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 詩佛 자연시인 - 王維
2016년 12월 13일 23시 05분  조회:4277  추천:0  작성자: 죽림

왕유 시선

 ]
 
저자 왕유(, 699-759)
국가 중국
분야
해설자 박삼수(울산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당시()는 중국 고전문학 최고의 정화로 후세 사람들에게 불후의 고전적 자양을 제공하고 있다. 시불() 왕유()는 시선() 이백(), 시성() 두보()와 함께 당시의 3대 거장으로 꼽히면서도 이()ㆍ두()와는 또 다른 시풍으로 그 특유의 매력을 발한다. 현존 왕유 시는 고금을 통틀어 최선본()으로 평가되는 진철민()의 ≪왕유집교주()≫(이하 ≪교주≫로 약칭)에 의거해 총 308편 376수로 산정()할 수 있다.
초년의 왕유는 적극 진취적인 유가 사상의 소유자였으나 정치적인 실의에 빠지기 시작한 중년 이후에는 불가와 도가적인 경향을 아울러 보이다가 점차 오직 불교에만 극도로 심취하였는데, 이 같은 인생 사상이 그의 창작 정신의 원천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백과 두보가 각각 낭만시와 사회시 창작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면 왕유가 당나라 시단에서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독보적인 면모를 보인 것은 바로 자연시의 창작으로, 그는 동진()의 도연명() 이후 최고의 자연시인으로 평가된다. 송()나라의 대문호 소동파()는 ‘시중유화()’ㆍ‘화중유시()’, 즉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는 말로 산수수묵화의 대가이기도 했던 왕유 시()ㆍ화()의 예술적 경지를 압축 평가함으로써 후세의 절대적인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왕유의 자연시는 역관역은(, 몸은 벼슬하고 있으나 마음은 늘 피세 은둔의 정취를 동경하고 추구하는 삶)의 시기에 집중적으로 지어졌으며 대부분이 은거 생활과 불도() 사상이 결합된 산물로, 시인의 피세 은둔의 초탈 정신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세속적인 욕망은 일찌감치 떨쳐버리고 오직 한가롭고 편안하기 그지없는 시인의 성정()이 시작 속에서 여실히 표현되고 있는데, 가장 큰 특징은 전원 경물이나 산수 풍광의 묘사 가운데서 절로 풍겨나는 은둔적 정취이다. 이를테면 ≪망천집()≫ 중의 <죽리관()>은 그윽한 대숲 속의 탈속적인 정취를 묘사하고 있으니, 세상과 동떨어져 고적()함이 감도는 깊은 대숲 속에서 거문고도 타고 휘파람도 불며 살며시 다가와 비춰주는 밝은 달빛과 ‘지음()’의 벗인 양 하나 되어 탈속적인 정취를 즐기는 시인은 이미 ‘해탈’의 경지에 든 듯하다. <산장의 가을 저녁녘()>은 저녁녘에 한 차례 비가 온 뒤 그윽하고 고아한 산중의 경물을 묘사하였는데, 시정()과 화의()가 넘치는 가운데 시인의 고결한 품성과 초탈적 정서가 새롭다. <날씨 갠 후 넓은 들판을 바라보며()> 역시 비가 막 갠 후 아득한 들판에 펼쳐진 초여름의 전원 경색()과 농경 생활을 묘사하였는데, 전편에 걸쳐 강조되고 있는 소박하고 평화로우면서도 활력 넘치는 전원의 생활과 정취는 세속적인 번뇌에서 벗어난 자적()한 삶을 추구하는 시인의 정서가 그대로 배어 있다.

