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년 01월 21일 23시 58분  조회:4011  추천:0  작성자: 죽림

 

평전시집 '다시, 별 헤는 밤'…탄생 100주년 곳곳 기념행사

 

시인 윤동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시인 윤동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산모퉁이 외딴 우물 하나/ 하늘과 구름, 달과 별이 빛나는 우물 위로/ 잎새에 이는 바람이 스쳐 지나가고/ 난, 외로운 동주처럼/ 혼자 말없이 우물을 바라봅니다// 그러다가 나도 괜히 동주처럼 내 자신이 미워져/ 우물에 돌멩이 하나 던져놓고 돌아가다/ 다시, 문득 우물 속 사내가 그리워집니다"

윤동주(1917∼1945)의 '자화상'을 연상시키는 이 시는 소강석 시인이 윤동주처럼 우물에 비친 자신, 그리고 윤동주를 들여다보며 쓴 '동주의 우물가에서'다. 시인이 최근 펴낸 시집 '다시, 별 헤는 밤'에는 윤동주의 삶과 시세계를 더듬은 시 54편이 실렸다.

시집은 윤동주에게 바치는 오마주이자 그의 삶을 운문으로 기록한 '평전시'다. 시인은 윤동주의 내면으로 들어가 그가 못다한 말을 대신 하는가 하면 시로써 생애를 복기한다. 시집은 만주 명동촌에서 태어나 용정으로 이주해 자란 유년기(1부)와 연희전문학교 시절(2부), 일본 유학과 순국(3부) 등 연대기 순서로 묶였다.

"그러나, 동주여/ 님의 별 헤는 밤의 시가/ 이 도시 어딘가/ 잠 못 드는 이의 낮은 숨결로 낭송되고/ 외롭고 쓸쓸한 자의 가슴에서/ 밤새 헤아리고 싶은 밤하늘 별로 빛나고 있다면// 우리의 밤은 어두운 암흑으로 갇히지 않고/ 다시, 별 헤는 밤이 되어/ 별 하나에 추억과 사랑과 쓸쓸함과 동경과/ 시와 어머니의 이름을 부르겠지요" ('다시, 별 헤는 밤' 부분)

윤동주(왼쪽)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오른쪽) [연합뉴스 자료사진]
윤동주(왼쪽)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오른쪽) [연합뉴스 자료사진]

 

 

윤동주가 타국에서 창씨개명을 부끄러워하며 제 이름자를 써보고 덮어버린 '별 헤는 밤'은 한 세기 가까이 지났다. 그러나 그의 시는 우리 가슴 속에 푸른 별로 떠올라 영원히 지지 않는다고 시인은 말한다. 시대가 어둡고 탁할수록 윤동주의 순결한 성찰의 시심은 더욱 빛난다.

"윤동주 이후/ 우리 모두는 가슴에 시 한 편 가졌다/ 아무리 시에 관심 없고/ 문학에 문외한인 사람일지라도/ (…)/ 우리의 지저분한 마음을/ 가혹한 상처를/ 씻을 수 없는 후회를/ 위로하고 닦아주는 시 한 편 가졌다" ('서시, 이후…' 부분)

시인은 "처음에는 내 안에 윤동주를 끌어들였지만 나중에는 내가 윤동주 안에 들어가서 심연의 우물가에서 시를 쓴 것"이라며 "졸작이지만 윤동주 시의 제단에 불쏘시개라도 되고 싶은 마음뿐"이라고 했다.

 

 

올해 문단 안팎에서는 윤동주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연중 열릴 예정이다. 우선 소강석 시인은 8일 오후 7시 자신이 목사로 있는 경기도 용인 새에덴교회에서 추모음악회를 연다. 윤동주의 6촌 동생인 가수 윤형주가 출연한다.

한민족평화나눔재단과 한국문인협회는 이달 23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류양선 가톨릭대 명예교수와 송희복 진주교대 교수, 이승하 중앙대 교수 등이 발표자로 나서 윤동주의 시세계와 민족정신을 재조명한다.

한국작가회의는 4월말께 심포지엄과 함께 공연 형식의 문학의 밤 행사를 연다. 윤동주의 친필 원고가 보존됐던 전남 광양시도 7월께 학술행사와 음악회로 윤동주를 기린다.


==========================================
'부끄럼없이 살기를’…윤동주 탄생 100주년 추모열기

[앵커]

올해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윤동주 시인이 탄생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에 아파하고 고민한 시인을 기념하기 위해 문화ㆍ예술계에서는 다양한 추모 행사를 마련 중입니다.

임은진 기자입니다.

[기자]

<개코X황광희 '당신의 밤' 중> “별이 바람에 스치는 밤, 내가 길을 잃은 밤.”

