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두보, 그는 두보, 두보인거야...
2017년 02월 08일 00시 24분  조회:4267  추천:0  작성자: 죽림

두보

자미(子美), 소릉(少陵), 두소릉(杜少陵), 두릉(杜陵), 두습유(杜拾遺), 두공부(杜工部)杜甫|

동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직시

양귀비와의 로맨스로 잘 알려진 현종의 치세(712~755)는 당나라 문화가 가장 찬란하게 빛을 발하던 시기이다. 그러나 그 절정에는 동란의 기운이 스며들고 있었다. 안녹산의 난으로 태평성대는 허무하게 무너졌고, 양귀비는 마외(馬嵬)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현종은 퇴위하게 되었다. 그 이후로도 이어진 전란 때문에 백성들은 도탄에 빠지고 말았다.

두보는 현종이 즉위한 해인 712년에 태어나 44세가 되던 755년에 안녹산의 난을 맞이하고 59세로 세상을 떠났다. 현종의 시대를 살기는 했으나 그 삶의 중심은 전반기보다는 동란이 일어났던 후반기에 있다. 지상에 얽매인 인간 생활을 직시하고 우울과 걱정으로 가득한 두보의 시 세계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운명을 고스란히 짊어지고 있다. 두보는 7세 때부터 시를 짓기 시작해 14~15세 때 문인들과 교류했다. 당나라 초기의 유명한 시인 두심언(杜審言)의 손자이기도 한 그는 저명한 유학자 가문에 태어나 시인 · 유학자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뒷날 그는 청년 시절을 이렇게 회상했다.

「위좌승장(韋左丞丈)에게 보내는 22운」 (일부)
自謂頗挺出
내 재주 뛰어난 줄 일찍 알아서
立登要路津
당장 주요 관직에 올라
致君堯舜上
황제를 보필하여 요 · 순의 시대처럼 만들고
再使風俗淳
세상의 풍속을 바로 세울 수 있으리라 믿었네.

그러나 그에게는 그런 정치적 포부를 실천할 기회가 오지 않았다. 중국 각지를 유람하면서 수양을 쌓고 명사(名士)들을 만나 글로 이름을 날렸지만 추천을 받아 시험만 봤다 하면 낙방했다. 그 무렵의 재상 이임보가 그런 수험생들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는 사이에 결혼을 하여 자식이 태어났고, 이윽고 40세가 넘어서 안녹산의 난을 맞이했다. 그는 정통성을 가진 숙종(肅宗)에게 달려가려 했으나 반란군에게 사로잡혀 장안에 연금되고 말았다. 이 시기에 그는 생이별을 하게 된 처자식을 생각하고 전란으로 황폐해진 세상을 염려하며 많은 시를 지었다. 다음은 그 대표작이다.

「춘망(春望)」
國破山河在
나라는 무너졌으나 산하는 그대로이네.
城春草木深
장안에 봄이 오니 초목은 무성한데
感時花濺淚
이 시절 생각하니 꽃을 보고도 눈물 흐르네.
恨別鳥驚心
이별이 한스러워 새를 보고도 놀라는 가슴
烽火連三月
전란은 해가 바뀌어 삼월이 되어도 끝나지 않으니
家書抵萬金
만금을 주어서라도 가족 소식 듣고 싶구나.
白頭搔更短
백발이 된 머리를 긁으면 눈에 띄게 빠지니
渾欲不勝簪
이래서야 머리칼에 쪽이라도 꽂을 수 있을까.

