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폴란드 시인 - 심보르스카
2017년 02월 14일 22시 35분  조회:3662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일 1923. 7. 2, 폴란드 포즈나인 브닌
국적 폴란드

요약 폴란드의 시인. 1996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동료 시인인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 및 타데우슈 로제비치와 함께 현대 폴란드의 투쟁, 즉 제2차 세계대전, 유대인 학살, 소련 점령,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스탈린주의, 계엄령, 민주화 등을 증언했다. 고도의 철학적 문제를 다루려는 욕망과 강렬한 휴머니즘으로 이것을 부드럽게 조율했으며, 1996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심보르스카는 1945~48년 크라쿠프의 야기엘로니안대학교에서 문학과 사회학을 공부했다. 그녀의 시는 1945년에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다.

1952년에 첫 시집이 나온 데 이어 1954년에 2번째 시집이 나왔지만, 심보르스카는 이 두 시집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맹목적으로 헌신했다는 이유로 이 시집들을 자신의 작품 목록에서 줄곧 제외해왔다. 소련이 검열을 완화한 뒤에 처음 출간된 시집 〈예티에게 외치다 Wo anie do Yeti〉(1957)는 표제 인물인 설인(雪人) 예티를 통해 스탈린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그 후에 나온 시집으로는 〈소금 Sol〉(1962)과 〈끝없는 재미 Sto pociech〉(1967) 등이 있다. 〈아마 Wszelki Wypadek〉(1972)의 표제작은 그가 자주 다루는 주제인 우연을 검토하고 있으며 후기 시집으로 〈큰 수(數) Wielka liczba〉(1977), 〈끝과 시작 Koniec i pocz tek〉(1993) 등이 있다.

1953~81년 그녀는 주간지 〈문학생활 Zycie literackie〉에 〈과외 독서 Lektury nadobowiazkowe〉라는 칼럼을 기고했으며, 1980년대에는 〈아르카 Arka〉와 〈쿨투라 Kultura〉라는 잡지에 기고했는데, 〈쿨투라〉는 프랑스 파리에서 발간되는 폴란드 망명 문학 잡지였다. 심보르스카는 16, 17세기의 프랑스 시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진 저명한 번역가이기도 하다. 심보르스카는 개인적인 문제에 보편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폴란드의 다른 시인들과 구별된다.

그녀의 시에서는 일상적인 것들이 더 넓은 배경 속에서 철저히 재검토된다. 섬세한 문체는 재치와 깊이와 초연함에서는 고전적이지만, 아이러니와 냉담함에서는 현대적이다. 또한 꾸밈없는 언어가 곁가지를 모두 제거하고 대상을 향해 곧장 나아가는데, 이것은 1950년대 중엽에 동유럽 시문학을 지배했던 사회주의 리얼리즘 수법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어조는 잔뜩 비꼬는 대화체인 경우가 많다.

지난 30년 동안 폴란드에서 시집 7권을 발표한 이 은둔자는 기법의 미묘함 때문에 번역하기 어려운 시인이라고 알려져왔으나, 그녀의 시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나왔다. 영어판 시집으로는 〈소리, 느낌, 생각 Sounds, Feelings, Thoughts〉(1981), 〈다리 위의 사람들 People on a Bridge〉(1990), 〈모래알이 있는 풍경 View with a Grain of Sand〉(1995) 등이 출간되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5107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4241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5032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4421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5183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499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4435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782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825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619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859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678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615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960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4390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886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4826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4779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5352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915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868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5664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4238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865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4596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4912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5525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6316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4234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538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492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4076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718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4272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4332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994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4153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4117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4545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864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