한 세기를 지나 젊은 힙합 음악으로 다시 태어난 영원한 청년 윤동주.

지난해 말 ‘무한도전-위대한 유산’ 편을 통해 발표된 이 곡은 3주째 음원 차트 상위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계는 ‘저항 시인’ 윤동주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삶과 작품을 되돌아보는 행사를 마련합니다.

올해를 ‘윤동주 100년의 해’로 선포한 서울시인협회는 문학 투어와 사진전 등을 열기로 했고 연세대 윤동주기념사업회는 5월과 12월에 기념음악회와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공연계도 창작 가무극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추모 행사와 함께 시인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하루 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중국의 최대 인터넷 포털 바이두는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 민족은 조선족이라고 소개하고 있고 인터넷에서는 윤동주의 시로 잘못 알려진 글들이 돌고 있습니다.

<윤형주 / 윤동주 시인 6촌 동생> “그가 시를 통해서 어떻게 일제에 저항을 했는지, 소리 없는 깊은 외침이 있었다고 (집안 어른들은) 윤동주의 정신에 대해서 늘 들려주곤 하셨습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을 원했던 윤동주.

시대에 아파하며 조용한 저항을 이어간 그의 삶과 작품은 지금도 큰 울림을 남기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임은진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43 아버지를 좀 안아 드려야 할것같은 가을이다... 2016-10-12 0 4136
1642 굴레가 되고 싶지 않다... 2016-10-10 0 4544
1641 김수영 시인을 다시 떠올리면서... 2016-10-10 0 5010
1640 풀의 시인 김수영 非발표작 詩 공개되다... 2016-10-10 0 4800
1639 저항시인 이육사 미발표 詩 발굴되다... 2016-10-10 0 5156
1638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10-10 0 3834
1637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10-10 0 4760
1636 詩란 사모곡(思母曲)이다... 2016-10-10 0 4208
1635 詩는 리태백과 두보와 같다...처..ㄹ... 썩... 2016-10-09 0 4370
1634 詩는 무지개의 빛갈과 같다... 아니 같다... 2016-10-09 0 4415
1633 현대시사상 가장 다양한 시형의 개척자 - 김수영 2016-10-06 0 5037
1632 詩란 무구(無垢)한 존재이며 무구한 국가이다... 2016-10-06 0 4773
1631 詩는 추상의 반죽 덩어리... 2016-10-06 0 4353
1630 詩는 시골이다... 2016-10-03 0 4180
1629 詩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다... 2016-10-02 0 4228
1628 詩란 100년의 앞을 보는 망원경이다... 2016-10-01 0 4452
1627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10-01 0 4510
1626 詩人은 존재하지 않는 詩의 마을의 촌장 2016-10-01 0 4707
1625 詩人은 오늘도 詩作을 위해 뻐꾹새처럼 울고지고... 2016-10-01 0 4839
1624 詩作에서 구어체 편지형식을 리용할수도 있다... 2016-10-01 0 4667
1623 詩人은 약초 캐는 감약초군이다... 2016-10-01 0 4906
1622 詩人는 언어란 감옥의 감옥장이다... 2016-10-01 0 4647
1621 詩人은 추상화와 결혼해야... 2016-10-01 0 4956
1620 詩란 섬과 섬을 잇어놓는 섶징검다리이다... 2016-10-01 0 4447
1619 詩란 돌과 물과 바람들의 침묵을 읽는것... 2016-10-01 0 4579
1618 詩란 사라진 시간을 찾아 떠나는 려행객이다... 2016-10-01 0 4954
1617 詩作란 황새의 외다리서기이다... 2016-10-01 0 5485
1616 詩란 한잔 2루피 찻집의 호롱불이다... 2016-10-01 0 4464
1615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10-01 0 4939
1614 詩는 한해살이풀씨를 퍼뜨리듯 질퍽해야... 2016-10-01 0 4580
1613 나는 다른 시인이 될수 없다... 2016-10-01 0 5693
1612 詩는 국밥집 할매의 맛있는 롱담짓거리이다... 2016-10-01 0 4482
1611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10-01 0 4921
1610 詩는 한매의 아름다운 수묵화 2016-10-01 0 4992
1609 詩는 신비한 혼혈아이다... 2016-10-01 0 5010
1608 詩作에는 그 어떠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16-10-01 0 4649
1607 詩는 길위에서 길찾기... 2016-10-01 0 4777
1606 詩에는 정착역이란 없다... 2016-10-01 0 4804
1605 詩와 윤동주 <<서시>> 2016-10-01 0 4788
1604 詩는 리별의 노래 2016-10-01 0 4311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