왕유의 시적 재능은 자연시 창작에 있어서는 오히려 이()ㆍ두()를 능가할 정도였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다방면에 걸쳐 다수의 가작을 남기고 있다. 초년에는 유가적인 인생관에 입각해 매우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경향을 보여 종군(), 변새(), 호협()을 노래하거나 입공보국()의 기개를 떨쳐 보이는가 하면 객관성이 결여된 인재 등용이나 형평성을 잃은 논공행상을 비롯한 정치적 부패상을 풍자 폭로하였다. 또한 생애 전반을 통해 창작된 증별()이나 일상생활의 다양한 서정의 시편()도 대개 은근하면서도 진솔한 정감의 묘사로 후세에 널리 애송되고 있다. 이를테면 <안서로 출사하는 원이를 송별하며(使西)>는 송별시의 절창()으로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인구에 회자된 명작인바, 전편에 걸친 절묘한 정경()의 융합과 강력한 전형성 그리고 애틋한 정감과 풍부한 함축미는 송별시의 전범()으로 손색이 없다.
왕유의 시는 정치적인 실의와 실절(), 가정적인 불행을 딛고 한껏 유유자적하는가 하면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시종 따스한 인정을 베푼 시인의 생활 서정으로, 오늘날 현실 생활 속에서 삶의 고뇌와 갈등으로 지친 현대인에게 ‘해탈’의 지혜를 일러주고 마음의 안식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63 볼세비키/ 정세봉(제목 클릭하기... 訪問文章 클릭해 보기...) 2024-07-13 0 1102
2162 프랑스 시인 - 기욤 아폴리네르 2021-01-27 0 4375
2161 미국 시인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2021-01-26 0 2978
2160 미국 시인 - 월러스 스티븐스 2021-01-26 0 3026
2159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21-01-26 0 2921
2158 미국 시인 - 엘리엇 2021-01-26 0 3427
2157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21-01-26 0 3210
2156 미국 시인 - 엘리자베스 비숍, 에이드리언 리치 2021-01-26 0 3163
2155 미국 시인 - 제임스 디키 2021-01-26 0 2908
2154 미국 시인 - 필립 레빈 2021-01-26 0 3004
2153 미국 시인 - 리처드 휴고 2021-01-26 0 2723
2152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레트키 2021-01-26 0 2992
2151 미국 시인 - 존 베리먼 2021-01-26 0 3115
2150 미국 시인 - 앤 섹스턴 2021-01-26 0 3208
2149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21-01-26 0 2770
2148 미국 시인 - 칼 샌드버그 2021-01-26 0 3249
2147 시적 개성 목소리의 적임자 - 글릭; 노벨문학상 문턱 넘다... 2020-10-09 0 3163
2146 고대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20-03-09 0 4485
2145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20-03-01 0 4590
2144 한국 시인, 생명운동가 - 김지하 2020-01-23 0 4283
2143 한국 최초 시집... 2019-12-16 0 4461
2142 조선 후기 시인 - 김택영 2019-12-06 0 4333
2141 토속적, 향토적, 민족적 시인 - 백석 2019-11-18 0 6646
2140 한국 최초의 서사시 시인 - 김동환 2019-10-30 0 4251
2139 한국 순수시 시인 - 김영랑 2019-09-29 0 6310
2138 [시인과 시대] - 문둥이 시인 2019-08-07 0 4868
2137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12-18 0 5063
2136 "쓰레기 아저씨" = "환경미화원 시인" 2018-11-15 0 4657
213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추밭 2018-08-20 0 4929
2134 동시의 생명선은 어디에 있는가... 2018-07-09 2 4148
2133 인도 시인 - 나이두(윤동주 흠모한 시인) 2018-07-09 0 4841
2132 저항시인, 민족시인, "제2의 윤동주" - 심련수 2018-05-28 0 5767
2131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알 루미 2018-05-04 0 6031
2130 이탈리아 시인 - 에우제니오 몬탈레 2018-04-26 0 6034
2129 프랑스 시인 - 보들레르 2018-04-19 0 7437
2128 윤동주가 숭배했던 시인 백석 2018-04-05 0 5883
2127 일본 동요시인 巨星 - 가네코 미스즈 2018-03-31 0 5900
2126 영국 시인 - 월리엄 블레이크 2018-03-22 0 3872
2125 오스트리아 시인 - 잉게보르크 바하만 2018-03-06 0 4998
2124 미국 시인 - 아치볼드 매클리시 2018-02-22 0 5641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