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독자들의 령혼을 뜻대로 쥐락펴락 해나감과 동시에 독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야...
2017년 02월 04일 22시 35분  조회:2976  추천:0  작성자: 죽림

5-2. 주제에 대하여


오늘은 시를 쓸 때 가장 유의해야 할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기로 합니다.
시의 주제(thema)는 시 작품을 통해서 나타내려는 중심적인 주된 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주제는 보통 시를 쓰기 전에 선명하게 밝혀져야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시를 완성하고 나서 비로소 분명해지기도 합니다.


이 주제는 ‘시의 의미성’ 대목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시의 중심 사상이라고 할 수 있어서 사람이 지닌 보편적인 성격으로 나타납니다. 다시 말하면 시인이 살고 있는 인생관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시인들이 갈망하는 진실이 지성미와 함께 농축되어 작품 속에 버무려져 있음을 뜻합니다.


그러나 주제는 앞서 말한 소재와는 별로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지만 시의 발상이나 동기는 이미 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확인되면서 이미지나 상징 그리고 표현에 있어서 비유법 등으로 주제를 창출시키게 됩니다.
흔히들 처음 시 쓰기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소재와 주제를 혼동하는 일을 가끔 볼 수 있는데 이런 일들은 시창작의 초기 현상으로서 많은 연습과 노력으로 극복될 수 있는 일이어서 별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로 한 예를 들어보면, 어느 백일장에서 [가을]이라는 시제(詩題)로 쓴 작품들을 심사하면서 느낀 점은 한결같이 ‘가을’이라는 소재에 매달려서 주제가 없거나 약하다는 것입니다.
‘가을’이라는 소재에 투영되는 의미성이 결여되었다는 말입니다. 이런 작품은 미적인 감동은 있을 수 있지만 ‘가을’이 지니는 참된 모습이 의식 속에 나타나지 않고 있어서 시 쓰기에서 주제를 중시하는 현대시에서는 각별히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졸시 [황강(黃江) . 71-윷놀이]를 읽어 보기로 합니다.

윷이야 모야
처음부터 내가 떠나야 할
지점은 점지되어 있었다
무거운 등짐 지고
겨우 한 걸음 내 딛는 발걸음
갠가 걸인가, 윷판처럼
떨리는 한 생애가 질펀히 보인다
돌다릴 두들겨 건너가듯
먼저 가버린 발자국을 닮을거나
차들이 죽죽 빠져 나가는 새벽길
그 환희는 어느새 체증만 남고
어차피 가야하는 행보라면
석동무니 넉동무니 함께 업어
찌도까지라도 뛰어야 하리
도냐, 개냐? 뒤돌아보지 마라
시퍼런 칼날 세우고 쫓고 쫓기는 나
안찌로 피할 나무숲은 보이지 않는다
뒷도로 돌아가는 저 먼 길
한 생애의 종말 지점도
그렇게 점지되어 있을지라도.

매우 간단하고 평범한 우리의 일상에서 느끼는 소재인 ‘윷놀이’는 남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의미를 깨닫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시인의 눈으로 확인한 ‘윷놀이’는 전쟁터 같기도 한 생존경쟁의 처절한 현실이 깊게 깔려 있습니다.
윷말을 윷판에 놓아서 경쟁하는 일은 어쩌면 우리 인간들이 ‘시퍼런 칼날 세우고 쫓고 쫓기는’ 현상이며 ‘무거운 등짐 지고’ 살아가는 우리 인간의 현실적인 고뇌가 진하게 배여 있습니다.


이처럼 ‘윷놀이’라는 단순한 소재에서 시인의 시각으로 정제한 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생존경쟁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한 부분에서도 커다란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시인들이 겪지 않으면 안 되는 위대한 예술정신의 행적이며 가장 근원적인 시의 주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시의 주제는 시인에 따라 다양하게 표징 되고 있습니다. 시인의 내면의식에 어떤 가치관을 포용하고 있느냐, 어떤 체험에서 지적인 자양을 농축하고 있느냐, 또는 어떤 염원과 갈망의 깊은 사상을 소유하고 있느냐는 등등의 정서나 정신(시정신)의 사유향방에 따라서 그 주제의 모습은 변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


