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1대간, 2정간, 3정맥의 백두대간 호랑이 품다...
2017년 02월 10일 23시 12분  조회:6695  추천:0  작성자: 죽림

백두대간/ 백두산 "호랑이"

 

호랑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두산호랑이. 조선범, 한국호랑이 등 

고양이과에 속합니다.

 

moon_and_james-1

 

 

 

백두대간은  백두산(2744m) 에서 일어나

 금강산(1638m), 설악산(1708m), 태백산(1567m),

소백산(1421m) 속리산(1508m) 덕유산(1604m)

지리산(1915m) 에서 마치니

 

약 1400km에  이릅니다.

백두대간은 1대간(大幹)  2정간(正幹)

3정맥(正脈) 이뤄 졌습니다.

 

그과정에  서식하는  "호랑이와 상상의 동물

 청룡" 좌청룡 우백호라  했든가요?

사방을 방위하는 방위신 풍수지리에

좌청룡, 우백호, 전주작, 후현무,

 

 청룡은 본사람은 없는것 같고 ,

백두대간을 타고 경관 좋은

바위계곡에 물이 깊고 흐르는 곳에

용추가  많으며. 모두 승천한 흔적들을

설명하고 있답니다.

 

다음 그림사진은 좌청룡 우백호입니다.

 

 

 

 

" 좌청룡 우백호"   황룡은 주로 

임금이나 황제를 지칭하는것입니다.

그래서 임금이 입는 옷은 황룡무늬가

새겨진 곤룡포라고 했든가요?

 

왕의 곤룡포에는 황룡이 새겨져 있고, 

 장군의 관복에는 호랑이 즉 " 대호 "가 새겨져 있습니다.

풍수지리를  논할 때 백두대간의 13정맥(正脈)에서

 내려온 산소터 집터를 잡을 때,

좌청룡 우백호를 꼭 보지요,

 

 

 

 

일제강점기 지질구조에 기인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분수계를 

 중심으로  산은 단절고립된 봉우리도 보지 않고

백두산을  민족의 성산(聖山)  국토의 뿌리로 해 흐름을 갖고

 이어지는 맥세(脈勢)로  이해하는

전형적 산지 인식체계(고려사, 세종실리지) 라네요.

 

백두대간,  정간,정맥은  18세기 이익의 "성효사설"  이중환의"택리지" 등에 나타나기 시작해

산경표 에서  정립 됐답니다.

 

다음은 백두대간  백두산(2744m)천지부터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1915m) 천왕봉에  걸쳐 살고 있는

  " 호랑이 "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해 중국 길림일보에 실린" 호랑이 " 사진입니다.

인삼밭 주변에  나타난것을 주민이 발견하고

스마트폰 으로 찍은 실제사진이래요

 

개를 4마리나 먹어 치웠다는 것인데 농경지개발 등

 아마 생태계파괴로 먹이가

줄어 들어 민가에 내려온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많든 호랑이들이  일제 강점기때

몇천마리 사살되어 호피 표피로

나가고 지금은 한반도에 호랑이를 본사람들이

없어 몇마리나 있는지 정확히는 모릅니다.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이 어릴때

 " 호랑이젓 "을 

 먹고 자랐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문경시 가은읍 갈전리 금화굴은 

견훤왕의 탄생설이 있는 곳이며

매년 문경시에서 견훤왕 향사를 지낸답니다.

 

문경시  농암에도 견훤산성 견훤궁터,

용마를 얻은 말바위 등

견훤에 대한  사적지가 많으며

 " 왕건" KBS드라마 촬영장 연개소문,김선달 등

사극 영화 촬영장이 있습니다.

 

호랑이 별명을 쓰는 탈랜트도 있지요

1박2일에  강호동이 있고, 

런닝맨 김종국, 원피스도 있고요.

 

호랑이는 사방신 가운데

서쪽방위를 담당하고 있답니다.

또한  십이지상 중에 세번째라네요?

 


 

 

호랑이가 나오는 영화는 "대호" 가 있고

 

50만 포로가 끌려 갔든 병자호란을 소재로 한

"최종병기활" 에서도 호랑이가 나오지요

류승룡이 출연하든가요?

