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 현대의 시인 - 何其芳
2017년 02월 05일 16시 49분  조회:4152  추천:0  작성자: 죽림

허치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치팡(何其芳, 1912∼1977)은 중국 현대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다.

생애[편집]

쓰촨 성(四川省) 완셴(萬縣)의 어느 보수적인 가정에서 태어나서 성장한 중국 현대문학의 1세대 작가로, 원래 이름은 허융팡(何永芳)이다. 또 필명으로 허즈(禾止), 디디(荻荻), 추러(秋若), 라오바이싱(勞百行), 양잉레이(楊應雷), 푸루빙(傅履冰), 허치팡(何啓放) 등이 있다.

어려서부터 중국 고대 시가와 소설을 좋아했으며, 1929년 상하이의 중국공학예과(中國公學豫科)에서 공부를 하면서 중국 신문학을 좋아하기 시작했고, 많은 신시(新詩)들을 접했는데, 특히 빙신(氷心)의 시가와 산문을 대단히 좋아했다. 1930년에 그는 칭화 대학 외국어과에 입학해 공부하다가 이듬해에 다시 베이징 대학 철학과에 들어가 공부했다. 재학 중 프랑스 시의 영향을 받아 시작(詩作)을 시작했다. 1936년 산문시집 《화몽록(畵夢錄)》으로 대공보(大公報) 제1회 문학상을 받았고, 이듬해 처녀시집 《예언(預言)》을 내놓았다. 항일전쟁이 시작되자 옌안으로 가서 루쉰예술학원 문학계 주임으로 교편을 잡는 한편, 시집 《야가(夜歌)》를 출간했다. 또한 문예평론가로서도 활동했으며, 중국 정권 성립 후 과학원문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1966년 이후 문화 대혁명 중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문학 세계[편집]

베이징대학 재학 중에 그의 시는 진솔하고 섬세한 감정을 정미한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제재는 주로 자기 자신으로 자신의 환상과 감각, 정감을 노래하는 시가 주를 이루었다. 이후 다른 지역에서 교사 생활을 하게 되면서 허치팡의 시야는 넓어진다. 산둥 지방 농민들의 고생과 어려움을 목도하면서 사상과 감정에 큰 변화가 생겼다. 물론 이는 그의 시에 고스란히 투영된다. 이후 그가 삶의 터전을 옮겨가며 사회 현실을 더욱 깊이 인식하게 된 그는 이전의 경향에서 벗어나 민중의 생활과 투쟁을 위한 시를 쓰고자 하여 시상의 변화를 보인다. 초기의“민감하고 다정하며” “배회적이고 또 함축적”이었던 시를 주로 썼던 허치팡은 제자리에 머물지 않고 항상 변화를 꾀했다. 그는 중국 고전 시가와 민가(民歌) 및 신시의 형식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나아가 현대 중국어의 객관적인 규율에 근거해 현대 격률시를 주장하고 이를 직접 자신의 시가 창작에 적용해 시가 형식의 변화를 추구했다. 시가 형식에 대해서 대담한 탐색을 계속하는 중에도 자신의 결점을 분명하게 간파하고 이를 냉정하게 비평하면서 새로운 길을 모색해 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03 詩人은 풀잎같은 존재이다... 2016-10-01 0 4850
1602 詩는 늘 등뒤에서 울고지고... 2016-10-01 0 4822
1601 詩속에는 시작과 시간이 흐른다... 2016-10-01 0 4058
1600 詩는 피해자와 비피해자의 그림자 2016-10-01 0 4441
1599 詩는 "어떤 음계에서"의 암시투성이다... 2016-10-01 0 4875
1598 80년대이래 중국 詩歌 관련하여 2016-10-01 0 4341
1597 연변이 낳은 걸출한 서정시인 ㅡ 윤동주 2016-09-30 0 4679
1596 나는 사람이 아니고 개다... 2016-09-29 0 4367
1595 중국 조선족 시인 시묶음 2016-08-25 0 6150
1594 詩리론은 쉬운것, 아리송한것, 어려운것들의 따위... 2016-08-24 0 4903
1593 詩창작은 곧 "자기표현"이다... 2016-08-24 0 4789
1592 詩는 "어떤 음계에서"의 암시투성이다... 2016-08-22 0 4604
1591 詩적 장치속에 상징이라는 눔이 있다는것... 2016-08-22 0 4388
1590 詩는 <<그저 그런...>>것, 젠장칠,ㅡ ... 2016-08-22 0 4513
1589 정지용 시인과 향수 2016-08-18 0 4228
1588 詩作을 할때 위장술(아이러니)을 변덕스럽게 사용하라... 2016-08-18 0 4762
1587 詩作할때 <<...것들>>로 잘 장식하라... 2016-08-17 0 4687
1586 詩作을 할때 살아있는 은유를 포획하라... 2016-08-16 0 4874
1585 詩人은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련금사... 2016-08-12 0 5253
1584 詩作을 할때 죽은 비유를 멀리하고 배척하라... 2016-08-11 0 4651
1583 詩作에서 어려운 리론은 잊어버리고 새로운 싹을 티우라... 2016-08-10 0 4939
1582 인습적인것들을 사용하면 좋은 詩가 될수 없다... 2016-08-09 0 5035
1581 좋은 詩들을 많이 읽고, 詩를 쓰고 싶은대로 쓰라... 2016-08-08 0 4612
1580 83세의 한국 아동문학가 - 신현득 童心에 살다... 2016-08-04 0 4549
1579 복습, 예습하는 詩공부하기... 2016-08-04 0 4522
1578 밤중에만 詩공부하는 눔이라구라... 2016-08-04 0 4435
1577 재다시 현대시 공부하기... 2016-08-04 0 4703
1576 다시 詩공부합니다... 2016-08-04 0 4233
1575 詩作하는데는 시험도 숙제도 없다... 2016-08-04 0 4367
1574 詩에서 작은 이미지 하나로 시전체분위기를 만들라... 2016-08-04 0 4502
1573 詩人은 이미지에게 일을 시킬줄 알아야... 2016-08-02 0 4251
1572 詩人의 상상력에 의해 그려진 언어의 그림 곧 이미지이다... 2016-08-01 0 4838
1571 詩는 말하는 그림, 그림은 말없는 詩... 2016-08-01 0 4446
1570 검정 망아지가 큰 검정 馬(말)인 韓春을 그리다... 2016-07-30 0 4214
1569 한국 현대시 100년을 빛낸 시집 5권 2016-07-29 1 5468
1568 한국문학 100년을 빛낸 기념비적 작품들 2016-07-29 0 4201
1567 한국 현대시 100년을 돌아보다... 2016-07-29 0 6375
1566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李陸史 2016-07-29 0 5053
1565 한국 시인 중국 기행 시모음/중국 현대시 개요 2016-07-29 0 5083
1564 詩의 생명이며 극치는 곧 이미지이다... 2016-07-29 0 3996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