말하자면 시인이 간직한 의식의 감도나 척도에서 서로 다른 모습의 주제를 발견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어쨌거나 시의 주제는 모든 사물들의 참된 모습이나 진실이 은폐되고 망각되는 현상에서 ‘존재’라는 커다란 등불을 밝혀서 확인하고 감지하게 되는데 그 발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입니다.
현실의 불행이나 암흑에서 어찌 보면 탈출의 의미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부당하거나 모순된 실상에 대한 항거로서의 진실을 탐구하는 열정으로 유도하는 역할이 시의 주제가 갖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horatius)의 <시론>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사람의 마음을 뒤흔들 필요가 있으며 읽는 이의 영혼을 뜻대로 이끌어 나가야 하는 것이 바로 주제의 선명성을 강조하는 연유입니다.
이렇게 주제의 명확한 표징(명징한)은 앞에서 말한(시의 의미성) 바와 같이 인생의 강렬한 체험의 소산물임을 더욱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시의 ‘제목’을 어떻게 붙이는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

 

늦여름 오후에
-홍신선(1944~ )


오랜만에 장마전선 물러나고 작달비들 멎고

늦여름 말매미 몇이 막 제재소 전기톱날로

둥근 오후 몇 토막을 켜 나간다

마침 몸피 큰 회화나무들 선들바람 편에나 실려 보낼 것인지
 

 

제 생각의 속잎들 피워서는

고만고만한 고리짝처럼 묶는

집 밖 남새밭에 나와

나는 보았다, 방동사니풀과 전에 보지 못한 유출된 토사 사이로

새롭게 터져 흐르는 건수(乾水) 투명한 도랑줄기를.

지난 한 세기의 담론들과 이데올로기 잔재들을 폭파하듯 쓸어 묻고는

천지팔황 망망하게

그러나 자유롭게 집중된 힘으로 넘쳐흐르는

마음 위 깊이 팬 생각 한 줄기 같은

물길이여

그렇게 반생애 살고도 앎의 높낮은 뭇 담장들 뜯어치우고는

범람해 흐르는 개굴창 하나를 새로 마련치 못했으니

다만 느리게 팔월을 흐르는 나여

꼴깍꼴깍 먹은 물 토악질한

닭의장풀꽃이

냄새 기막힌 비누칠로 옥빛 알몸 내놓고 목물 끼얹는

이 풍경의 먼 뒤꼍에는
 

 

두께 얇은 통판들로 초저녁 그늘 툭툭 쌓이는 소리. 

툭하면 쏟아지던 작달비들 멎은 긴 장마 뒤, 말매미 몇이 울어댄다. 흡사 제재소 전기톱날 돌아가는 소리, 모처럼의 ‘둥근 오후’를 토막토막 켜는 듯하다. 화자는 ‘집 밖 남새밭에 나와’ 있다. ‘몸피 큰 회화나무들’이 둘러서 있다. 그 옛날 과거를 보러 가거나 합격하면 집에 심었다는 회화나무는 학자수(學者樹), 혹은 선비나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유교 관련 유적지에서는 거의 회화나무가 있다는데, 퇴계 이황이 모델인 천 원짜리 지폐 뒷면의 도산서원을 둘러싼 무성한 나무도 회화나무란다. 화자는 학자를 많이 낸 집안 후손인가 보다. 화자는 남새밭 농부가 아니다. ‘제 생각의 속잎들 피워서는/고만고만한 고리짝처럼 묶는’ 회화나무는 지식노동자인 화자의 반영이다. 잦은 비에 씻겨 사위가 깨끗한 늦여름 오후, 방동사니 우거진 밭에 ‘건수 투명한 도랑줄기’ 졸졸 흐르는 걸 보며 화자는 ‘지난 한 세기의 담론들과 이데올로기 잔재들을 폭파하듯 쓸어 묻은’ 세상이며 ‘반생애 살고도 앎의 높낮은 뭇 담장들 뜯어치우고는/범람해 흐르는 개굴창 하나를 새로 마련치 못한’ 자신을 돌아본다. 이번 세기 초에 쓰였을 시다. 정치이념에서 비껴 살던 사람들도 충격이 없을 수 없었던 냉전 종식 이후, 세기가 바뀌는 ‘밀레니엄’ 여파로 벅차기도 하고 뒤숭숭하기도 했던 그때. 시대의 풍경 ‘먼 뒤꼍’을 기웃거리는 한 지식인의 내면이 장마 뒤 남새밭 풍경과 함께 ‘자유롭게 집중된 힘으로’ 그려졌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68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731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313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4031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91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842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327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43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36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72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3042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604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70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328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412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131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321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85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258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924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710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646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244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45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595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990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793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3000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247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624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678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88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431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39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3008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909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63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47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639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826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