여름이 되자 두보는 겨우 기회를 얻어 반란군이 지배하는 장안을 벗어날 수 있었다. 그는 서쪽의 봉상(鳳翔)으로 나아갔다. 거기에는 현종의 뒤를 이은 숙종의 조정이 있었다. 두보는 목숨을 걸고 탈출한 공을 인정받아 좌습유(左拾遺)에 임명되었다. 천자의 곁에서 그 과실을 지적하는 직책이었다. 유가적 이상을 불태우고 있던 두보에게는 더 바랄 게 없는 자리였다. 그러나 그는 취임하자마자 어떤 인물을 변호하는 데 힘을 쏟다가 숙종의 비위를 건드리고 말았다. 파면은 면했지만 그 이후로 두보의 마음은 밝지 못했다. 장안이 수복되고 퇴위한 현종도 돌아와 이중의 권력 구조가 성립된 것도 두보의 마음을 무겁게 했으니 현실의 정치에 빠져들면 들수록 자신의 삶에 회의를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곡강(曲江) 2수의 2」 (후반부)
朝回日日典春衣
근무를 마치면 봄옷을 잡혀 몇 푼을 거머쥐고
每日江頭盡醉歸
매일 곡강(曲江)에 나가 술에 취해 돌아온다.
酒債尋常行處有
가는 곳마다 외상값뿐이지만
人生七十古來稀
덧없는 이 인생 그 무슨 걱정인가.

천성이 성실하고 진지했던 두보가 퇴폐적인 생활에 얼마나 젖어 지냈는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이대로 숙종 정권에 협력한다 한들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을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그때 반대 세력의 책동도 있었던 듯, 두보는 중앙 관리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758년, 47세 때의 일이다.

장안에서 가까운 화주(華州)의 지방 관리가 된 두보는 현실에 대한 불만을 시로 표현하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 나갔다. 이 시기에 이른바 ‘삼리삼별(三吏三別)’을 지었다. 「신안리(新安吏)」, 「동관리(潼關吏)」, 「석호리(石壕吏)」, 「신혼별(新婚別)」, 「수로별(垂老別)」, 「무가별(無家別)」이 그것이다.

「석호리」
暮投石壕村
저녁 어스름에 석호촌의 농가에 머무르니
有吏夜捉人
밤이 되자 관리가 사람을 징발하러 왔다.
老翁踰墻走
노인은 담을 넘어 도망치고
老婦出門看
할머니는 문을 따러 나간다.
吏呼一何怒
관리는 버럭 고함을 지르고
婦啼一何苦
할머니는 훌쩍이며 운다.

시는 계속해서 할머니가 관리에게 애원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아들 셋은 전장에 끌려갔다. 얼마 전, 한 아들로부터 편지가 왔는데 다른 두 아들은 전사했다는 내용이었다. 살아남은 아들은 어떻게든 당분간은 살아가겠지만 죽은 아들은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집에는 젖을 빠는 손자 외에 남자라고는 없다. 손자의 어머니는 아직 이 집에 있지만 바깥에 나가고 싶어도 제대로 된 옷이 없어 나갈 수도 없는 형편이다.

할머니는 마지막에 이런 말을 한다.

老嫗力雖衰
비록 쇠약한 늙은 몸이지만
請從吏夜歸
원한다면 따라가겠습니다.
急應河陽役
빨리 하양(河陽)의 전장으로 가면
猶得備晨炊
아침밥을 지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할머니는 징발되었다. 결말에서 두보는 이렇게 노래한다.

夜久語聲絶
밤이 깊어 사람 소리도 끊어졌는데
如聞泣幽咽
어디선가 울음소리 들려오는 것만 같구나.
天明登前途
날이 밝아 집을 나서는데
獨與老翁別
노인 홀로 작별 인사를 한다.

분노를 감춘 그 표현이 오히려 효과를 높이고 있다. 울먹이며 애원하는 할머니를 징발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이 묘사는 아마도 진실일 것이다. 그 뒤 두보가 살아간 방식을 보면 알 수 있다. 전란이 계속되고 먹을 것을 구하기 힘든 세상이었다. 마침내 두보는 관직을 버리고 가족과 함께 친족에게 의지하기 위해 유랑길에 오른다. 저 멀리 감숙(甘肅)을 지나 촉[蜀, 지금의 사천(四川)]으로 가서 두보가 자리 잡은 곳은 성도(成都)였다. 친구와 친척의 도움을 받아 성도 교외의 완화계(浣花溪)에 초가집을 지었다. 그 집을 ‘완화초당(浣花草堂)’이라 한다. 한때 촉 지방을 방랑한 적도 있었지만 이후 5년 정도는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했다. 정치적 입신의 꿈은 벌써 접은 뒤였고, 시를 짓는 일에서 삶의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그는 다양한 대상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다음의 오언절구는 이 시기의 작품이다.

