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대만 녀성시인 - 수샤오리엔
2016년 12월 26일 00시 29분  조회:2657  추천:0  작성자: 죽림
일곱 자의 천 /수샤오리엔(타이완) 




어머니는 천 일곱 자만 사가지고 돌아오셨다. 나는 몹시 화가 
났다. 왜 내가 직접 사러가지 않았을까. 내가 말했다. "엄마 일곱 
자로는 부족해요, 여덟 자는 있어야 만들 수 있어요." 어머님이 말 
씀하셨다. "전에 만들 때는 일곱 자로도 충분했는데, 네가 그렇게 
컸단 말이니?" 나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어머니만 스스로 왜 
소해져가셨다. 
어머니는 옛 치수대로 천 위에 나를 하나 그리셨다. 그런 다음 
가위로 천천히 오려나가셨다. 나는 천천히 울었다. 아! 나를 오려 
나가셨다. 나를 오리신 다음, 다시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그러 
곤 나를 기워...사람이 되게 하셨다. 

*김태성 옮김 

ㅡ계간<<시평>>(2003. 겨울) 아시아 교과서 명시 중에서 

---------------------------------- 

타이완에서 산문시에 관해 언급하자면 수샤오리엔이란 이름을 빼놓을 수 없다.
산문시는 비교적 늦게 등장한 시가 유형으로 글쓰기의 체제가 산문과 현대시를 넘나들기 때문에 '기술적인 위치 설정'에 있어서 항상 질의의 대상이 되곤 했다. 이와 관련하여 말이 막힐 때마다 산문시 시인들은 수샤오리엔의 산문시를 들어 상대방에게 시가의 체제와 시정신의 본질을 이해시키곤 했다. 이런 평가를 반증하듯 그녀의 시 <일곱 자의 천>은 타이완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최초의 산문시로 기록되었다. 

이 시에서 '어머니'는 일종의 전통을 대표하는 개념으로서 현실의 윤리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나'로 하여금 일곱 자의 천의 범위 안에서 살아감으로써 어머니의 품을 벗어나지 않기를 희망한다. 결국에는 '나'를 오려 사람이 되게 하긴 했지만 사실 이는 현실 속에서 이미 성장해버린 '내'가 아니라 여전히 어머니의 마음속에 자라고 있는 아이인 것이다. 

150자도 채 안 되는 시문에서 독자들이 가장 먼저 해독해야 할 것은 '나'의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삶에 대한 희망과 어머니의 따스함과 강경한 보호 사이에서의 선택으로서, 이는 부모 곁을 떠나려는 욕망과 계속 남고자 하는 미련 사이의 갈등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어머니의 크고 강한 모성애의 제약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어머니가 "옛 치수대로 천 위에 나를 하나 그리는" 것을 받아들여야 하고, 그런 다음 어머니가 고집스럽게 "가위로 천천히 오린" 다음 "침선으로 꿰매는" 것을 참아내야 한다. 마침내 어머니가 옷을 만드신 후에는 여전히 천이 모자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 "그러곤 나를 기워...사람이 되게 하신 것"은 쌍방이 직면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종의 어색함이 되고 마는 것이다. 

강렬한 정서의 전환을 이처럼 짧은 편폭에 담아내는 것이 수샤오리엔의 필력이 갖는 오묘함이라 할 수 있다. 그녀는 '허구적' 정감의 변화를 '실제적' 동작묘사와 결합시켜 산문시가 갖는 산문적 서술특성을 이용하면서 그 안에서 시적 이미지의 도약을 주입함으로써 마치 높은 산봉우리를 빙빙 돌아서 올라가듯이 긴장으로 충만하면서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시의 새로운 경지를 빚어내는 것이다. ㅡ'옌아이린'의 시평 중에서 요약함. 

서구의 문예사조에 편승한 우리의 현대시는 그동안 중국이나 일본, 베트남, 타이완 등 아시아의 현대시에는 무관심했거나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 빚어진 서구화의 부정적 반영이기도 할 것이다. 시와 다소 장황하고 지루한 시의 평문을 소개하는 것은 그들의 정서와 (시의 밑그림이 되는) 시인의 원체험이 우리의 그것들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아서이다. 

*수샤오리엔 : 타이완 여성 시인. 중국시보(中國時報) 문학상 시 부문, 연합보(聯合報) 시 부문 당선. 주요시집으로 <<망양집>>, <<강의 슬픔>>, <<동화유행>>, <<경심산문시>>, <<타이완의 시골아이들>> 등이 있다. 

*옌아이린 : 타이완 여성 시인. 주요시집으로 <<피육골>>, <<흑암온천>> 등이 있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653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312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289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686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730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694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479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533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492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530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650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353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599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597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501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564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603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429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428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545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450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500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544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581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625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457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253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746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772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526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589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681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467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873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789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879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3073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446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245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3129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