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년 12월 31일 23시 43분  조회:3487  추천:0  작성자: 죽림

 

<민속도>

 

 






옛 중국 시인들의 노래가 있다. 들어본 듯 익숙한 노래도 있고, 생경한 노래도 있다. 어떤 노래는 삶에 대한 하소연이고, 어떤 노래는 관조다. 이 책에서는 하소연의 노래를 ‘시인의 노래’라고 하고, 관조하는 노래를 ‘어부의 노래’라고 했다.

시인은 다툼에서 지고, 이익 앞에서 손해를 자처하는 사람이다. 모든 생명은 한 그루 나무에서 피고 지는 꽃들에 비유할 수 있다. 이 책은 같은 나무에서 피고 지는 모든 생명의 아픔을 옛 사람들이 어떻게 승화시켰는지 보여준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옛 시인들의 서정시를, 그 배경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각각의 꽃들이 피고 지는, 웃고 우는 유아지경을 말한다. 뒷부분에서는 나와 남, 세상과 내가 연결돼 있음을 보여주는 시적 무아지경을 이야기한다.

이백, 백거이, 두보, 설도, 어현기, 이욱, 송휘종, 이청조, 소식, 도연명, 맹호연, 왕유 등의 시를 담고 있다.

「棄我去者昨日之日不可留(기아거자작일지일불가유)

亂我心者今日之日多煩憂(난아심자금일지일다번우)

長風萬里送秋雁(장풍만리송추안)

對此可以酣高樓(대차가이감고루)」

이백 -‘宣州謝朓樓餞別校書叔雲’(선주사조루전별교서숙운)- 중에서

이백의 시 ‘선주의 사조루에서 교서 이운을 전별하다’는 시는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비교적 많이 알려진 작품이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읽은 방식은 대체로 이런 식이다.

「나를 버리고 가 버린 어제는 머물게 할 수 없고

내 마음을 어지럽히는 오늘은 근심만 많다

긴 바람은 만 리에 가을 기러기 보내는데

이렇게 마주하니 흥겨워라 높은 누각」

글자 그대로 번역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한문의 글귀에 엄격하게 얽매이기보다는 우리말의 운율과 느낌에 맞추어 감각적으로 번역한다. 이런 식이다.

「나를 두고 가 버린 지나간 세월/

남은 것은 내 마음 휘젓는 오늘/

아득한 가을바람 기러기 난다/

풍경을 마주하고 술잔을 들자」

중국 당나라 290년 동안 207명의 여성 시인이 있었다. 이 숫자가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단 한 편이라도 시가 전해오는 여성 시인들만 챙긴 것이다. 그중 눈에 띄는 시인이 설도(768∼832)다. 설도는 유채춘, 어현기, 이야와 함께 당대 4대 여성 시인이었다. 생활고에 쫓긴 설도는 16세에 모친의 권유로 기녀로 등록했다.

설도는 재능이 뛰어났다. 절도사로 온 사람의 눈에 띄어 관청의 공문서를 관리하는 직책을 얻기도 했다. 그녀는 42세에 장안에서 감찰어사로 내려온 대시인 원진(779∼831)과 일생일대의 사랑에 빠졌다. 시간이 흘러 원진은 장안으로 돌아갔고, 출세한 원진은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데다 기녀인 설도를 돌아보지 않았다. 설도는 원진에게 시를 지어 보냈다. ‘春望詞'(춘망사)다.

「꽃이 펴도 함께 즐길 수 없고/ 꽃이 져도 함께 울 수가 없네/ 묻노니 그리운 이 어디 계신가/ 꽃은 피고 그 꽃 또한 지고 있는데/ 풀 뽑아 묶어 보네 사랑의 약속/ 동심초 그대에게 보내려는데/ 봄의 슬픔 한없이 가슴 아플 때/ 봄 새도 목이 멘 듯 구슬피 우네/ 꽃잎은 하루하루 바람에 지고/ 우리가 만난 날은 아득하구나/ 어째서 사랑은 묶지 못한 채/ 공연히 동심초만 묶고 있을까/ 어쩌랴 가지마다 가득한 저 꽃/ 날리어 그리움만 더하는 것을/ 거울 보며 흘리는 두 줄기 눈물/ 아느냐, 봄바람은 알고 있느냐」

연작시인 이 애달픈 노래 중 세 번째 시 '꽃잎은 하루하루 바람에 지고/ 우리가 만난 날은 아득하구나/ 어째서 사랑은 묶지 못한 채/ 공연히 동심초만 묶고 있을까'는 김성태 작곡의 우리나라 가곡 ‘동심초’가 됐다. 물론 번역한 사람이 다른 만큼 가사는 다르다.