「절구 2수의 2」
江碧鳥逾白
강물 깊어 파랗고 새는 더욱 하얗고
山靑花欲然
산은 푸르고 꽃은 불타는 듯하다.
今春看又過
이렇게 봄은 눈앞에서 지나가는데
何日是歸年
아, 언제나 고향에 돌아갈 수 있을까.

두보의 나이 벌써 쉰을 넘었다. 덧없이 흘러간 세월 속에, 그는 나이가 들면서 지나가는 봄을 애달파한다. 청춘의 감상과는 다른 깊은 애수가 감돈다.

촉에서 그는 친구 엄무(嚴武)의 간청으로 그의 참모가 되지만, 다른 동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 하루하루가 고달팠다. 엄무가 세상을 뜨자 두보는 그 직책도 버리고 가족과 함께 성도를 떠나 양자강을 따라 내려간다.

「여야서회(旅夜書懷)」
細草微風岸
실바람에 살랑대는 가느다란 풀 언덕
危檣獨夜舟
높이 돛 단 외로운 밤배
星垂平野闊
너른 들에 별은 가득한데
月湧大江流
흐르는 강에 달은 샘처럼 솟구쳐 오르고
名豈文章著
나 어찌 문장으로 이름을 날릴 수 있으리.
官應老病休
늙고 병든 이 몸 출세는 꿈이어라.
飄飄何所以
바람처럼 떠도는 이 몸
天地一沙鷗
천지간 백사장에 홀로 앉은 갈매기여라.

이윽고 초의 출구라 할 수 있는 삼협에 도착해 삼협의 하나인 구당협(瞿塘峽)에 가까운 기주(蘷州)에 2년을 머문다. 보잘것없는 오두막을 지어 닭을 기르고, 채소를 가꾸며 생활을 꾸렸다. 아는 사람도 없는 고독한 생활 속에서 장안을 회상하고 지난날을 추억한다. 생의 마지막에 이르러 그 뜻을 묻는 것이다.

「등고(登高)」
風急天高猿嘯哀
세찬 바람 하늘 높은데 원숭이 울음소리 구슬프고
渚淸沙白鳥飛回
맑은 흰 모래톱에 새들이 날아든다.
無邊落木蕭蕭下
낙엽은 우수수 떨어져 내리고
不盡長江滾滾來
도도한 장강은 끝없이 흐른다.
萬里悲秋常作客
먼 타향 떠도는 나그네의 슬픈 가을
百年多病獨登臺
아픔 많은 내 인생 홀로 누대에 오른다.
艱難苦根繁霜鬢
아프고 힘든 인생, 머리에는 찬 서리 내렸는데
潦倒新停濁酒杯
늙고 병든 이 몸 막걸리 사발마저 들 수 없구나.

두보는 수도 장안으로 돌아가리라는 희망을 품고 다시 양자강을 내려왔다. 그리고 동정호 주변에 2년간 머무르다가 770년 59세의 일기로 그 생애를 마감했다. 일설에 따르면, 누가 보내 준 술과 고기를 먹다가 갑자기 죽었다고도 한다. 어디까지나 전설에 지나지 않겠지만, 달을 잡으려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는 이백에 비한다면, 너무도 힘든 지상의 삶에서 결코 눈을 떼지 않았던 두보다운 죽음이라 할 것이다.

두보(712~770)는 열한 살 위인 이백과 더불어 당나라 때의 시인 가운데 최고봉으로 평가받는다. 자연스러운 평가이기는 하지만 이백과 두보의 시 세계는 서로 너무 대조적이어서 이 점이 두 거봉을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 지상 세계에 얽매여 삶의 고통을 노래하며 유가적 사상을 가졌던 두보와, 천상적이며 평이하고 도가적인 세계를 노닐었던 이백이 동시대에 살면서 서로 대화를 나누었다는 것이 거의 농담처럼 들릴 정도이다. 인생을 진지하게 바라보고 성실하게 살아가려는 사람에게 두보가 표현한 시는 결코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현존하는 두보의 시는 1,456수에 달하며 시대순으로 정리되어 있어 그 생애를 살피는 데 매우 편리하다.

