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주락펴락"과 "쥐락펴락"
2017년 02월 04일 22시 46분  조회:2806  추천:0  작성자: 죽림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3)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게끔 -게시리  
겸사-겸사 겸지-겸지/겸두-겸두  
고구마 참-감자  
고치다 낫우다 병을 ~.
골목-쟁이 골목-자기  
광주리 광우리  
괴통 호구 자루를 박는 부분.
국-물 멀-국/말-국  
군-표 군용-어음  
길-잡이 길-앞잡이 ‘길라잡이’도 표준어임.
까다롭다 까닭-스럽다/까탈-스럽다  
까치-발 까치-다리 선반 따위를 받치는 물건.
꼬창-모 말뚝-모 꼬창이4)로 구멍을 뚫으면서 심는 모.
나룻-배 나루 ‘나루[津]’는 표준어임.
납-도리 민-도리  
농-지거리 기롱-지거리 다른 의미의 ‘기롱지거리’는 표준어임.
다사-스럽다 다사-하다 간섭을 잘 하다.
다오 다구 이리 ~.
담배-꽁초 담배-꼬투리/담배-꽁치/담배-꽁추  
담배-설대 대-설대  
대장-일 성냥-일  
뒤져-내다 뒤어-내다  
뒤통수-치다 뒤꼭지-치다  
등-나무 등-칡  
등-때기 등-떠리 ‘등’의 낮은 말.
등잔-걸이 등경-걸이  
떡-보 떡-충이  
똑딱-단추 딸꼭-단추  
매-만지다 우미다  
먼-발치 먼-발치기  
며느리-발톱 뒷-발톱  
명주-붙이 주-사니  
목-메다 목-맺히다  
밀짚-모자 보릿짚-모자  
바가지 열-바가지/열-박  
바람-꼭지 바람-고다리 튜브의 바람을 넣는 구멍에 붙은, 쇠로 만든 꼭지.
반-나절 나절-가웃  
반두 독대 그물의 한 가지.
버젓-이 뉘연-히  
본-받다 법-받다  
부각 다시마-자반  
부끄러워-하다 부끄리다  
부스러기 부스럭지  
부지깽이 부지팽이  
부항-단지 부항-항아리 부스럼에서 피고름을 빨아내기 위하여 부항을 붙이는 데 쓰는, 자그마한 단지.
붉으락-푸르락 푸르락-붉으락  
비켜-덩이 옆-사리미 김맬 때에 흙덩이를 옆으로 빼내는 일, 또는 그 흙덩이.
빙충-이 빙충-맞이 작은말은 ‘뱅충이’.
빠-뜨리다 빠-치다 ‘빠트리다’도 표준어임.
뻣뻣-하다 왜긋다  
뽐-내다 느물다  
사로-잠그다 사로-채우다 자물쇠나 빗장 따위를 반 정도만 걸어 놓다.
살-풀이 살-막이  
상투-쟁이 상투-꼬부랑이 상투 튼 이를 놀리는 말.
새앙-손이 생강-손이  
샛-별 새벽-별  
선-머슴 풋-머슴  
섭섭-하다 애운-하다  
속-말 속-소리 국악 용어 ‘속소리’는 표준어임.
손목-시계 팔목-시계/팔뚝-시계  
손-수레 손-구루마 ‘구루마’는 일본어임.
쇠-고랑 고랑-쇠  
수도-꼭지 수도-고동  
숙성-하다 숙-지다  
순대 골집  
술-고래 술-꾸러기/술-부대/술-보/술-푸대  
식은-땀 찬-땀   
신기-롭다 신기-스럽다 ‘신기하다’도 표준어임.
쌍동-밤 쪽-밤  
쏜살-같이 쏜살-로  
아주 영판  
안-걸이 안-낚시 씨름 용어.
안다미-씌우다 안다미-시키다 제가 담당할 책임을 남에게 넘기다.
안쓰럽다 안-슬프다  
안절부절-못하다 안절부절-하다  
앉은뱅이-저울 앉은-저울  
알-사탕 구슬-사탕  
암-내 곁땀-내  
앞-지르다 따라-먹다  
애-벌레 어린-벌레  
얕은-꾀 물탄-꾀  
언뜻 펀뜻  
언제나 노다지  
얼룩-말 워라-말  
에는 엘랑  
열심-히 열심-으로  
입-담 말-담  
자배기 너벅지  
전봇-대 전선-대  
주책-없다 주책-이다 ‘주착 → 주책’은 제11항 참조.
