
274 첫수확 노래비 2015-03-18 0 4262
273 류연산 문학비 2015-03-18 0 5100
272 최룡관 시비 2015-03-18 0 4183
271 김문회, 리근영, 박화, 최룡관 시비 (화룡 선경대) 2015-03-18 0 4696
270 심련수 시비 2015-03-18 0 4200
269 김파 시비 2015-03-18 0 4908
268 정몽호 시비 2015-03-18 0 4216
267 김학철, 김사량 문학비 2015-03-18 0 5430
266 김학철 문학비 (도문 장안 룡가미원) 2015-03-18 0 4764
265 조룡남 시비 2015-03-18 0 4641
264 최문섭 시비 2015-03-18 0 4308
263 김례삼 시비 2015-03-18 0 4766
262 채택룡 시비 2015-03-18 0 4180
261 윤정석 시비 2015-03-18 0 4910
260 동시인 - 강려 2015-03-18 0 4473
259 정판룡 문학비 2015-03-18 0 4742
258 연변 문학비 순례 2015-03-18 0 4396
257 리태수 시비, 조룡남 시비 (룡정 일송정 내) 2015-03-17 0 4940
256 선구자의 노래은? 2015-03-17 0 4481
255 윤동주 시비 ㄴ 2015-03-17 0 4113
254 윤동주 <서시>의 새로운 해석 2015-03-17 0 5250
253 윤동주 시비 2015-03-17 0 4273
252 김성휘 시비 2015-03-17 0 4520
251 詩碑의 是非 2015-03-17 0 4194
250 리욱 시비 2015-03-17 0 4753
249 시평 절록/ 김관웅 2015-03-15 1 5239
248 "시지기 - 죽림"의 詩와 관련하여ㅡ(김관웅 평론) 2015-03-15 1 4796
247 시인 - 최룡국 2015-03-15 0 4602
246 시인 - 리련화 2015-03-15 0 4579
245 시조시인 - 최혜숙 2015-03-15 0 4691
244 시인 - 박룡철 2015-03-15 0 4354
‹처음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