지은이는 “인생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모두 시인이다. 삶의 순간순간, 어떤 사람은 그 느낌을 글로 남기고 어떤 사람은 다른 것으로 남길 뿐이다. 사는 동안 남에게 따뜻함을 느끼게 한다면 그가 바로 시인이다. 남에게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달려간다면 그가 바로 시인이다. (중략) 길거리에 쓰러진 사람이 있을 때 별말 없이 부축해 주고 떠나는 사람, 다툼이 생겼을 때 기꺼이 지고, 이익이 되는 줄 알면서 때로는 손해를 자처하는 사람, 경쟁에서 한 걸음 물러서고, 자신의 작은 성취에 만족하는 사람, 낮은 목소리로 얘기할 줄 아는 사람, 그런 사람이 시인이다”고 말한다.

지은이 안희진은 단국대학교 중국어과 교수로 있다. 어린 시절 조부에게 천자문을 배웠고, 한문에 익숙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는 서예공부를 했다. 그 모든 경험들이 중국 시에 빠져드는 배경이 됐다고 한다.

가끔 틈 날 때마다 아무 쪽이나 펼쳐 읽으면 좋을 성싶은 책이다.

「위성 마을 아침 비에 흙먼지 젖고/ 객사에는 파릇파릇 버들잎 핀다/ 그대여 가득한 술 한 잔 더 들라/ 양관 밖 서역 가면 아는 이 없네.」 -왕유, 위성곡(渭城曲)-

원이(元二)라는 관리가 조정의 발령을 받아 안서도호부(현재의 신장 위구르 지방)로 떠나게 됐을 때, 친구들이 자리를 만들었고 왕유가 시를 썼다. 384쪽, 1만8천원.

 

/조두진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9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1) 2018-11-12 0 2939
1289 윤동주 11편 동시묶음 2018-10-31 0 2995
128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2) 2018-10-31 0 3674
1287 "지금도 윤동주와 정지용의 시를 읊고 있었다"... 2018-10-31 0 3217
12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1) 2018-10-30 0 3430
1285 윤동주와 백석과 릴케 2018-10-26 0 3791
1284 윤동주 동시 읽기 모음 2018-10-26 0 3426
12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1) 2018-10-26 0 3098
12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비(햇비) 2018-10-25 0 3498
1281 "두만강여울소리"는 어제도 오늘도 도도히 흐르고지고 2018-10-24 0 3305
128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곡간 2018-10-18 0 4095
1279 평화의 상징 = 베토벤 최후의 최고의 걸작 교향곡 9번 2018-10-16 0 7792
127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비둘기" 2018-10-15 0 5328
127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둘기 2018-10-15 0 4406
127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조개껍질 2018-10-14 0 4313
1275 "민족에 눈길을 돌리고 민족을 포옹해라" 2018-10-13 0 2705
1274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남영전 2018-10-13 0 2887
1273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조룡남 2018-10-13 0 2930
1272 "막걸리는 하나님의 은총이다"... 2018-10-13 0 3265
1271 윤동주와 최현배, 박창해 2018-10-13 0 2697
1270 윤동주와 키에르케고르 2018-10-13 0 4271
1269 일본시의 해설을 공부하기 2018-10-13 0 3344
1268 일본 시인 - 미요시 다쓰지 2018-10-13 0 3015
1267 윤동주와 당숙 윤영선 2018-10-13 0 2528
1266 청년문사 송몽규 다시 알아보기 2018-10-12 0 3661
1265 윤동주가 떠난지 한세기가 지났음에도... 2018-10-12 0 2719
1264 청년문사 송몽규 알아보기 2018-10-12 0 3562
1263 학생 윤동주와 유명 시인 정지용 2018-10-12 0 2901
12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스런 추억 2018-10-11 0 4533
1261 윤동주와 정병욱의 老母 2018-10-10 0 3725
1260 윤동주 더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3688
1259 윤동주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4355
1258 윤동주와 시집 제목 2018-10-10 0 3323
125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람이 불어 2018-10-09 0 4062
125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오는 지도 2018-10-07 0 2929
1255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금잔화(金盞花) 2018-10-06 0 3484
12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원 2018-10-06 0 4272
12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년 2018-09-21 0 4966
125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골물 2018-09-19 0 4166
1251 윤동주와 "사랑시" 2018-09-17 0 3571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