쥐락-펴락 주락-펴락/펴락-쥐락  
-지만 -지만서도 ←-지마는.
짓고-땡 지어-땡/짓고-땡이  
짧은-작 짜른-작  
찹-쌀 이-찹쌀  
청대-콩 푸른-콩  
칡-범 갈-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어릴 때부터 바른 글씨체를... 2017-01-22 0 3074
129 [시문학소사전] - "오마주"란?... 2017-01-22 0 4978
128 현대시는 외형률보다 내재률을 통해 음악성을 강조해야... 2017-01-21 0 3416
127 시인은 "버려진 집"에서 살며 시작해야... 2017-01-20 0 2749
126 시는 목적없이 그 무엇을 "찾는" 행동이다... 2017-01-20 0 2805
12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외래어도 알고 쓰자... 2017-01-20 0 2743
124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한글과 일본어 대조표 2017-01-20 0 3075
123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순수 우리말로 하면 촌스러운가... 2017-01-20 0 3993
12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순수 우리말 있을 땐 외래어 쓰지 말기... 2017-01-20 0 3969
121 시작에 공부 좀 하이쏘.. 2017-01-18 0 5440
120 시작의 길잡이는 오로지 "나도 시를 쓸수 있다" 이다... 2017-01-18 0 3136
119 시는 시시한 물건짝이 옳다?... 아니다!... 2017-01-18 0 2764
118 [시문학소사전] - "벽화"와 "그래피티" 차이점?... 2017-01-16 0 4019
117 시작(詩作)의 비법 = 다독(多讀), 다사(多思), 다작(多作)... 2017-01-16 0 3148
116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딸님"과 "따님" 2017-01-15 0 2950
11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부딪히다"와 "부딪치다" 2017-01-15 0 3236
114 [쉼터] - 사랑의 노래는 학습되지 않는 막무가내의 모든 것... 2017-01-15 0 3279
113 [쉼터] - 그림자 이끌고 떠나가야겠네... 2017-01-15 0 2741
112 살맛나는 세상과 무서운 세상, 그리고 "거짓 글" 2017-01-14 0 3611
11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글쓰기, 토론식 례찬 2017-01-14 0 3103
110 문학은 "퇴고, 다시 퇴고"의 련마작업을 거치는 고된 작업... 2017-01-14 0 2948
109 詩作에서의 퇴고, 퇴고, 퇴고 끝에 탈고와 등고의 희렬!~~~ 2017-01-14 0 3175
108 시작할 때 늘 시어(詩語)의 생사존망(生死存亡)문제를 따져야... 2017-01-13 0 2697
107 섬은 늘 거기에 있지만 사람들은 그 섬을 떠나 돌아오지 않는다... 2017-01-11 0 2686
106 시적언어가 탄생과정을 거치지 않은 언어는 독자의 마음을 파고들수 없다... 2017-01-11 0 3118
105 시조라는 정형틀을 지키면서 동시에 시적 심상의 확장과 응축 등으로 새로운 시조의 미학을 창조해야... 2017-01-11 0 2827
104 "선생님은 퇴고를 하십니까, 안 하십니까?..." 2017-01-08 0 2650
103 시는 희, 로, 애, 락, 욕, 지, 의, 정 등의 복합적 예술품이다... 2017-01-08 0 2756
102 문학예술가와 病, 그리고 창작 2017-01-07 0 2677
101 2017년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모음 2017-01-06 0 2848
10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위하여" 건배!... 2017-01-06 0 2899
99 금서, 70, 베스트셀러 그리고 독재자... 2017-01-06 0 2726
98 시는 늘 육화(肉化)된 언어를 찾아 써야... 2017-01-05 0 2890
97 무지하고 께제제한 눔들 하곤 할 말이 있다?... 없다!... 2017-01-04 0 3947
96 시는 불필요한 관념성, 난해성, 상투성, 피상적, 추상적인식에서 머물지 말아야... 2017-01-04 0 3175
95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의 상자"란?... 2017-01-03 0 3835
94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란?... 2017-01-03 0 3998
93 시문학이 이땅에서의 생존의 길, 그것은 곧 "사랑"과 "고뇌". 2017-01-02 0 3226
92 5천권의 책을 읽고 만장의 글을 써라... 2017-01-02 0 3202
91 글쓰기 비법 아닌 비법 12 2017-01-02 0 3730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