두보
두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10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 - 소쉬르 2017-10-30 0 3625
809 시는 낱말의 조합으로 초자연적인 길을 열어야... 2017-10-30 0 2397
808 [타산지석] - 100年 = 100人 2017-10-30 0 3051
807 시인은 예언적 신앙심으로 모든것에 사랑을 심어야... 2017-10-30 0 3171
80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예부흥운동을 주도한 "상원의원"시인 2017-10-30 0 4161
805 [노벨문학상과 시인]생전 수상 거부, 죽은후 수상자가 된 시인 2017-10-29 0 3529
804 [노벨문학상과 시인]지도자 계급의 어용문인으로 전락된 시인 2017-10-29 0 3287
803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학과 언어학의 부흥을 주도한 시인 2017-10-29 0 3663
80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제1회 노벨문학상 주인공으로 된 시인 2017-10-29 0 4312
801 [노벨문학상과 시인]비평가들로부터 절대적 인정을 받은 시인 2017-10-29 0 3739
800 [노벨문학상과 시인] - "새로운 시"의 동의어를 만들어낸 시인 2017-10-29 0 3726
799 시작에서도 싱싱한 화면으로 시정짙은 공간을 펼쳐보여야... 2017-10-28 0 3519
798 시작에서도 조각적 회화공간의 미를 창조해야... 2017-10-28 0 5956
797 시작에서도 선과 리듬으로 독자들을 끌어야... 2017-10-28 0 3207
79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알을 깨고 새세계를 연 시인 2017-10-25 0 7536
795 [노벨문학상과 시인] - 남아메리카 칠레 녀류시인 2017-10-25 0 3759
794 "마지막 잎새에도" 그는 "빛"이였다... 2017-10-25 0 2722
793 단 한번도 반복되는 하루는 두번 다시 없다... 2017-10-22 0 2937
792 "삶은 짧지만 하나의 강렬한 축제" 2017-10-21 0 2709
791 20세기 최고의 독일 시인 중 한 사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2017-10-21 0 4424
790 "나는 내가 가진 모든것들을 당신에게 빚졌습니다"... 2017-10-21 0 2424
789 " 머리가 어질어질 뗑하게 만드는" 러시아 시인들 이름... 2017-10-21 0 2580
788 러시아 투사시인 - 표드르 이바노비치 츄체프 2017-10-21 0 3332
787 독학으로 배운 언어로 시를 쓴 노르웨이 과수원 농부시인... 2017-10-20 0 2684
786 시인 김용제는 "그림자", 시인 윤동주는 "빛"... 2017-10-20 0 2690
785 시작에서도 정적인것을 동적인것으로 출구를 찾아 표현해야... 2017-10-17 0 2226
784 [그것이 알고싶다] - 어린이들은 "어린이"를 알고 있는지요?... 2017-10-17 0 4383
783 "어린이"와 방정환 그리고 "강도" 2017-10-17 0 5217
782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2017-10-17 0 2241
781 시비(詩碑)에 또 시비(是非)를 걸어보다... 2017-10-17 0 2855
780 "반달할아버지"가 "반달"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다?!... 2017-10-17 0 2137
779 "반달할아버지"와 룡정 2017-10-17 0 2168
778 "반달" = "하얀 쪽배(小白船)" 2017-10-16 0 3625
777 시인이라고 해서 다 시인이다?... 아닌 이도 있다!... 2017-10-14 0 1936
776 시인은 용기를 내여 치렬하게 작품을 쓰라... 2017-10-14 0 2516
775 [쟁명] - "꾸준히 실험시를 써보라"... 2017-10-14 0 2232
774 "반달"과 "반달 할아버지" 2017-10-14 1 3215
773 한줄기의 빛이었던 시인 - 윤동주 2017-10-13 0 2381
77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 아이디어, 한 이미지를 갖고 써라... 2017-10-10 0 2204
771 "현대시는 암소, 하이퍼시는 암퇘지"... 2017-10-10 0 2584
‹처음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