 

 

 

 

호랑이는 한반도 민화속에  종종 등장하고

 심지어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번

등장 할 정도로  호랑이가 많았답니다.

 

17세기 인구의 증가로  화전민이  많이 생기고 

 농지개간과정에서 

호랑이 표범 사냥을 장려시켜

 잡는자에게는 상을 주었답니다.

 

아래 사진은  까치와 호랑이  민화네요  ?

호랑이와 곳감 이야기 아시죠?

 

 

 

 조선시대 땐   한호갑사를 설치도 했고,  호피, 표피,

공납제를 실시하여  호랑이 숫자를

줄일려고 조정에선 힘썼답니다.

 

호랑이  그림사진입니다,

 

백두대간을  연결되는 이름난 산신령은  모두가 호랑이를 지칭하고

산신각에는  호랑이와 함께 한 백발의 산신령 그림이  모셔저 있습니다.

 

문경에도 오정산밑에 호계(虎溪)리가 있고

사찰산신각, 새재 조령산신각에도 호랑이와 백발산신령이

그림으로 모셔져 있습니다.

 


 

 

백두산천지를 배경으로  서서 돌아보는 

 " 백두산호랑이"의  위용 그림사진,

line_choco-2

 

 

 

 

호랑이사진 및 그림은 길림일보 등 "호랑이"에서 찍은것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 책 초판본 보물 사냥꾼 - (영국) 릭 게코스키 2015-04-05 0 5912
156 안중근을 흠모하다 2015-04-04 0 5653
155 안중근 / 유묵 2015-04-04 0 5617
154 안중근 권총 보관함 2015-04-04 0 7246
153 안중근 / 동서양의 력사를 바꾼 권총 2015-04-04 0 7834
152 안중근 / 권총 / 탄알 2015-04-04 0 6069
151 곽말약, 그 배후... 2015-04-03 0 6308
150 백두산 화산 력사와 개념도 2015-04-03 0 7016
149 갑골문 / 곽말약 2015-04-02 0 5349
148 눈보건 전신 지압법 2015-04-02 0 7565
147 그때에도 역시 그랬지... 2015-04-01 0 5485
146 한반도 종교의 력사 2015-03-30 0 4807
145 연변작가협회 <공로상> 2015-03-30 0 4883
144 전라남도 광주 정률성 고향에서ㅡ 2015-03-30 0 4866
143 그때 그때 저랬던가ㅠ... 2015-03-30 0 5280
142 그때 그때 이랬던가ㅠ... 2015-03-30 0 5726
141 수석(壽石) 용어 2015-03-29 1 7567
140 추상화란?... 2015-03-29 0 7185
139 안중근의사 유언, 어머니의 편지 2015-03-28 0 6777
138 샹송이란? 2015-03-21 0 5538
137 두만강을 따라... 2015-03-17 0 5919
136 자랑스러운 고향사람 2015-03-17 0 5342
135 그 어느 한때는,ㅡㅡㅡ 2015-03-15 0 5943
134 <<그 어느 한때에는 그럴사한 일도 있었따아임껴...>>ㅡ한국 교보문고 서점 시집 홍보 2015-03-15 0 6017
133 껍데기는 가거라... 2015-03-15 0 5245
132 연변 사투리 (ㅇ) 2015-03-15 1 6006
131 유형문화재 보호하기!!! 2015-03-14 0 5960
130 재 복습하는 명언 모음 2015-03-08 0 6815
129 순 우리 말 어원을 찾아... 2015-03-08 0 5462
128 아빠, 엄마 어원 2015-03-08 1 5000
127 가장 아름다운 순 한글 말 2015-03-08 0 5634
126 순 한글 말 - <시나브로>의 뜻은? 2015-03-08 0 6355
125 아버지 어원 2015-03-07 0 5689
124 괴테 명언 모음 2015-03-07 0 6089
123 숫자로 살펴본 노벨상 110년 2015-03-05 0 5029
122 세계 문학 명저 100선 2015-03-04 1 7834
121 동의보감 67가지 2015-03-04 0 6814
120 책읽기 열가지 방법 2015-03-04 0 4766
119 생활지혜 2015-02-24 0 5450
118 보지 말가 볼가... 2015-02-24 0 5399
‹처음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